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업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가 진전되면서 시장 판매를 위한 수공업 제품의 생산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는 도시의 인구가 급증하여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대동법의 실시로 관수품의 수요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간 수공업자인 사장(私匠)들은 장인세만 부담하면 비교적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제품은 품질과 가격 면에서 관영 수공업장에서 만든 제품에 비해 경쟁력도 높았다. 민간 수공업자의 작업장은 흔히 점(店)으로 불리어 철기 수공업체는 철점, 사기 수공업체는 사기점이라 하였다. 민간 수공업자들은 대체로 작업장과 자본의 규모가 소규모여서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처분에서 상업 자본의 지배를 받았다. 대부분 공인이나 상인에게 주문을 받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선대제가 성행하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이르면서 수공업자 가운데서도 독자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농촌의 수공업은 지금까지 자급자족을 위한 부업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나 점차 소득을 올리기 위하여 상품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늘었고 더 나아가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농가도 나타났다. 농촌에서는 주로 옷감과 그릇 종류가 생산되었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50_0040_0020_0030 민영수공업의 발달]〉, 《우리역사넷》</ref>
 
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가 진전되면서 시장 판매를 위한 수공업 제품의 생산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는 도시의 인구가 급증하여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대동법의 실시로 관수품의 수요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간 수공업자인 사장(私匠)들은 장인세만 부담하면 비교적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제품은 품질과 가격 면에서 관영 수공업장에서 만든 제품에 비해 경쟁력도 높았다. 민간 수공업자의 작업장은 흔히 점(店)으로 불리어 철기 수공업체는 철점, 사기 수공업체는 사기점이라 하였다. 민간 수공업자들은 대체로 작업장과 자본의 규모가 소규모여서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처분에서 상업 자본의 지배를 받았다. 대부분 공인이나 상인에게 주문을 받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선대제가 성행하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이르면서 수공업자 가운데서도 독자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농촌의 수공업은 지금까지 자급자족을 위한 부업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나 점차 소득을 올리기 위하여 상품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늘었고 더 나아가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농가도 나타났다. 농촌에서는 주로 옷감과 그릇 종류가 생산되었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50_0040_0020_0030 민영수공업의 발달]〉, 《우리역사넷》</ref>
  
==근대 이후 수공업==
+
==근대이후 수공업==
[[기계]]가 탄생하고 근대식 공장이 나타나면서 수공업은 쇠퇴하게 되나 아직까지 [[기계]]로 하기 아깝거나 어려운 것들 혹은 [[전통]]을 보존하고자 하는 이유로 이후로 명맥은 유지하게 된다. 일부는 오히려 그 가치가 더욱 오르기도 하는데 [[공장]]에서 [[양산]]되는 [[제품]]들에 불만족한 중산층 소비자들이 정성이 담긴 나만의 [[물건]]을 가질 수 있다는 이유로 [[핸드메이드]](hand-made) 상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품들 중 일부는 심지어 [[명품]]의 지위에 오르게 되기도 한다. 수공업은 그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잘 접목시킨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 경제와 국가를 먹여 살리는 효자상품이 될 가능성도 있다.
+
기계가 탄생하고 근대식 공장이 나타나면서 수공업은 쇠퇴하게 되나 아직까지 기계로 하기 아깝거나 어려운 것들 혹은 전통을 보존하고자 하는 이유로 이후로 명맥은 유지하게 된다. 일부는 오히려 그 가치가 더욱 오르기도 하는데 공장에서 양산되는 제품들에 불만족한 중산층 소비자들이 정성이 담긴 나만의 물건을 가질 수 있다는 이유로 핸드메이드(hand-made) 상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품들 중 일부는 심지어 명품의 지위에 오르게 되기도 하며 그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잘 접목시킨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 경제와 국가를 먹여 살리는 효자상품이 될 가능성도 있다. 수공업에 대한 취급은 수공업으로 무엇을 만들어내는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당수의 수공업은 오늘날 흔히 저임금, 저숙련 이미지가 있다. 흔히 말하는 인형에 눈 붙이기를 생각해 보면 된다. 이는 이러한 수공업들이 특별한 기술 없이 그저 손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을 정도로 쉬운 일이기 때문이다. 반면 [[스위스]] [[시계]]처럼 고임금, 고숙련의 이미지를 가진 수공업도 있으며 이런 수공업자들은 장인이나 명장 대우를 받기도 한다. 바이올린이나 파이프오르간 같은 악기들도 세월이 흐르도록 여전히 수공업으로 제작된다. 특히 바이올린은 생산의 표준 규격 따위는 없다고 한다.
 
 
수공업에 대한 취급은 수공업으로 무엇을 만들어 내는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당수의 수공업은 오늘날 흔히 [[저임금]], [[저숙련]] 이미지가 있다. 흔히 말하는 [[인형]]에 눈 붙이기를 생각해 보면 된다. 이는 이러한 수공업들이 특별한 기술 없이 그저 [[손]]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을 정도로 쉬운 일이기 때문이다. 반면 [[스위스]] [[시계]]처럼 [[고임금]], [[고숙련]]의 이미지를 가진 수공업도 있다. 이런 수공업자들은 [[장인]]이나 [[명장]] 대우를 받기도 한다. [[바이올린]]이나 [[파이프오르간]] 같은 [[악기]]들도 세월이 흐르도록 여전히 수공업으로 제작된다. 특히 [[바이올린]]은 생산의 표준 규격 따위는 없다고 한다.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