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동구 (인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동구 구기
인천 동구 위치
동구청

동구(東區)는 인천광역시의 구이다. 동구는 1883년 인천항 개항 때부터 중구와 함께 도심을 이룬 인천광역시의 원도심으로, 인천광역시의 10개 기초 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작고 자치구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다.[1]

개요[편집]

인천광역시의 중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6° 35' 16"~126° 39' 22", 위도상으로는 북위 37° 27' 58"~37° 29' 45"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인천시 미추홀구, 남쪽으로는 중구, 북쪽으로는 서구에 접하고, 서쪽으로는 경기만에 접한다. 구의 동쪽 끝은 송림동, 서쪽과 북쪽 끝은 만석동 작약도, 남쪽 끝은 금곡동이며, 동서 간 거리는 5.83㎞, 남북 간 거리는 3.81㎞, 해안선 길이는 10.02㎞이다. 면적은 7.19㎢로 인천시 전체 면적의 0.7%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가장 작다. 행정구역은 11개 행정동(7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송현 3동이 전체 면적의 약 31%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송림 1동이 전체 면적의 0.3%로 가장 작다. 인구는 2018년을 기준하여 6만 7161명으로 인천시 전체 인구의 2.2%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옹진군 다음으로 적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철쭉, 나무는 소나무, 새는 갈매기이다. 구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화도진을 지키는 수군(水軍)을 모티브로 하여 작지만 당당하고 활기차게 동구를 지키는 모습으로 형상화한 '동이'이다. 구청 소재지는 송림동이다. 위치상 인천의 서쪽에 있는데도 동구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중구 송학동에 있던 인천 시청(현 중구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중구와의 경계선은 경인선이 가로지르고 있다.[2][3]

자연환경[편집]

경기만을 향하여 반도처럼 돌출한 지역에 위치하며, 중구와 함께 인천의 원도심에 해당한다. 해안 저지대와 해발고도 50m 안팎의 작은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천은 거의 발달하지 않았다. 해안과 인접한 동구의 서북부는 본래 구릉성 산지 사이로 좁은 해로가 형성되어 작은 배들이 오고 갔으며, 썰물 때 갯벌이 드러나는 간석지가 발달한 지역이었다. 1883년 개항 이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해안 매립 공사가 이루어져 괭이부리 섬[猫島, 지금의 만석동 괭이부리마을]이 육지화되는 등 간척지가 확대되어 지금의 넓은 시가지 및 산업지대로 변모하였으며, 굴곡이 복잡하였던 리아스식 해안도 직선 형태로 단순화되었다. 서북쪽 해상에 무인도인 작약도(물치도)가 딸려 있다.

연평균기온(2001~2010년)은 12.6℃로 인천광역시 평균(12.0℃)보다 다소 높다. 연평균 일 최고기온은 17.0℃, 연평균 일 최저기온은 9.0℃로 연평균 일교차가 8.0℃로 나타난다. 식물의 성장 가능 기간은 265.7일로 인천시 평균(256.8일)보다 9일가량 길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2.7㎜로 인천시 평균(1194.4㎜)보다 60㎜가량 많으며, 연평균 강수량의 60% 이상이 여름철에 내리는 하계 다우형이다.

역사[편집]

동구의 역사는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5년 송림산 산록에서 작은 돌도끼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인천 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선사시대 유물이다. 만석동에서는 1949년 흑색 점판암으로 된 길이 8.5㎝, 폭 5㎝ 크기의 돌도끼가 발견되었다. 한편 동구의 유일한 섬이며 과거 ‘물치 섬’이라 불렸던 작약도의 조개더미에서는 석기와 빗살무늬토기 및 돌 화살촉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해안 방어를 위한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어, 해안가에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이 축조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 창영동 일대에는 고려시대 쌓은 것으로 전해지는 성터가 남아 있었는데, 시가지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현재는 없어지게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고성 이 씨(固城李氏), 평창 이 씨(平昌李氏), 전주 이씨(全州李氏) 등이 자리 잡은 마을이 있었고, 그 외에 창녕 조씨(昌寧曺氏) 역시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현재도 이들의 후손이 많이 살고 있다.

동구는 구한말 처음으로 문호를 개방하여 근대 문물을 받아들인 지역으로 근대화의 역사적 현장이기도 하다.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와 1871년 신미양요(辛未洋擾) 등 외세의 잦은 침략으로 인천이 수도의 관문으로 인식되면서, 이 지역에 대한 방비책이 거론되었는데, 1879년(고종 16) 현재의 화수동 일대에 화도진이 설치되었고, 화도 진으로 하여금 묘도(괭이 부리), 북변 포대 등 7개 포대를 관할케 하였다. 화도진은 1882년 5월 22일 조선의 전권대신 신헌(申櫶)과 미국의 슈펠트(Robert W. Shufeldt) 제독이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역사적 장소이다. 1992년에는 이곳에 한미수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표지석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인구는 1883년 인천항 개항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자 국내 교통은 물론 세계 각국과의 외교 통상이 활발해져 사방에서 이주민이 유입되었다. 부두 주변에 급격히 시가지가 조성되어 동구 일대에 주로 상공업 관련 노무자들이 밀려들었다. 그리고 이들은 화평동과 화수동, 창영동, 송림동 등에 거주하면서, 주로 운반업을 하거나 부두 노동자와 공장 노동자로 종사하였다. 특히 인천항 개항과 함께 일본인들이 들어오면서 지금의 금곡동 일대 2000여 평의 대지 위에는 조선 성냥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곳은 300여 명의 종업원이 하루 수만 통의 성냥을 만들어 내던 국내 최초이자 최대의 성냥 제조공장이었다. 이 회사는 당시 국내 성냥 소비량의 20%를 점유할 정도로 그 규모가 대단하였다.

1903년(광무 7)에는 제물포 지구의 분동(分洞)이 이루어졌다. 시가지가 조성되고 주거지가 확대되어 새로운 취락이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인천 부 다소면 소속의 고잔리가 폐지되어 만석동, 화촌동, 평리로 분할되었고, 원래의 송림리도 송림리, 송현리, 우각리로 분할되었다.

1906년 11월에는 송림동과 노량진 간의 인천 상수도가 개설되었고, 1907년에는 화촌동이 화촌동, 신촌리, 수유동으로 분할되었으며, 평리는 평동으로 개칭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는 부내면(府內面)의 동리명이 개정되었다. 송림리, 송현리, 평동, 금곡리, 우각리, 만석동, 화촌동, 수유동 등이었는데, 모두 오늘날의 동구에 속해 있는 지명들이다.

1914년 4월 1일에는 지금의 중구와 동구 지역만을 인천부로 하고, 인천의 나머지 전역과 도서 지방을 통합해 부천군이라는 행정구역을 신설하였다. 아울러 인천 부의 정리명(町里名)을 개정하고 구역을 확정하였다. 이때 금곡리, 우각리, 송림리, 송현리는 그대로 두고, 평동과 화촌동을 통합해 화평리로, 만석리를 만석동으로 개칭하였다. 수유동 일부를 묘도정(猫島町)으로 독립시켰다.

한편 동구는 일제강점기 경인공업지대의 중심지였다. 1934년 현 동일방직(주)의 전신인 동양방적(주)이 설립되었고, 1937년 현 대우중공업의 전신인 조선 기계제작소가 설립되었다. 1940년에는 현 인천제철(주)의 전신인 조선 이 연금속(주)이 설립되었다.

광복 후인 1949년 5월, 동구는 인천시의 본청 관할 구역 내에 속하였다. 1956년 11월 23일 인천시 조례 제114호로 인천시 출장소 설치 조례가 개정되어 1957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때 기존의 5개 출장소 외에 본청 관할 구역을 중부, 북부, 동부, 남부 등 4개의 출장소 관할 구역으로 분획되었고, 여기에 각각 새로운 출장소가 증설되었다.

현재 동구의 모태가 된 행정구역은 북부출장소(11개동 관할)와 동부출장소(8개동 관할)가 관할했던 지역이다. 1963년 1월 1일 부천군 영종 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 만석동에 편입되었고, 북부출장소와 동부출장소가 병합되어 동구가 설치되었다.

1973년 3월 12일에는 동구 관할의 월미도가 중구로 편입되었다. 1981년 3월 13일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인천 직할시 동구가 되었으며, 그 후 1988년 5월 1일 동구는 자치구가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인천이 광역시로 개칭되면서, 동구는 인천광역시 동구로 불리게 되었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 구역은 행정구역은 11개 행정동(금창동, 만석동, 송림 1동, 송림 2동, 송림 3·5동, 송림 4동, 송림 6동, 송현 1·2동, 송현 3동, 화수 1·화평동, 화수 2동) 7개 법정동(금곡동·만석동·송림동·송현동·창영동·화수동·화평동)으로 이루어져 있다.[4]

산업[편집]

산업은 제조업이 가장 활발하며, 서비스업을 기반으로 하는 3차 산업의 비중도 크다. 지역 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3조 4993억 원으로 인천시 전체 GRDP의 약 4%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8번째에 해당한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제조업(2조 317억 원)이 66%를 웃돌고, 이 밖에 도소매업(5.8%), 부동산업(4.7%), 교육서비스업(3.8%),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3.8%) 등의 순이다.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10개 군·구 가운데 서구·남동구·부평구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2018년을 기준하여 사업체 수는 7778개로 인천시 전체 사업체의 3.8%, 사업체 종사자는 3만 4550명으로 인천시 전체 종사자의 3.2%를 차지하여 10개 군·구 가운데 8번째에 해당한다. 사업체별로는 도소매업체(34.6%)와 제조업체(20.8%)가 전체 사업체의 55%를 웃돌고, 지역별로는 전체 사업체의 약 47%가 송림 4동(27.5%)과 송현 3동(19.1%)에 분포한다.

제조업은 북부의 해안 매립지가 임해공업지대로 조성되어 일제강점기에 동일방직의 전신인 동양 방적, 대우 중공업의 전신인 조선 기계제작소를 비롯하여 방적·기계·금속 부문의 공장들이 가동되었으며, 오늘날에는 현대제철(주)·현대 두산인프라코어(주)·동국제강(주) 인천공장을 비롯하여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중공업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동구의 제조업은 기타 기계·장비를 비롯하여 금속가공품, 전기장비,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식료품 등의 비중이 크다. 전통시장으로는 송현동의 송현 자유시장·송현시장·중앙시장, 송림동의 동부시장·현대 시장 등이 상설시장으로 운영된다.

교통[편집]

도로 교통은 국도 6호선이 중구 북성동을 기점으로 하여 동구의 만석동·화수동·송현동·송림동을 거쳐 강원도 강릉시까지 이어지고, 부산시 중구를 기점으로 하는 국도 77호선이 경남·전남·전북·충남·경기도와 동구의 만석동~송림동을 거쳐 파주시 문산읍까지 이어진다.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는 84호선(인천시 강화군~강원도 원주시)과 경기·인천 지역을 순환하는 98호선이 동구를 경유한다. 이 밖에 주요 도로는 송현동에서 서구 금곡동까지 이어지는 중봉대로를 비롯하여 인천대로·봉수대로·인중로·제물량로 등이 있다. 철도 교통은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산역에서 인천시 중구 인천역까지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금창동의 도원역을 거쳐 간다.

관광[편집]

화수동에 조선 말기 외침에 대비하여 설치한 화도 진지(花島鎭址, 인천 기념물)가 남아 있어 옛 군영(軍營)을 복원하고 전시관과 화도진공원을 조성하였다. 화도진공원에는 인천에서 처음으로 인공폭포가 설치되고 5월에 만발하는 철쭉을 비롯하여 계절마다 경관도 수려하여 도심의 휴식처로 인기가 높다. 송현동의 수도국산에 조성된 송현근린공원에는 인천 최초의 상수도 시설인 송현 배수지 제수 변실(인천 문화재자료)이 남아 있으며, 1960~1970년대 수도국산에 형성되었던 달동네 서민의 생활상을 테마로 하는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이 조성되어 있다. 창영동에는 동구의 역사와 문화콘텐츠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을 통하여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감 콘텐츠 체험관 '탐', 송현동에는 실버세대 전용관으로 추억 극장 미림이 조성되어 있다.

이 밖에 인천 원도심 서민들의 애환이 서린 금곡동 배다리 마을의 벽화 거리와 배다리 헌책방 거리, 배다리 근대문화길, 동구 출신의 프로야구 선수 류현진의 모교인 동산고등학교 주변에 조성한 류현진 야구 거리,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만석부두와 화수부두 등의 명소가 있다. 먹거리촌으로는 세숫대야 냉면으로 유명한 화평동 냉면거리를 비롯하여 만석동 주꾸미 거리, 송현동 순대 골목 거리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걷기 길로는 도원역에서 배다리 헌책방 거리 등지를 거쳐 동인천 역 북광장에 이르는 4.9㎞ 구간의 연탄길과 부두 길 등의 인천 둘레길이 동구에 조성되어 있다.

생활 문화[편집]

1990년 정월대보름 맞이 행사로 시작된 화도진 축제가 2000년부터 매년 5월에 개최되어 화도진공원과 동인천 역 북광장 일원에서 이틀간 어영대장 축성 행렬, 교지 하사식, 화도진 준공 재현식을 비롯하여 문화 예술 공연, 구민 노래자랑, 군영(軍營)·공예 체험 등의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동인천 역 북광장 일원에서는 10~12월 중에 1970~198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동인천의 추억과 낭만을 되새기는 '동인천 낭만 시장' 축제가 열려 문화공연과 벼룩시장을 비롯한 공연·전시·체험 프로그램 등이 진행된다. 이 밖에 매년 5월경에 화도진공원에서 국가무형문화재 공개 행사의 일환으로 황해도 평산 소 놀음굿을 공연한다.

문화재[편집]

시 지정 문화재로는 인천유형문화재 3점(인천창영 초등학교(구) 교사, 인천 기독교 사회복지관,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인천 기념물 1점(화도 진지), 인천문화재자료 2점(인천 해관 문서, 송현 배수지 제수변실) 등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동구〉, 《위키백과》
  2. 동구〉, 《네이버 지식백과》
  3. 동구〉, 《나무위키》
  4. 동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 동구〉, 《위키백과》
  • 동구〉, 《네이버 지식백과》
  • 동구〉, 《나무위키》
  • 동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동구 (인천)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