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그레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비트그레일'''<!--비트 그레일-->(BitGrail)은 [[이탈리아]]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창업자는 [[프란체스코 피라노]](Francesco Firano)이다. 2018년 2월 해킹 공격을 당해 [[나노코인]](Nanocoin) 1,700만개를 도난 당했다.<ref>문가용 기자,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6788&kind=1 없어진 나노 코인 두고 거래소와 코인 개발자 옥신각신]〉, 《보안뉴스》, 2018-02-13</ref> 비트그레일은 오픈한지 1년 만에 해킹 공격을 당해 파산까지 이어졌다. 2018년 초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체크]]가 해킹을 당해 580억엔(5천648억 원) 규모의 코인을 도난당한 사건 이후 비트그레일의 해킹 사례는 2018년도에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고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2019년 1월 이탈리아 법원은 이번 암호화폐 해킹 사건은 비트그레일 거래소에 책임이 있으므로, 피해금액 1,900억원을 고객들에게 반환하라고 판결을 내렸다.
 
'''비트그레일'''<!--비트 그레일-->(BitGrail)은 [[이탈리아]]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창업자는 [[프란체스코 피라노]](Francesco Firano)이다. 2018년 2월 해킹 공격을 당해 [[나노코인]](Nanocoin) 1,700만개를 도난 당했다.<ref>문가용 기자,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6788&kind=1 없어진 나노 코인 두고 거래소와 코인 개발자 옥신각신]〉, 《보안뉴스》, 2018-02-13</ref> 비트그레일은 오픈한지 1년 만에 해킹 공격을 당해 파산까지 이어졌다. 2018년 초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체크]]가 해킹을 당해 580억엔(5천648억 원) 규모의 코인을 도난당한 사건 이후 비트그레일의 해킹 사례는 2018년도에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고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2019년 1월 이탈리아 법원은 이번 암호화폐 해킹 사건은 비트그레일 거래소에 책임이 있으므로, 피해금액 1,900억원을 고객들에게 반환하라고 판결을 내렸다.
 +
 +
== 역사 ==
  
 
== 소개 ==
 
== 소개 ==
  
 
[[프란체스코 피라노]]가 설립한 '''비트그레일'''은 이탈리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2018년 2월 [[나노]] 암호화폐를 1700만개 해킹 당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나노 개발진측은 해킹이 아니라 고객의 자산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지불불능인 상태를 감추기 위해 거짓으로 주장한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며 논란이 있었다.<ref>Keepit, 〈[https://steemit.com/coinkorea/@keepit/wh1ap-keep-t KEEP!T 블록체인 상식사전: 블록체인 입문을 위한, 엄선된 필수 용어사전(거래소, 지갑)]〉,《스팀잇》, 2018</ref>
 
[[프란체스코 피라노]]가 설립한 '''비트그레일'''은 이탈리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2018년 2월 [[나노]] 암호화폐를 1700만개 해킹 당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나노 개발진측은 해킹이 아니라 고객의 자산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지불불능인 상태를 감추기 위해 거짓으로 주장한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며 논란이 있었다.<ref>Keepit, 〈[https://steemit.com/coinkorea/@keepit/wh1ap-keep-t KEEP!T 블록체인 상식사전: 블록체인 입문을 위한, 엄선된 필수 용어사전(거래소, 지갑)]〉,《스팀잇》, 2018</ref>
 +
 +
== 특징 ==
  
 
==사건사고==
 
==사건사고==
  
 
=== 나노코인 무단 인출 ===
 
=== 나노코인 무단 인출 ===
2018년 2월 8일, 비트그레일에서 암호화폐 [[나노]](Nano) 1천700만 개가 무단 인출됐다. 무단 인출된 나노의 당시 가치는 1억7천만 달러(1천850억 원) 상당이다. [[나노]]는 2015년에 등장하였으며 비트그레일을 포함해 세계 10여 개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었다. 이에 비트그레일은 나노 토큰 거래를 중단시켰다. 비트그레일 거래소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적 방안을 모색하였으나 나노 토큰 개발팀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을 보여주며 도난 사건의 책임을 서로 전가하는 모습을 보였다.<ref>신유리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80211035000009?input=1195m 가상화폐 거래소 또 해킹…이탈리아서 1천800억원 무단인출]〉, 《연합뉴스》, 2018-02-11</ref> 이후 비트그레일의 해킹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이탈리아 사법 당국은 비트그레일의 전자지갑을 압류했다.<ref>박형기 기자, 〈[http://news1.kr/articles/?3347218 이탈리아 법원, 비트그레일 전자지갑 압류]〉, 《news1》, 2018-06-17</ref>
+
*2018년 2월 8일, 비트그레일에서 암호화폐 [[나노]](Nano) 1천700만 개가 무단 인출됐다. 무단 인출된 나노의 당시 가치는 1억7천만 달러(1천850억 원) 상당이다. [[나노]]는 2015년에 등장하였으며 비트그레일을 포함해 세계 10여 개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었다. 이에 비트그레일은 나노 토큰 거래를 중단시켰다. 비트그레일 거래소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적 방안을 모색하였으나 나노 토큰 개발팀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을 보여주며 도난 사건의 책임을 서로 전가하는 모습을 보였다.<ref>신유리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80211035000009?input=1195m 가상화폐 거래소 또 해킹…이탈리아서 1천800억원 무단인출]〉, 《연합뉴스》, 2018-02-11</ref> 이후 비트그레일의 해킹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이탈리아 사법 당국은 비트그레일의 전자지갑을 압류했다.<ref>박형기 기자, 〈[http://news1.kr/articles/?3347218 이탈리아 법원, 비트그레일 전자지갑 압류]〉, 《news1》, 2018-06-17</ref>
  
 
=== 파산 선언 ===
 
=== 파산 선언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