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번째 줄: 13번째 줄:
  
 
==전기차 실내공간==
 
==전기차 실내공간==
전기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업계가 전기차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코로나 19 이후 자동차가 생활공간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경우 전용 플랫폼을 적용하면 내연기관차보다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어 다양한 아이디어가 등장하고 있다. 실내 공간 활용의 핵심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다. 내연기관차의 경우 실내 가운데 터널부가 있어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지만, 전기차 경우 터널부가 없이 평평해 여러 시도를 할 수 있다. 게다가 차 앞부분을 볼록 튀어나오도록 설계해야 했던 엔진룸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승용차도 버스처럼 운전석을 맨 앞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기존 후면의 트렁크 공간을 앞으로 빼거나 아예 차 외부로 옮길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 집약 기술과 설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차]]는 동급 차종에서도 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구현하는 데 유리하게 되었다.<ref>연선옥 기자,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1/07/22/VPH53SUFEJAIBBDOO6P4SVKD6I/ 미래차는 3등분 대신 ‘원 박스’… 차 업계, 실내 공간도 혁신]〉, 《조선비즈》, 2021-07-22</ref> 특히 자동차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의 배터리 스택을 차량 하부로 이동 시켜 적재 공간도 넓어지게 되었다. 세계 각 제조사는 전기차의 토대로 기존 [[패스트백]]이나 세단 대신 공간 활용성이 높은 [[SUV]]를 선택하는 추세로, 대표적인 경우가 [[코나 일렉트릭]]과 [[수소전기차]] [[넥쏘]] 등의 사례라 할 수 있다. 두 차종 모두 [[변속기]]가 필요 없는 까닭에, [[센터콘솔]]의 아래쪽을 [[수납공간]]으로도 살릴 수 있다. [[구동모터]]를 각 바퀴 쪽으로 보내는 인 [[휠]] 모터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공간을 더욱 넓게 하면서도 주행과 조향의 안정성을 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2010년부터 인휠모터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CES]](국제가전제품박람회) 2018에서는 각 바퀴가 구동과 제동, 조향과 현가장치로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E-코너 모듈을 공개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러한 인 휠 [[모터]] 시스템을 2020년까지 상용화할 예정이다. 전기차 시장을 이끌어온 테슬라는 넓은 실내공간을 바탕으로 인기를 이어왔다. [[모델Y]] 역시 내부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는데, 성인 7명이 탑승할 수 있고 장비도 적재할 수 있을 만큼 공간을 넓혔다. 또 각 2열 시트가 독립적으로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만들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였다. 공간이 넓기 때문에 스키용품이나 여행용 가방뿐 아니라 가구도 적재할 수 있다. 코로나 19 이후 소비자들이 자동차 공간을 안전한 개인 공간으로 느끼면서 큰 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기차 플랫폼]]이 적용돼 크기는 소형 [[CUV]]더라도 실내는 중형차 수준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활용성이 높다. 글로벌 업체들도 완성도 높은 다양한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인데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차별화된 요소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ref>손의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69046628979712&mediaCodeNo=257 실내 넓어진 전기차, 공간 활용 놓고 아이디어 경쟁 치열]〉, 《이데일리》, 2020-07-16</ref>
+
전기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업계가 전기차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자동차가 생활공간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경우 전용 플랫폼을 적용하면 내연기관차보다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어 다양한 아이디어가 등장하고 있다. 실내 공간 활용의 핵심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다. 내연기관차의 경우 실내 가운데 터널부가 있어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지만 전기차 경우 터널부가 없이 평평해 여러 시도를 할 수 있다. 게다가 차 앞 부분을 볼록 튀어나오도록 설계해야 했던 엔진룸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승용차도 버스처럼 운전석을 맨 앞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기존 후면의 트렁크 공간을 앞으로 빼거나 아예 차 외부로 옮길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 집약 기술과 설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차]]는 동급 차종에서도 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구현하는 데 유리하게 되었다.<ref>연선옥 기자,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1/07/22/VPH53SUFEJAIBBDOO6P4SVKD6I/ 미래차는 3등분 대신 ‘원 박스’… 차 업계, 실내 공간도 혁신]〉, 《조선비즈》, 2021-07-22</ref> 특히 자동차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의 배터리 스택을 차량 하부로 이동시켜 적재 공간도 넓어지게 되었다. 세계 각 제조사는 전기차의 토대로 기존 [[패스트백]]이나 세단 대신 공간활용성이 높은 [[SUV]]를 선택하는 추세로, 대표적인 경우가 [[코나 일렉트릭]]과 [[수소전기차]] [[넥쏘]] 등의 사례라 할 수 있다. 두 차종 모두 [[변속기]]가 필요 없는 까닭에, [[센터콘솔]]의 아래쪽을 [[수납공간]]으로도 살릴 수 있다. [[구동모터]]를 각 바퀴쪽으로 보내는 인 [[휠]] 모터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공간을 더욱 넓게 하면서도 주행과 조향의 안정성을 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2010년부터 인휠모터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CES]](국제가전제품박람회) 2018에서는 각 바퀴가 구동과 제동, 조향과 현가 장치로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E-코너 모듈을 공개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러한 인 휠 [[모터]] 시스템을 2020년까지 상용화할 예정이다. 전기차 시장을 이끌어온 테슬라는 넓은 실내공간을 바탕으로 인기를 이어왔다. [[모델Y]] 역시 내부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는데, 성인 7명이 탑승 가능하고 장비도 적재할 수 있을 만큼 공간을 넓혔다. 또 각 2열 시트가 독립적으로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만들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였다. 공간이 넓기 때문에 스키용품이나 여행용 가방뿐 아니라 가구도 적재 가능하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이 자동차 공간을 안전한 개인 공간으로 느끼면서 큰 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기차 플랫폼]]이 적용돼 크기는 소형[[CUV]]더라도 실내는 중형차 수준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활용성이 높다. 글로벌 업체들도 완성도 높은 다양한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인데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차별화된 요소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ref>손의연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69046628979712&mediaCodeNo=257 실내 넓어진 전기차, 공간 활용 놓고 아이디어 경쟁 치열]〉, 《이데일리》, 2020-07-16</ref>
  
 
==자율주행차 실내공간==
 
==자율주행차 실내공간==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