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러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스마트러닝==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1번째 줄: 1번째 줄:
 
==스마트러닝==
 
==스마트러닝==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
==개요==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해지면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데, 많은 직장인들이 이용하는 [[이러닝]]은 학습자가 회사나 가정 등 고정된 장소의 PC를 통해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스마트러닝은 온라인 학습이라는 점에서 이러닝과 유사하나 스마트기기 기반의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러닝과 구별된다. 물론 스마트러닝 이전에 모바일러닝(m-Learning)을 통한 학습 역시 이동성을 지원했지만, PC 기반의 이러닝에서 사용하는 콘텐츠를 단순히 피처폰 형태의 모바일 환경으로 옮겨놓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출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중화, WiFi/4G 인프라 확대, 데이터 정액요금제 등이 확산되면서 단순히 이동성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학습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상호작용성을 강화하고, 요금부담 없이 학습이 가능하도록 변화하고 있다[15]. 아울러 셀프 [[퍼블리싱]] 모델(Self Publishing Model)과 같은 웹 2.0 장점을 활용한 참여, 공유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까지 가능해지면서 스마트러닝은 기존 [[이러닝]], [[모바일러닝과]] 구분이 되고 있다.

2021년 7월 8일 (목) 09:28 판

스마트러닝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개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해지면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데, 많은 직장인들이 이용하는 이러닝은 학습자가 회사나 가정 등 고정된 장소의 PC를 통해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스마트러닝은 온라인 학습이라는 점에서 이러닝과 유사하나 스마트기기 기반의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러닝과 구별된다. 물론 스마트러닝 이전에 모바일러닝(m-Learning)을 통한 학습 역시 이동성을 지원했지만, PC 기반의 이러닝에서 사용하는 콘텐츠를 단순히 피처폰 형태의 모바일 환경으로 옮겨놓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출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중화, WiFi/4G 인프라 확대, 데이터 정액요금제 등이 확산되면서 단순히 이동성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학습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상호작용성을 강화하고, 요금부담 없이 학습이 가능하도록 변화하고 있다[15]. 아울러 셀프 퍼블리싱 모델(Self Publishing Model)과 같은 웹 2.0 장점을 활용한 참여, 공유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까지 가능해지면서 스마트러닝은 기존 이러닝, 모바일러닝과 구분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