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교통망'''(交通網)<!--교통망-->이란 [[교통로]]가 이러저리 [[분포]]되어 있는 상태를 [[그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dd6d7edb949494481d969af2fe59e5a 교통망]〉, 《네이버국어사전》 </ref>
+
'''교통망'''(交通網)<!--교통망-->이란 교통로가 이러저리 분포되어 있는 상태를 그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dd6d7edb949494481d969af2fe59e5a 교통망]〉, 《네이버국어사전》 </ref>
  
 
== 국가 교통망의 발전 ==
 
== 국가 교통망의 발전 ==
1960년대부터 본격 추진된 [[공업화]]와 이에 따른 [[산업]]의 발전으로 대한민국은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시설 등 국가 교통망이 급속히 발전하였다. 1970년 10%에 불과했던 [[도로포장률]]은 2014년 기준 92%에 달하며, [[도로]]의 총연장 길이도 3,864km에서 97,920km로 25배 넘게 증가하였다.
+
1960년대부터 본격 추진된 공업화와 이에 따른 산업의 발전으로 우리나라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시설 등 국가 교통망이 급속히 발전하였다. 1970년 10%에 불과했던 도로 포장률은 2014년 기준 92%에 달하며, 도로의 총연장도 3,864km에서 97,920km로 25배 넘게 증가하였다.
  
특히 [[고속국도]]는 1970년 550km에서 2014년 기준 4,139km로 늘어 [[국토]]의 많은 [[물동량]]을 담당하고 있다. 반면 [[철도]]의 총연장 길이는 1945년 2,114.2km에서 2014년 현재 3,590.3km로 약 1.7배 늘어나 비교적 안정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의 주요 간선노선이 [[일제강점기]]에 생겨났으며, 1970년대 [[교통]]에 대한 [[투자]]가 [[철도]] 증설보다는 [[도로망]]이나 [[항만시설]]의 [[확충]]에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특히 [[고속국도]]는, 1970년 550km에서 2014년 기준 4,139km로 늘어 국토의 많은 물동량을 담당하고 있다. 반면 철도의 총연장은 1945년 2,114.2km에서 2014년 현재 3,590.3km로 약 1.7배 늘어나 비교적 안정된 증가율을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의 주요 간선 노선이 일제강점기에 생겨났으며, 1970년대 교통에 대한 투자가 철도 증설보다는 도로망이나 항만 시설의 확충에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차량과 선로 개선에 따라 열차의 운행 속도는 지속해서 증가해 왔으며, 2004년 한국고속철도(KTX)의 개통으로 서울-부산을 2시간 18분에 주파할 수 있게 되었고, 2015년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노선이 건설되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여객 및 화물수송에 있어 도로는 80% 이상의 압도적인 분담률을 갖는다. 반면, 철도의 여객수송량은 지난 15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화물수송량도 도로와 철도에서 변화율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도로를 이용한 수송량은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반면 철도 수송량은 1998년과 비교해 절대량이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313.php# 국가 교통망의 발전]〉, 《대한민국국가지도집Ⅲ》 </ref>
 
그러나 차량과 선로 개선에 따라 열차의 운행 속도는 지속해서 증가해 왔으며, 2004년 한국고속철도(KTX)의 개통으로 서울-부산을 2시간 18분에 주파할 수 있게 되었고, 2015년에는 호남고속철도 전용 노선이 건설되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여객 및 화물수송에 있어 도로는 80% 이상의 압도적인 분담률을 갖는다. 반면, 철도의 여객수송량은 지난 15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화물수송량도 도로와 철도에서 변화율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도로를 이용한 수송량은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반면 철도 수송량은 1998년과 비교해 절대량이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313.php# 국가 교통망의 발전]〉, 《대한민국국가지도집Ⅲ》 </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