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보합 관련 ==
 
== 보합 관련 ==
 +
=== 보합제 ===
 +
[[보합제]](步合制)란 실적과 능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제도를 말한다. 매상고나 계약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으로서 균일보합제와 누진보합제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상업·보험 등의 외근사원에 적용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기업경영의 리스크를 근로자에게 전가시켜 임금수입을 극도로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임금의 유지 및 증대를 구하는 근로노력에 경영의 기초를 두려고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임금정책이다. 넓은 뜻에서는 능률급제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나 능률급 본연의 뜻과는 좀 거리가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2880&cid=40942&categoryId=31847 보합제]〉, 《두산백과》</ref>
 
=== 주식 보합 ===
 
=== 주식 보합 ===
 
주식시장은 거래시간 동안 매매가 이뤄지면 시세가 결정된다. 주식 시세 데이터나 주가 차트를 보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종목들의 가격 변화 움직임을 보면서 거래 시장의 특성 또한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주식 종목의 경우에는 가격 움직임이 거의 없이 몇 시간, 더 나아가, 하루라는 제법 긴 거래 시간 동안에도 시세 변화가 거의 없는 주가 상태인 경우도 제법 많다. 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의 시세를 의미한다. 보합 뜻과 보합세 뜻이 다소 차이가 있다. 보합은 상태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면, 보합세는 특정 상태에서의 시세(가격)를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강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약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낮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강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높아진 것을 의미하며 약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낮아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이 두 용어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혹은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한다. 특히, '주식시장이 약보합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주식시장의 지표가 되는 주가지수가 상승하는 흐름이 전개되다가 하락 기조가 높아져 주가지수 하락 흐름이 전개됨에 따라 당일 주가지수의 시작 시세 보다 낮은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주식시장은 거래시간 동안 매매가 이뤄지면 시세가 결정된다. 주식 시세 데이터나 주가 차트를 보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종목들의 가격 변화 움직임을 보면서 거래 시장의 특성 또한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주식 종목의 경우에는 가격 움직임이 거의 없이 몇 시간, 더 나아가, 하루라는 제법 긴 거래 시간 동안에도 시세 변화가 거의 없는 주가 상태인 경우도 제법 많다. 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의 시세를 의미한다. 보합 뜻과 보합세 뜻이 다소 차이가 있다. 보합은 상태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면, 보합세는 특정 상태에서의 시세(가격)를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강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약보합이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다소 낮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강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높아진 것을 의미하며 약보합세란 가격 변화가 거의 없지만 이전 가격과 비교해서 가격이 다소 낮아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이 두 용어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혹은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한다. 특히, '주식시장이 약보합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주식시장의 지표가 되는 주가지수가 상승하는 흐름이 전개되다가 하락 기조가 높아져 주가지수 하락 흐름이 전개됨에 따라 당일 주가지수의 시작 시세 보다 낮은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종목들의 주가 상승 탄력이 둔화되거나, 혹은, 종목들의 주가가 전일 대비 하락으로 마감하게 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돌아섰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강보합세로 주식시장이 전환되는 경우, 해당 주식시장 전반적으로 하락 기조가 다소 약해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보합과 보합세라는 두 주식 투자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흔치 않기도 한다. 두 주식 용어의 작지만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상호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도 나름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주식시장에서의 다양한 지수(인덱스), 섹터 지수, 테마 지수를 비롯해 주식 종목들의 주가 등 다양한 가격(시세) 변화율 혹은 변동폭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보합' 혹은 '보합세'라는 용어를 사용해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점 때문에 단지 특정 주식 종목의 가격이 보합 상태에 있다 혹은 보합세를 형성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코스피 보합세' 혹은 '코스닥 보합세'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시세의 변화를 표현한다. 시장의 지수 상태 변화는 단지 가격 혹은 시세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로 인해 시장 환경의 변화 혹은 대내외적인 경제 변화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해 주식시장 혹은 투자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특히, 강보합세에서 약보합세로 변하거나, 반대로, 약보합세에서 강보합세로 변하는 것은 시장이 하락 흐름이 진행되거나 혹은 강한 흐름이 진행되는 시작 시점에서는 거치게 되는 시세라는 점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ref>이코노와이드 편집장 : 해피쿠스, 〈[https://econowide.com/3965 주식 보합이란? 보합 보합세 뜻과 강보합 약보합 개념]〉, 《이코노와이드》</ref>  
 
이런 상황이라면, 종목들의 주가 상승 탄력이 둔화되거나, 혹은, 종목들의 주가가 전일 대비 하락으로 마감하게 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강보합세로 돌아섰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강보합세로 주식시장이 전환되는 경우, 해당 주식시장 전반적으로 하락 기조가 다소 약해진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는 보합과 보합세라는 두 주식 투자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흔치 않기도 한다. 두 주식 용어의 작지만 큰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상호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도 나름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주식시장에서의 다양한 지수(인덱스), 섹터 지수, 테마 지수를 비롯해 주식 종목들의 주가 등 다양한 가격(시세) 변화율 혹은 변동폭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보합' 혹은 '보합세'라는 용어를 사용해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점 때문에 단지 특정 주식 종목의 가격이 보합 상태에 있다 혹은 보합세를 형성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코스피 보합세' 혹은 '코스닥 보합세'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시세의 변화를 표현한다. 시장의 지수 상태 변화는 단지 가격 혹은 시세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로 인해 시장 환경의 변화 혹은 대내외적인 경제 변화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해 주식시장 혹은 투자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특히, 강보합세에서 약보합세로 변하거나, 반대로, 약보합세에서 강보합세로 변하는 것은 시장이 하락 흐름이 진행되거나 혹은 강한 흐름이 진행되는 시작 시점에서는 거치게 되는 시세라는 점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ref>이코노와이드 편집장 : 해피쿠스, 〈[https://econowide.com/3965 주식 보합이란? 보합 보합세 뜻과 강보합 약보합 개념]〉, 《이코노와이드》</ref>  
 
 
=== 보합권 ===
 
=== 보합권 ===
 
보합권(保合圈)은 시세가 변동하지 않거나 변동의 폭이 극히 적은 범위를 말한다. 즉,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고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승과 하락이 크게 이루어 지지 않고 전일의 주가수준가 비슷하게 (보합) 성립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일주가가 10,000원에서 11,000으로 10% 상승하거나 9,000원으로 하락하지 않고 9950~10050원 정도 선으로 전일 주가와 크게 변동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ref>다성,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4&dirId=40102&docId=32761284&qb=67O07ZWp6raM&enc=utf8&section=kin.ext&rank=2&search_sort=0&spq=0 보합권이 먼가요??]〉, 《지식iN》, 2005-07-08</ref>  
 
보합권(保合圈)은 시세가 변동하지 않거나 변동의 폭이 극히 적은 범위를 말한다. 즉,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고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상승과 하락이 크게 이루어 지지 않고 전일의 주가수준가 비슷하게 (보합) 성립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일주가가 10,000원에서 11,000으로 10% 상승하거나 9,000원으로 하락하지 않고 9950~10050원 정도 선으로 전일 주가와 크게 변동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ref>다성,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4&dirId=40102&docId=32761284&qb=67O07ZWp6raM&enc=utf8&section=kin.ext&rank=2&search_sort=0&spq=0 보합권이 먼가요??]〉, 《지식iN》, 2005-07-08</ref>  
26번째 줄: 27번째 줄: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12일 원/달러 환율이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0.4원 내린 달러당 1,245.8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미국 물가 상승세 둔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하며 전날 종가보다 4.2원 내린 1,242.0원에 개장했지만 이벤트 대기 장세 속에 낙폭이 제한되며 환율은 수급에 따라 등락했다. 환율은 장중 1,239.8∼1,246.8원에서 오르내리다 보합권에서 마감했으며 이날 밤에는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계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2월 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올라 전월의 7.1%보다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환시장은 CPI 발표에서 미국 물가 상승세의 둔화 여부를 확인한 뒤 방향성을 탐색할 전망이다. 이날 엔화는 일본은행(BOJ)이 초완화적 통화정책의 부작용을 검토할 것이란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2023년 1월 12일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5.83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1.77원)에서 4.06원 올랐다.<ref>오주현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30112123100002?input=1195m 원/달러 환율 보합권 마감…미국 물가 발표 대기]〉, 《연합뉴스》, 2023-01-12</ref>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12일 원/달러 환율이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0.4원 내린 달러당 1,245.8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미국 물가 상승세 둔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하며 전날 종가보다 4.2원 내린 1,242.0원에 개장했지만 이벤트 대기 장세 속에 낙폭이 제한되며 환율은 수급에 따라 등락했다. 환율은 장중 1,239.8∼1,246.8원에서 오르내리다 보합권에서 마감했으며 이날 밤에는 미국의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계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2월 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올라 전월의 7.1%보다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환시장은 CPI 발표에서 미국 물가 상승세의 둔화 여부를 확인한 뒤 방향성을 탐색할 전망이다. 이날 엔화는 일본은행(BOJ)이 초완화적 통화정책의 부작용을 검토할 것이란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2023년 1월 12일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5.83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1.77원)에서 4.06원 올랐다.<ref>오주현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30112123100002?input=1195m 원/달러 환율 보합권 마감…미국 물가 발표 대기]〉, 《연합뉴스》, 2023-01-12</ref>
 
=== 보합제 ===
 
[[보합제]](步合制)란 실적과 능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제도를 말한다. 매상고나 계약고에 따라 지급되는 임금으로서 균일보합제와 누진보합제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상업·보험 등의 외근사원에 적용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기업경영의 리스크를 근로자에게 전가시켜 임금수입을 극도로 불안정하게 함으로써 임금의 유지 및 증대를 구하는 근로노력에 경영의 기초를 두려고 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임금정책이다. 넓은 뜻에서는 능률급제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으나 능률급 본연의 뜻과는 좀 거리가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2880&cid=40942&categoryId=31847 보합제]〉, 《두산백과》</ref>
 
  
 
== 동영상 ==
 
== 동영상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