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해시넷
sms1208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21일 (목) 15:33 판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한국도로공사 관리 구간]] 파일: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관리구간.jpg|썸네일|300픽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도로공사 관리 구간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관리 구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首都圈第一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0호선)는 한국의 고속도로 100호선으로 서울특별시의 외곽을 원형으로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이다. 기종점은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이며, 서울특별시 주변을 감싸고 있는 경기도인천광역시의 자치단체들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개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의 판교 분기점을 기종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하남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 등을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국가재정 구간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민자 구간이 혼재되어 있다. 퇴계원 나들목에서 일산 나들목까지는 민간투자고속도로로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에서 운영하며, 나머지 구간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역사

1990년대 초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으로의 인구와 교통량 집중, 1기 신도시의 개발로 인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전까지는 수도권 주요 도시들 간의 교통은 대부분 서울 시내 도로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도권이 커지면 커질수록 서울시 내부의 교통혼잡은 더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수요를 외곽으로 적절히 분산시켜 서울시내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목적이 컸다.

1980년대 후반에 수도권순환선의 초안이 기획되었는데 이때는 지금과 같은 서울 외곽을 순환하는 노선형태가 아니라 기존에 이미 건설된 경부고속도로의 판교-수원 구간, 경인고속도로, 올림픽대로와 노선선정이 완료된 판교-구리간 고속도로, 신갈안산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을 연결하여 순환선 형식으로 취하는 주먹구구식의 형태였다. 하지만 일산, 평촌, 산본 등 일부 1기 신도시들의 교통 접근성에 취약점이 보이고 기존 건설된 경부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올림픽대로의 교통량이 이미 포화상태라 순환선으로서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이 기획안은 전면 폐기되었다. 결국 이미 착공에 들어갔던 판교-구리 고속도로 노선을 기반으로 별도의 순환선을 설계, 수도권 주요 도시들을 연계하는 오늘날의 노선이 확정된다.

1988년 '판교 - 구리 간 고속도로'로 명명, 고속도로 노선번호 제11호로 지정하고, 판교 분기점부터 하남 분기점, 그리고 강동대교를 포함하는 하일 나들목(현 강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을 착공하였다. 1991년 7월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을 변경하고 노선번호도 제101호로 변경하였으며, 그해 11월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강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중부고속도로 구간이었던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으로 편입시켰다. 이 때문에 중부고속도로의 연장은 이 구간의 연장만큼 짧아진다.

2001년에 노선번호 체계 개편으로 101번에서 100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1992년에는 남양주 나들목에서 퇴계원 나들목 까지 연장 개통되고, 1995년에는 판교 분기점 ~ 산본 나들목 구간까지 연결되었다. 그리고 차례차례 부분적으로 개통을 거쳐 2001년까지 서울 이북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개통하면서 점차 모습을 갖춰 나간다. 서울 이북 구간에 해당되는 일산 ~ 퇴계원 구간은 한동안 착공조차 못하다가 민자사업 유치 후 2000년대 들어서야 착공했다. 그마저도 중간에 사패산터널 관통 문제 등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는 등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고, 2006년 사패산터널 구간을 제외한 일산 ~ 송추, 의정부 ~ 퇴계원 구간이 매듭이 잘린 형태로 개통했고, 6년이 지난 2007년 12월에야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사패산터널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순환선으로 연결, 지금의 완전한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된다.

2012년 3월 30일에 호원 나들목이 착공되어, 2015년 5월 28일 개통되었다.

2020년, 국토교통부가 경기도의 명칭 변경 요청을 받아들임으로서 2020년 9월 1일부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88년 01월 14일 :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고속도로(판교 ~ 구리선)으로 지정
  • 1988년 02월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착공
  • 1988년 02월 06일 : 판교~구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25.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1년 07월 25일 : 중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편입해 종점을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서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으로 연장,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선'에서 고속국도 제101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선)으로 노선명 변경
  • 1991년 10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사노동 2.5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1년 10월 31일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19.3km 구간 개통
  • 1991년 11월 29일 : 하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4.2km 구간 개통
  • 1991년 12월 : 판교 분기점~ 산본 나들목 구간 착공
  • 1992년 01월 13일 : 토평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2년 04월 29일 : 종점을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연장해 순환선 형태로 노선 변경.
  • 1992년 05월 : 장수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구간 착공
  • 1992년 06월 18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판교 ~ 일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고양시 효자동 56.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2년 12월 :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 1992년 12월 10일 : 남양주 나들목 ~ 구리 나들목 2.3km 구간 개통
  • 1994년 02월 04일 : 구리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2.7km 구간 개통
  • 1994년 10월 01일 : 토평 나들목 개통
  • 1995년 01월 24일 : 1995년 12월까지 구리 요금소 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 수택동 556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5년 06월 : 산본 나들목 ~ 장수 나들목, 서운 분기점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 1995년 07월 14일 : 2000년 12월까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5년 07월 20일 : 판교 분기점 ~ 학의 분기점 8.8km 구간 개통
  • 1995년 12월 28일 : 평촌 나들목 ~ 학의 분기점 3.3km 구간 개통
  • 1996년 10월 31일 : 산본 나들목 ~ 평촌 나들목 3.3km 구간 개통
  • 1997년 02월 22일 : 1999년 12월까지 소래산 구간을 절개공법에서 소래터널로 변경함에 따라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3.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7년 05월 02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 1997년 07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하남 분기점 ~ 하일 나들목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5.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7년 10월 10일 : 노원 ~ 퇴계원 구간 8차선으로 차선 변경으로 인한 선형 변경으로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17km 구간을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6.003km로 도로구역 변경,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도봉구 도봉동 4.814km 구간 도로구역 해제
  • 1997년 10월 24일 : 2000년 12월까지 신평 나들목 ~ 지도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토당동 ~ 내곡동 2.1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7년 11월 03일 : 김포대교를 포함한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3.5km 구간 개통
  • 1998년 03월 07일 : 2001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 하남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4월 11일 : 1999년 12월까지 논곡 요금소 신설, 도리 나들목 폐지,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계수동 9.4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4월 14일 : 1999년 12월까지 김포 나들목 연결로와 국도 제48호선 접속부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 고양시 토당동 3.47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8년 06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산 ~ 퇴계원 구간 민자유치시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 1998년 07월 24일 : 서운 분기점 ~ 장수 나들목 (부천고가교) 8.0km 구간 개통
  • 1998년 10월 17일 : 1999년 12월까지 박촌 나들목 형식 변경으로 인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용종동 ~ 병방동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04월 21일 : 2002년 12월까지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8.445km 구간을 8.845km로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06월 24일 : 2005년까지 일산 ~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30.7km 구간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 1999년 07월 15일 : 2002년까지 성남 나들목, 송파 나들목, 서하남 나들목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1999년 11월 26일 : 김포 나들목 ~ 서운 분기점 7.8km 구간, 장수 나들목 ~ 산본 나들목 21.3km 구간 개통
  • 2000년 01월 01일 : 하일 나들목이 강일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0년 11월 21일 : 노오지 분기점 개통
  • 2001년 05월 01일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5.32km 구간 확장 개통
  • 2001년 06월 30일 : 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 2001년 0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101호에서 제100호로 변경.
  • 2001년 09월 11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개통
  • 2001년 09월 21일 : 판교 분기점 ~ 성남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1년 12월 06일 : 2002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분당구 삼평동 1.4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03월 19일 : 2002년 12월까지 성남 요금소와 구리 요금소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점리 34.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2년 12월 10일 : 성남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 2003년 07월 08일 : 2006년 6월까지 요금소 신설 등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3년 10월 29일 : 2004년까지 계양 나들목 ~ 서운 분기점 판교방향 구간에 부가차로 설치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3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및 박촌 나들목을 계양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05년 02월 01일 : 2007년까지 계양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 병방동 구간, 2006년까지 자유로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6년 06월 30일 : 송추 나들목 ~ 일산 나들목 18.3km 구간,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10.5km 구간 개통
  • 2007년 01월 11일 : 2008년 6월까지 민원으로 인해 고양시 일산구 산황동, 덕양구 신원동과 대자동,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구간 설계 변경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7년 07월 11일 : 2008년까지 장수 나들목 감속차로 연장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7년 10월 01일 : 사패산터널을 포함한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호원 나들목 폐쇄
  • 2007년 12월 28일 :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7.5km 구간 개통, 전 구간 완전 개통
  • 2008년 01월 02일 : 일산 ~ 퇴계원 구간 민간투자시설사업 실시계획 변경
  • 2008년 06월 09일 : 2009년까지 남양주 나들목 가·감속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 6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8년 12월 24일 : 2009년까지 서하남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구간, 2010년까지 구리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09년 07월 15일 :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강일 나들목이 분기점으로 변경. 단, 명칭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칭은 나들목으로 유지
  • 2010년 05월 03일 :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과 함께 도리 분기점 개통
  • 2010년 12월 13일 : 부천고가교 하부에서 발생한 유조차 화재에 의한 중동 나들목 구간 상판의 소실로 인해 중동 나들목 임시 폐쇄. 중동 나들목, 장수 나들목, 계양 나들목 부분 통제 시작
  • 2010년 12월 23일 : 중동 나들목 재공사 착공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판교 분기점부터 판교 분기점까지 128.02km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고시
  • 2011년 03월 15일 : 중동 나들목 재개통. 부분통제 해제.
  • 2012년 03월 30일 : 호원 나들목 재공사 착공
  • 2012년 05월 01일 : 호원 나들목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7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2년 09월 20일 : 2015년 12월까지 운중교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1.886km 구간을 1.845km로 도로구역 변경
  • 2012년 12월 27일 : 2014년까지 시흥 본선상공형 휴게소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4년 09월 29일 : 구리 요금소를 구리남양주 요금소로 명칭 변경
  • 2015년 0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과 종점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명시
  • 2015년 05월 28일 : 판교 기점 44.2km 위치에 호원 나들목 재개통
  • 2015년 10월 14일 : 2016년 6월까지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5년 11월 19일 : 2015년 12월까지 가천대역 EX-허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태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6년 08월 26일 :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 사업기간을 2018년 12월로 연기
  • 2017년 05월 04일 : 2019년 8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7년 11월 12일 : 시흥하늘휴게소 신설 개장
  • 2018년 03월 29일 : 민간투자구간(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의 7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
  • 2019년 04월 29일 : 2021년 12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19년 05월 24일 : 2020년 12월까지 성남 나들목 진출로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9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 2020년 09월 01일 : 노선명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 2020년 10월 22일 : 도로명주소에 명칭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고시
  • 2020년 11월 07일 : 고양 분기점 개통
  • 2021년 02월 03일 : 송파 나들목 헌릉로 방면 진출입 램프 이설 개통
  • 2024년 12월 : 영사정 나들목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설치 예정

가장 비싼 고속도로

2022년 현재 개통된 국내 고속도로들 중에서 가장 비싸게 만들어진 고속도로이다. 고속도로 1km당 건설비용이 100억 원에 육박했다고 하니 그야말로 세금을 쏟아부어 만들어진 고속도로다. 이렇게 된 이유는 수도권 지역의 땅값 비싼 곳을 지나 부지매입비가 크게 들었고, 소음 및 지역단절을 피하기 위해 높은 방음벽과 고가 구조를 많이 채용했기 때문이다. 2024년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울~부천~광명 구간이 개통되면 이 기록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광명고속도로는 km 당 건설비용이 200억 원 정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돈이 부족해서 일산IC~퇴계원IC 구간은 맥쿼리인프라를 비롯한 민간사업자들의 돈까지 끌어야 했다. 북부구간은 땅값이 비싼 구간은 많지 않았지만, 북한산, 노고산, 사패산, 도봉산, 수락산 등 북한산국립공원을 정면 돌파하기에 터널 만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다. 게다가 사패산은 1.21 사태(김신조 사건)의 후폭풍으로 2001년까지 군부대가 있어서 민간인은 아예 접근 금지인 산이었다. 이 구간을 국가 재정으로 지으려고 했으면 2022년 지금도 개통하지 못했을 것이다.

참고로, 가장 비싼 도로는 내부순환로이다. 내부순환로는 40.1km 구간을 건설하는 데 1조원 이상이 소요되어, 1km당 250억 이상이 투입되었다. 특히, 1990년대 초중반 시기의 물가를 고려한다면, 어마어마하게 비싼 도로임을 알 수 있다.

구성

차로수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일산 나들목 ~ 자유로 나들목 : 왕복 10차로

나머지 구간 : 왕복 8차로

총연장
  • 128.02km
제한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광암터널(구리) 경기도 하남시 광암동 726m 2002년 비고
광암터널(판교1) 743m 1991년
광암터널(판교2) 752m
불암산터널(일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1,685m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