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군위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위군 군기
군위군 위치
군위군청

군위군(軍威郡)은 대구광역시 북부에 있는 군이다. 동쪽으로 경북 영천시청송군, 서쪽으로 경북 구미시, 남쪽으로 대구시 동구와 경북 칠곡군, 북쪽으로는 경북 의성군과 접한다. 2023년 7월 1일, 대구에 편입되었다.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 북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8˚ 24' 34″~128˚ 53' 54″, 위도상으로는 북위 36˚ 00' 15″~36˚ 19' 27″에 위치한다. 군의 동쪽 끝은 삼국유사면 학암리, 서쪽 끝은 소보면 보현리, 남쪽 끝은 부계면 남사리, 북쪽 끝은 소보면 사리리이며, 동서 간 거리는 70.4㎞, 남북 간 거리는 56.2㎞이다. 면적은 614.3㎞로 대구시 전체 면적의 약 41%를 차지하여 9개 구·군 가운데 가장 크다. 행정구역은 1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삼국유사면이 전체 면적의 18.7%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산성면이 전체 면적의 6%로 가장 작다. 인구는 2023년을 기준하여 약 2만 3600명으로 대구시 전체 인구의 약 1%를 차지하여 9개 구·군 가운데 가장 적다.

군을 상징하는 꽃은 개나리,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왜가리이다. 군을 대표하는 캐릭터는 군위군민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담아 진취적 기상과 패기 넘치는 인물로 형상화한 '장군이'이다. 군청 소재지는 군위읍 동부리이다.

군위군은 사과의 주 재배지이지만 사과를 특산물로 내세우는 지자체는 너무 흔하고, 그 외 마늘, 대추도 있지만 마늘은 의성, 대추는 경산이 더 인지도가 높은지라 유명세가 덜한 편이다.

군위를 대표하는 특산물로 오이가 있다. 대구·경북지역 오이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농가에서 유기질 비료나 직접 발효시킨 퇴비를 사용하고 특히 쌀겨, 식초, 흑설탕 등으로 만든 천연영양제를 사용해 질 높은 무공해 오이를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군위는 오이재배에 적합한 사질양토와 맑은 물, 일교차가 큰 기후 조건적 영향으로 오이 때깔이 고울 뿐만 아니라 표면에 주름이 많고, 요철이 심하고 크기가 크고 아삭아삭한 맛과 향기로 유명하다.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관학 협력을 통해 질 높은 명품오이 생산을 위한 연구, 기능성 제품개발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2][3]

자연환경[편집]

군의 최남단에 팔공산(八公山, 1,193m)이 우뚝 솟아 있어 대구광역시와 경계를 이루며, 지맥(支脈)이 동북쪽으로 뻗어 청송군 · 영천시와의 경계를 따라 분수령을 이룬다. 군의 동부인 삼국유사면 일대는 선암산(船巖山, 879m) · 아미산(峨嵋山, 418m) · 조림산(鳥林山, 638m) · 매봉(800m) · 방가산(756m) · 화산(華山, 828m) 등 높이 600∼800m의 높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부는 베틀산(369m) · 적라산(赤羅山, 252m) · 응봉산(鷹峰山, 279m) 등 200∼300m의 저산성 구릉지이고, 북부는 100∼200m의 낮은 구릉지이다.

위천(渭川)은 청송군 경계지역에서 발원해 삼국유사면 · 의흥면 · 우보면을 지나 북서류하다가 가산(架山) 북사면에서 발원해 효령면을 북류하는 사창천(社倉川)과 팔공산 북사면에서 발원해 부계면을 관통하고 효령면을 거쳐 북류하는 남천(南川)을 효령면 병수리에서 합한 뒤 다시 북류하다가 의성군 금성면에서 발원한 동천(東川)을 합류해 군의 중앙부를 북서쪽으로 흘러 낙동강의 본류로 흘러든다.

하천 양안에는 효령 · 군위 · 의흥 · 소보 등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해 있다. 남천 유역은 효령면과 부계면이며, 하곡저에 형성된 좁은 충적 평야는 경제적 중심지로서 하천 양안을 따라 사과재배가 활발하다.

내륙 산간에 위치하고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하며, 강수량이 적다. 연평균기온 14.8℃, 1월 평균기온 0.8℃, 8월 평균기온 25.8℃이며, 연 강수량은 1,222.4㎜이다.[4]

역사[편집]

군위읍 동부리와 효령면 장군리를 비롯한 군 전역에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과 선돌(입석)이 분포하여 선사시대부터 군위 지역에 취락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한 시대에는 진한(辰韓) 연맹체를 이룬 12 소국의 하나인 여담국(如湛國)의 영역으로 비정되며, 삼국시대에 신라에 복속되어 노동멱현(奴同覓縣, 지금의 군위읍 일대)·모혜현(芼兮縣, 지금의 효령면 일대)·부림현(缶林縣, 지금의 부계면 일대) 등이 설치되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757년(경덕왕 16) 주·군·현의 명칭과 행정체계를 정비하여 노동멱현을 군위현(軍威縣)으로, 모혜현을 효령현(孝靈縣)으로 개칭하고 숭선군(崇善郡, 지금의 구미시)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부림현이 부계현(缶溪縣)으로 개칭되었고, 지금의 의흥면 일대에 의흥군(義興郡)이 설치되었다. 1018년(현종 9) 전국 행정구역이 4도호부 8목(牧)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군위현·효령현·부계현은 상주목(尙州牧)의 속현(屬縣)으로 편제되었으며, 의흥군은 안동부(安東府)에 소속된 뒤 의흥현으로 개편되었다. 1143년(인종 21) 군위현·효령현·부계현은 다시 일선군(一善郡, 종전의 선산군)의 속현으로 환속되어 고려 말까지 유지되었다. 1284년(충렬왕 10)부터 국사(國師) 일연(一然)이 의흥현 화산의 인각사(麟角寺)에 5년간 머물며 입적할 때까지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1390년(공양왕 2) 군위현과 의흥현에 각각 감무(監務)가 파견되어 지방관이 다스리는 주현(主縣)이 되었다. 군위현의 감무가 효령현을 겸임하였으며, 부계현을 의흥현의 속현으로 두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413년(태종 13) 8도제가 시행되면서 군위현은 경상도 상주목에, 의흥현은 경상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에 편제되어 각각 현감(縣監)이 파견되었다. 1457년(세조 3)에는 지방 군사조직인 진관(鎭管) 체제가 시행되어 군위현은 안동진관(安東鎭管)에, 의흥현은 대구진관(大丘鎭管)에 각각 소속되었다. 이후 군위현·의흥현은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었다. 조선 후기에 각읍에서 편찬한 읍지(邑誌)를 모아 엮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군위현은 읍내면(현내면)·남면·서리면·석을본면(석본면)·성동면·소소본면·중리면·화곡면·효령면의 9개 면을 관할하였고, 의흥현은 현내면·내화리면(내화면)·부남면·부동면·부서면·소수리면(소수면)·신남면·우곡역면·우보리면(우보면)·중리면·파립전면(파립면)·하리면의 12개 면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8도제가 폐지되고 전국이 23부(府)로 개편되면서 군위현·의흥현은 군위군·의흥군으로 승격되어 대구부(大邱府)에 속하였다가 이듬해 23부제가 폐지되고 전국이 13도로 재편되면서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군위군이 의흥군을 병합하여 8개 면(군위면·고로면·부계면·산성면·소보면·우보면·의흥면·효령면)으로 편제되었다. 이때 종전 군위군의 현내면·남면·서리면이 군위면으로, 석본면·소소본면·화곡면과 선산군 산동면 일부가 소보면으로, 효령면과 중리면이 효령면으로, 종전 의흥군의 현내면·부남면·부서면이 부계면으로, 내화면·우산면과 의성군 산운면 일부 및 군위군 중리면 일부가 우보면으로, 중리면·파립면·하리면과 소수면 일부가 의흥면으로, 부동면·신남면이 산성면으로, 소수면 일부와 의성군 소야면이 고로면으로 각각 통합되었다. 1915년에는 의성군 소문면이 군위면에 편입되었다.

8·15광복 후에도 8면 행정구역 체제가 유지되었다. 이후 1973년 의성군 금성면 광현동이 군위면에, 선산군 산동면 도산동이 소보면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79년 군위면이 군위읍으로 승격되어 1읍 7면 체제가 갖추어졌다. 1983년 부계면의 고곡동·매곡동이 효령면에 편입되고 산성면의 원상동·금양동이 의흥면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소보면 대흥1·2리가 군위읍에 편입되었다. 2021년 고로면이 삼국유사면으로 개칭되었으며, 2023년 7월 군위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 2023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1(군위읍) 7(부계면·산성면·삼국유사면·소보면·우보면·의흥면·효령면) 180행정리 92법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편집]

제조업농업이 주산업을 이루며,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하는 3차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위천 등 하천 유역에 형성된 크고 작은 충적 평야에서 농사가 이루어지고, 구릉지나 저산지대의 임야에서 밭작물이 경작된다. 산성면의 백학저수지와 소보면의 산호저수지를 비롯하여 군내 곳곳에 370여 개소의 크고 작은 저수지가 조성되어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미곡은 소보면을 비롯하여 군위읍·효령면·의흥면·우보면 등 위천 유역의 평야지대에서 주로 재배되며, 채소류는 과채류의 오이·토마토, 엽채류의 배추, 근채류의 토란, 조미채소류의 양파·마늘 생산량이 많다. 과실류 생산량은 사과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두·복숭아도 많이 재배된다. 농특산물로는 당도가 높고 과육이 치밀한 군위사과와 아린 맛이 별로 없고 냄새도 거의 없는 웅녀마늘을 비롯하여 아삭이오이·알록이찰옥수수·양파·황금배·수박·자두 등이 꼽힌다. 소보면에 사과 품종 육성과 육종 기술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등을 수행하는 농촌진흥청 산하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가 있다.

식료품 제조업이 주류를 이룬다. 농공단지로는 1990년 효령면 중구리에 효령농공단지가 준공된 데 이어 1992년 군위읍 수서리에 군위농공단지가 준공되었다.

조선 시대의 상업 활동은 군위현에서 매달 끝자리가 2일과 7일인 날에 열린 읍내장을 비롯하여 효령장(孝令場, 3일·8일)과 화곡장(花谷場, 1일·6일), 의흥현의 읍내장(5일·10일)·신원장(薪院場, 1일·6일) 등이 5일장으로 열려 지역 상거래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오늘날 군위군의 전통시장은 군위읍의 군위시장이 매달 끝자리가 3일과 8일에 열리는 5일장과 상설시장을 병행하고, 이밖에 소보면의 소보장(2일·7일)과 우보면의 우보장(4일·9일), 의흥면의 의흥장(5일·10일) 등이 5일장으로 열린다. 이 밖에 유통업체는 효령면에 대규모 점포 1개소가 있다.

교통[편집]

서울에서 약 204㎞, 부산에서 약 125㎞, 광주에서 약 195㎞, 대전에서 약 107㎞ 거리에 있으며, 고속도로와 국도·지방도 등의 도로망이 연결된다. 고속도로는 부산과 강원 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중앙고속도로(고속국도 55호선)가 대구시 수성구·동구·북구와 군위군의 효령면·군위읍을 거쳐 가고, 경북 상주시영천시를 연결하는 상주영천 고속도로(고속국도 301호선)가 군위군의 소보면·군위읍·효령면·부계면·산성면을 경유한다. 군위 분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와 상주영천고속도로가 접속한다.

일반국도는 5호선이 경남 통영시 도남동을 기점으로 군위군의 효령면·군위읍을 거쳐 강원자치도 철원군 근북면까지 이어져 영남·충청·강원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한다. 국도 28호선이 경북 영주시 영주동을 기점으로 군위군의 우보면·의흥면·삼국유사면을 거쳐 경북 포항시 홍해읍까지 이어지고, 국도 67호선이 경북 칠곡군 왜관읍을 기점으로 군위읍까지 이어진다. 국도 5호선과 67호선이 군위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는 68호선이 충남 서천군 장항읍을 기점으로 군위군을 거쳐 경북 경주시 용강동까지 이어지고, 경남 창녕군을 기점으로 하는 79호선이 군위군을 거쳐 경북 안동시 풍천면까지 이어진다. 일반지방도는 충북 옥천군 이원면을 기점으로 군위군 효령면까지 이어지는 514호선을 비롯하여 908호선(군위군 산성면~경북 청송군 주왕산면)·919호선(경북 청도군 매전면~군위군 우보면)·923호선(칠곡군 지천면~군위군~경북 문경시 문경읍)·927호선(경북 구미시 고아읍~군위군~충북 단양군 대강면)·930호선(군위군 군위읍~포항시 청하면) 등이 군위군을 경유한다. 국지도 79호선과 지방도 919호선이 동군위 나들목에서, 지방도 923호선과 927호선이 서군위 나들목에서 상주영천 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간선 도로칠곡군 동명면을 기점으로 군위군을 거쳐 영주시 가흥동까지 이어지는 경북대로와 삼국유사면을 기점으로 영천시 화북면까지 이어지는 삼국유사로를 비롯하여 군위금성로(군위읍~의성군 금성면)·동부로(삼국유사면~경북 의성군 의성읍)·산성가음로(산성면~의성군 가음면)·치산효령로(영천시 신녕면~군위군 효령면)와 군청로·도군로·부흥로·소보안계로·아미산로·용매로·팔공산터널로·한티로·효우로 등이 군위 지역의 내·외곽을 연결한다. 군위읍 동부리에 수도권·충청권·영남권 방면의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군위 공용버스 터미널이 있다.

1938년 우보면의 우보역과 산성면의 화본역·봉림역이 영업을 개시하여 중앙선이 운행하였다. 지금의 중앙선은 서울 청량리역을 기점으로 종점인 경주시 모량역 간을 운행하며, 화본역에서 무궁화호 일부가 정차한다. 우보역과 봉림역은 2007년부터 여객 취급을 중지하였다.

관광[편집]

이름난 관광지는 적으나 팔공산 · 화산을 비롯한 수려한 산악 관광자원과 많은 유서 깊은 사찰이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부계면 남산리의 삼존석굴 · 삼존석굴모전석탑과 남산계곡, 대율리의 자연경관이 뛰어난 한밤성안과 막암, 삼국유사면 화북리의 학소대 · 인각사와 화산산성, 군위읍 상곡리의 선방산 지보사, 소보면 달산리의 청화산 법주사 등이 있다.

팔공 산맥이 나지막하게 이어지는 남산리에 높다랗게 치솟은 바위벽 속에 들어선 삼존석불은 493년(신라 소지왕 15년) 극달 화상이 창건했는데, 석굴 입구는 가로 4.25m, 세로 4.3m로 둥글게 뚫려 있으며, 내부 바닥은 사각형을 이룬다.

석굴 안에는 본존불인 아미타불이 중심에 앉아 있고, 그 좌우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서 있다. 삼존석굴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석굴 앞뜰에는 통일 신라시대에 조성한 군위 삼존석불모전석탑이 있다.

남산 계곡은 팔공산의 명소로 손꼽히는 계곡으로 주변 송림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어, 여름철이면 피서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는 유명한 곳이다. 학소대(鶴巢臺)는 위천 상류에 위치한 백학의 서식처로, 옛날에는 많은 백학들이 둥우리를 치고 서식했다고 해 학소대라 부른다.

위천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 642년(선덕여왕 11)의상대사가 세운 사찰로 대한민국 최고의 역사서 『삼국유사』를 낳은 유서 깊은 사찰 인각사가 있는데, 주위에 수십 층의 절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그 아래에는 맑고 깊은 소(沼)가 있고, 그 위를 날아다니는 백학의 모습이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운 운치를 자아낸다. 지금도 운치 있는 절경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삼국 유사면에서 덩치가 가장 큰 화산 산정부의 평지에는 1709년(숙종 35년) 병마절도사 윤숙이 전쟁에 대비해 쌓은 석성인 화산산성, 그리고 옥정영원(玉正靈源)이라 부르는 석간수가 있다. 선방산(船放山) 중턱에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한 지보사가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지보사삼층석탑이 있다.

청화산에서 원뿔처럼 뾰족하게 솟아오른 초봉의 남쪽 기슭에는 법주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보광명전 앞마당에는 5층석탑과 왕맷돌이 있다. 한밤성안은 부계면 대율리 입구 일대의 소나무숲으로, 대율초등학교 정문까지 도로 양쪽의 평지 약 5,000여 평에 200년이 넘은 아름드리 노송 수백 그루가 장관을 이룬다.

계절에 따른 송림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팔공산을 비롯한 주위의 높고 푸른 산, 계곡의 맑은 물, 소나무 사이에 흩어진 작은 암석들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그 외에 유성룡 · 홍천뢰 · 장현광 등이 휴양했다는 병암(屛巖) · 용아곡(龍牙谷) · 도연폭포(陶淵瀑布) · 아미산, 매봉산의 신흥사 등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매년 가을 군민의 날(10월 8일)을 전후하여 군민 화합을 다지는 군민축제가 열려 군위종합운동장에서 군민체육대회와 축하공연 및 불꽃놀이 등이 펼쳐진다. 단오(음력 5월 5일)에는 군위장군단오제가 열려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신라 김유신과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무(李茂) 세 장군의 위패를 봉안한 효령사(孝靈祠, 장군당)가 있는 효령면 장군리 일대에서 김유신 장군 주력부대의 통일로드 행렬 재현을 비롯하여 윷놀이·널뛰기·투호와 창포 머리감기, 단오 떡메치기 등의 단오놀이, 축하공연 등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이밖에 가을축제로 산성면의 추억 테마 박물관 '엄마 아빠 어렸을 적에'에서 화본마을축제가 열려 추억의 놀이와 웰빙 먹거리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삼국유사면에서 마라톤 동호인과 일반인이 참가하는 삼국유사 전국 마라톤대회가 열린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구미시〉, 《위키백과》
  2. 군위군〉, 《네이버 지식백과》
  3. 군위군〉, 《나무위키》
  4. 군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군위군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