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랜섬웨어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후, 암호화해서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다음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랜섬웨어는 주로 [[이메일]] 첨부파일이나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들어오기도 하고, 확인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내려받기 하는 과정에서 들어오기도 한다. 랜섬웨어를 만들어 불법적인 경로로 돈을 벌려는 해커들의 근거지는 주로 해외에 있기 때문에 정체가 드러나지 않으며, 피해를 당했더라도 범인을 잡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09905&cid=58598&categoryId=59316 랜섬웨어]〉, 《네이버 지식백과》</ref>
 
랜섬웨어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후, 암호화해서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다음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랜섬웨어는 주로 [[이메일]] 첨부파일이나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들어오기도 하고, 확인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내려받기 하는 과정에서 들어오기도 한다. 랜섬웨어를 만들어 불법적인 경로로 돈을 벌려는 해커들의 근거지는 주로 해외에 있기 때문에 정체가 드러나지 않으며, 피해를 당했더라도 범인을 잡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09905&cid=58598&categoryId=59316 랜섬웨어]〉, 《네이버 지식백과》</ref>
  
랜섬웨어는 1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사용자 PC에 있는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암호를 걸어놓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당시에 공격자가 걸어놓은 암호화의 수준이 낮아 복호화 방법을 찾아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비교적 순조로웠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등장한 2013년 하반기,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파일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크립토락커]](CryptoLocker)가 등장하면서 사용자 PC는 랜섬웨어 앞에서 속수무책이 되었다.
+
랜섬웨어는 1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사용자 PC에 있는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암호를 걸어놓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당시에 공격자가 걸어놓은 암호화의 수준이 낮아 복호화 방법을 찾아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비교적 순조로웠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등장한 2013년 하반기,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파일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크립토락커가 등장하면서 사용자 PC는 랜섬웨어 앞에서 속수무책이 되었다.
  
 
크립토락커는 사용자 PC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나 사진 파일을 공개키 암호화 방식인 RSA-2048로 암호화하여 피해자에게 암호 해독키를 원하면 지정한 기한 안에 돈을 송금하라고 협박한다. 공격자는 정해준 기한 안에 돈을 보내지 않는다면 파일 복구는 물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압박한다. 돈 역시 강력한 보안이 뒷받침되는 비트코인으로 받기 때문에 범인 추적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크립토락커가 등장하면서 컴퓨터 암호화 방식이 랜섬웨어의 대세로 자리잡기 시작했고, 보다 어려운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인질로 삼는 다양한 랜섬웨어가 등장했다.
 
크립토락커는 사용자 PC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나 사진 파일을 공개키 암호화 방식인 RSA-2048로 암호화하여 피해자에게 암호 해독키를 원하면 지정한 기한 안에 돈을 송금하라고 협박한다. 공격자는 정해준 기한 안에 돈을 보내지 않는다면 파일 복구는 물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압박한다. 돈 역시 강력한 보안이 뒷받침되는 비트코인으로 받기 때문에 범인 추적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크립토락커가 등장하면서 컴퓨터 암호화 방식이 랜섬웨어의 대세로 자리잡기 시작했고, 보다 어려운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인질로 삼는 다양한 랜섬웨어가 등장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