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머니투데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머니투데이'''(Money Today)]]
+
[[파일:머니투데이 로고.jpg|썸네일|200픽셀|'''머니투데이''' 로고]]
[[파일:머니투데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머니투데이'''(Money Today)]]
+
[[파일:머니투데이 로고와글자.png|썸네일|300픽셀|'''머니투데이''' 로고와 글자]]
 +
[[파일:홍선근.jpg|썸네일|200픽셀|'''[[홍선근]]''' 머니투데이 회장]]
 +
[[파일:김준형.jpg|썸네일|200픽셀|'''[[김준형]]''' 머니투데이 편집국장]]
  
[[파일:홍선근.jpg|썸네일|200픽셀|'''[[홍선근]]''' 회장]]
+
'''머니투데이'''<!--머니투데이-->는 머니투데이(MONEY TODAY)는 1999년 9월 22일 설립되고,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한 미디어그룹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149 청계 11빌딩에 위치해 있다. 대표이사 회장은 [[홍선근]]이고 편집국장은 [[김준형]]이다.  
[[파일:김준형.jpg|썸네일|200픽셀|'''[[김준형]]''' 편집국장]]
 
 
 
'''머니투데이'''<!--머니 투데이-->(Money Today)는 1999년 9월 22일 설립되고,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한 미디어 그룹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149 청계 11빌딩에 위치해 있다. 회장은 [[홍선근]]이고, 대표이사는 [[박종면]]이며, 편집국장은 [[김준형]]이다.
 
 
 
== 개요 ==
 
== 개요 ==
 
[[머니투데이]]는 1999년 9월 22일 설립된 ㈜머니투데이가 2000년 1월 1일 최초의 금융·증권 전문 인터넷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이어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하면서 온라인과 지면 신문을 만들고 있다. 2004년 리얼타임 연예속보 '스타뉴스' 콘텐트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05년 벤처기업으로 지정되었다. 2006년 1월부터 출판사업을 시작하였다. 2008년 10월 1일에는 MCN을 인수하여 MTN(머니투데이방송)을 개국했고, 민영 뉴스통신사로는 2011년 4월 뉴스1을 출범했고, 2014년 7월 뉴시스를 인수했다. 주요 서비스는 증권·금융·산업·정보통신·국제·부동산·특집기획 등이다. 사업 분야는 온라인 광고, IR(투자자관계·기업설명활동) 서비스, 뉴스 판매 및 제휴 서비스, 오프라인 신문 광고·마케팅 등이며, 온라인·오프라인 매체별로 사업을 진행한다. 신문의 본래 기능 외에 증권사·인터넷 포털사이트·금융기관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뉴스를 서비스하고, 블룸버그·로이터·텔리레이트 등 해외 통신사에도 기사를 전송하고 있다.<ref>〈[http://www.mt.co.kr/company/intro/outline.htm 머니투데이 회사소개]〉</ref>
 
[[머니투데이]]는 1999년 9월 22일 설립된 ㈜머니투데이가 2000년 1월 1일 최초의 금융·증권 전문 인터넷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이어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하면서 온라인과 지면 신문을 만들고 있다. 2004년 리얼타임 연예속보 '스타뉴스' 콘텐트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05년 벤처기업으로 지정되었다. 2006년 1월부터 출판사업을 시작하였다. 2008년 10월 1일에는 MCN을 인수하여 MTN(머니투데이방송)을 개국했고, 민영 뉴스통신사로는 2011년 4월 뉴스1을 출범했고, 2014년 7월 뉴시스를 인수했다. 주요 서비스는 증권·금융·산업·정보통신·국제·부동산·특집기획 등이다. 사업 분야는 온라인 광고, IR(투자자관계·기업설명활동) 서비스, 뉴스 판매 및 제휴 서비스, 오프라인 신문 광고·마케팅 등이며, 온라인·오프라인 매체별로 사업을 진행한다. 신문의 본래 기능 외에 증권사·인터넷 포털사이트·금융기관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뉴스를 서비스하고, 블룸버그·로이터·텔리레이트 등 해외 통신사에도 기사를 전송하고 있다.<ref>〈[http://www.mt.co.kr/company/intro/outline.htm 머니투데이 회사소개]〉</ref>
12번째 줄: 10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홍선근]]''' : 1960년 7월 29일생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 출신으로 1984년 한국일보 입사, 워싱턴 특파원, 논설위원 등 역임하였고 1999년 머니투데이를 창립했다. 현재 뉴스1코리아 대표이사 회장, 머니투데이 대표이사 회장직을 맡고있다.<ref>〈[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D%99%8D%EC%84%A0%EA%B7%BC&os=212863&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인물검색 - 홍선근]〉</ref>
 
* '''[[홍선근]]''' : 1960년 7월 29일생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 출신으로 1984년 한국일보 입사, 워싱턴 특파원, 논설위원 등 역임하였고 1999년 머니투데이를 창립했다. 현재 뉴스1코리아 대표이사 회장, 머니투데이 대표이사 회장직을 맡고있다.<ref>〈[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D%99%8D%EC%84%A0%EA%B7%BC&os=212863&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인물검색 - 홍선근]〉</ref>
 
 
* '''[[김준형]]''' : 196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KDI 국제정책대학원 MBA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경제부, 사회부, 국제부 기자를 거쳐 뉴욕특파원을 지냈으며, 증권·금융·정책 분야를 주로 취재했다. 1999년 머니투데이 창간멤버로 참여하였고 현재 머니투데이 편집국장이다.<ref>〈[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A%B9%80%EC%A4%80%ED%98%95&os=211019&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인물검색 - 김준형]〉</ref>
 
* '''[[김준형]]''' : 196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KDI 국제정책대학원 MBA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경제부, 사회부, 국제부 기자를 거쳐 뉴욕특파원을 지냈으며, 증권·금융·정책 분야를 주로 취재했다. 1999년 머니투데이 창간멤버로 참여하였고 현재 머니투데이 편집국장이다.<ref>〈[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A%B9%80%EC%A4%80%ED%98%95&os=211019&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인물검색 - 김준형]〉</ref>
  
41번째 줄: 38번째 줄:
 
* 2010년 01월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모바일웹 서비스 오픈
 
* 2010년 01월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모바일웹 서비스 오픈
 
* 2010년 04월 패션정보 스타일M 서비스 개시
 
* 2010년 04월 패션정보 스타일M 서비스 개시
* 2011년 02월 [[홍선근]] 대표이사 회장 추대
+
* 2011년 02월 홍선근 대표이사 회장 추대
 
* 2011년 03월 장애인정보포털 포옹 사이트 런칭
 
* 2011년 03월 장애인정보포털 포옹 사이트 런칭
 
* 2011년 04월 민영 뉴스 통신사 ‘뉴스1’ 창립
 
* 2011년 04월 민영 뉴스 통신사 ‘뉴스1’ 창립
61번째 줄: 58번째 줄: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블록체인 컨퍼런스 체인플러스 개최 ===
+
=== 블록체인 컨퍼런스 '체인플러스' 개최 ===
[[블록체인]] 융합 서밋 [[체인플러스]]는 [[머니투데이]] 방송과 [[체이너스]]가 주최하며 1월 23일 ~ 24일 서울 용산 드래곤 시티에서 개최한다. 미국, 중국 등 8개국에서 70여개의 프로젝트, 120여개의 미디어, 2,000 여명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유명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팀 드레이퍼, 에드워드 시클루나 몰타 재무부 장관인, 중국 항주 정부에서 5천억원 투자유치를 받은 숑안펀드 회장인 야오 용지에 등이 한국을 찾는다.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도시 서울을 추진 중인 [[박원순]] 서울 시장이 연사로 나서 정부 입장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제시한다.<ref>임유경 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90110163745 블록체인 컨퍼런스 '체인플러스' 23-24일 개최]〉, 《지디넷코리아》, 2019-01-10</ref>
+
'2019 [[블록체인]] 융합 서밋 체인플러스'는 [[머니투데이]]방송과 체이너스가 공동주최하는 2019년 첫 블록체인 컨퍼런스이다. 1월 23일 ~ 24일 서울 용산 드래곤 시티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 중국 등 8개국에서 70여개의 프로젝트, 120여개의 미디어, 2,000 여명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기존 [[암호화폐]] 산업의 대안으로 부상한 증권화[[토큰]](STO),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등 [[블록체인]] 핵심 이슈 및 전망을 다룰 예정이다. 유명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팀 드레이퍼, 에드워드 시클루나 몰타 재무부 장관인, 중국 항주 정부에서 5천억원 투자유치를 받은 숑안펀드 회장인 ‘[[야오 용지]]에’ 등이 한국을 찾는다.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도시 서울을 추진중인 [[박원순]] 서울 시장이 연사로 나서 정부 입장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사례를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대표적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의 [[신현성]] 대표가 [[스테이블 코인]]의 미래와 실생활에서의 응용에 대해 발표한다. 행사에서는 기술의 변화에 정부 정책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기업들은 퍼블릭 [[체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와 디앱([[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을 향한 3.0[[플랫폼]]들의 치열한 전투, [[블록체인]] 산업 번성의 기초,  전통 금융시장에 새로운 지평을 가져올 [[STO]]의 등장, 진화하는 [[거래소]]와 투자 등을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
<ref> [[임유경]] 기자,〈[https://www.zdnet.co.kr/view/?no=20190110163745 블록체인 컨퍼런스 '체인플러스' 23-24일 개최]〉,《[[지디넷코리아]]》,2019-01-10</ref>
 +
 
 +
=== 글로벌 컨퍼런스‘2019 키플랫폼(K.E.Y. PLATFORM 2019)’개최 ===
 +
2019년 4월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머니투데이]]미디어 주관으로 글로벌 콘퍼런스‘2019 키플랫폼(K.E.Y. PLATFORM 2019)’가 열렸다.
 +
탈중앙화를 앞세운 [[블록체인]] 기술이 우버와 에어비앤비 등 중앙회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IT]][[플랫폼]] 업체를 대체할 것이라는 의견이나왔다. 이 행사에 참여한 미카 알콘 오리진 프로토콜 엔지니어는 "우버와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경제 업체들은 진정한 의미의 [[P2P]] 마켓이 아니다"라며 "[[블록체인]]은 중개자 없이도 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거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이를 대체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탈중앙화]]한 마켓 [[플랫폼]]을 구축하는 회사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모든정보를 공유하고 공개하는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하여 물건을 판매하기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홈페이지를 구축시킬 필요없이 누구에게나 손쉽게 거래[[플랫폼]]을 만들 수 있게 돕는다.  그는 [[블록체인]]은 불필요한 수수료를 없애 거래 참여자 모두에게 이익을 줄 수 있고, 중앙 통제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며 중앙집중형 서비스는 20~30%에 달하는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실제 종사자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은 적다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을 활용하면 보다 수평적인 [[P2P]] 거래 시장을 만들 수 있고 시장 참여자 모두 기존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P2P]] [[플랫폼]]이 거대 공유경제 업체들보다 더 높은 경쟁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블록체인]]이 전세계인들의 일상을 크게 바꾸는 기술이 될 것이며 [[블록체인]]은 기술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것이라고 말했다.<ref> 박대호 기자,〈[http://www.newspedia.center/news/articleView.html?idxno=747 "탈중앙화 앞세운 블록체인 기술, 우버·에어비앤비 대체할 것"]〉,《뉴스피디아》,2019-04-26</ref>
 +
 
  
=== 글로벌 컨퍼런스 키플랫폼 개최 ===
 
2019년 4월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머니투데이]] 미디어 주관으로 글로벌 콘퍼런스2019 키플랫폼 2019 가 열렸다. 이 행사에 참여한 미카 알콘 오리진 프로토콜 엔지니어는 우버와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경제 업체들은 진정한 의미의 [[P2P]] 마켓이 아니며 [[블록체인]]은 중개자 없이도 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거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이를 대체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ref> 박대호 기자,〈[http://www.newspedia.center/news/articleView.html?idxno=747 "탈중앙화 앞세운 블록체인 기술, 우버·에어비앤비 대체할 것"]〉,《뉴스피디아》,2019-04-26</ref>
 
  
 
{{각주}}
 
{{각주}}
77번째 줄: 78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뉴시스]]
+
* [[블록체인]]
* [[더벨]]
 
* [[홍선근]]
 
* [[박종면]]
 
* [[김준형]]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로고 필요}}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