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EMD

해시넷
fshiel8165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3일 (수) 17:54 판 (새 문서: RIPEMD(RIPE Message Digest)는 1992년(기존의 RIPEMD) 및 1996년 (다른 변형)으로 개발 된 암호화 해시 함수의 계열이다.제품군에는 RIPEMD, [[RIPEMD-128]...)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RIPEMD(RIPE Message Digest)는 1992년(기존의 RIPEMD) 및 1996년 (다른 변형)으로 개발 된 암호화 해시 함수의 계열이다.제품군에는 RIPEMD, RIPEMD-128, RIPEMD-160, RIPEMD-256, RIPEMD-320과 같은 5가지 기능이 있으며, 이 중 RIPEMD-160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SHA-1SHA-2보다 덜 인기 있지만, 비트코인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하는 기타 크립토 통화에서 사용된다.

역사

1992년 EU 프로젝트 RIPE(Race Integrity Primitives Evaluation) 프레임 워크에서 MD4 해시 기능을 기반으로 한 RIPEMD가 설계되었다. 1996년, 기존의 RIPEMD에서 보안적인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벨기에의 루벤에 위치한 Katholieke UniversitLeuven의 COSIC연구 그룹의 Hans Dobbertin, Antoon Bosselaers, Bart Preenel이 RIPEMD-128, RIPEMD-160, RIPEMD-256, RIPEMD-320을 만들었다.

종류

  • RIPEMD-128 : 128비트를 사용하며, 기존의 RIPEMD의 대체품으로 도입되었다.
  • RIPEMD-160 : 160비트를 사용하며, 다른 버전과 다르게 어떤 특허에도 제약을 받지않는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전이다.
  • RIPEMD-256 : RIPEMD-128을 병렬 연결한 것으로, RIPEMD-128수준의 응용 프로그램 보다 긴 해시가 필요하고, 보안이 더 필요하다.
  • RIPEMD-320 : RIPEMD-160을 병렬 연결한 것이다. 320비트를 사용한다.

같이보기

각주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