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여의도업무지구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의도업무지구

여의도업무지구(汝矣島業務地區, YBD)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동측의 업무지구여의도공원여의 대로를 중심으로 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서쪽에도 국회의사당을 비롯하여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이 있다. [1]

역사[편집]

옛 여의도[편집]

여의도가 문헌상에 처음 등장한 것은 1751년에 편찬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都城三軍門分界總録)》의 기록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희방(延禧坊) 여의도계(汝矣島契) 소속이었으며, 1914년 율도(栗島:밤섬)와 함께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여율리(汝栗里)로 개편되었다.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면서 여의도정(汝矣島町)으로 바뀌었고, 해방 이후인 1946년 여의도동이 되었다. 조선 전기 이래 주로 국가가 관리하는 짐승을 기르는 목축의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세조 대 세도가인 한명회가 지은 정자 ‘압구정(狎鷗亭)’이 현재와는 달리 처음에는 여의도에 있었다가 나중에 동호로로 옮겨갔다. 그리고 소수이지만 여의도에 대를 이어 정착해 사는 사람들이 폐쇄적인 섬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현재의 국회의사당 자리에는 양말산이라는 산이 있었고, 여의도와 율도는 현재보다 가까웠다.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비행장이 건립되어 해방 후에도 여의도공항으로 쓰였고, 1971년까지 공군기지로 사용되었다.

개발[편집]

1968년 밤섬을 폭파해 얻은 골재로 여의도의 제방(윤중제)을 쌓았다. 1968년 한강 종합개발 공사 계획의 일환으로 227억 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여의도를 개발하였다. 여의도는 도시 현대화의 모델로서 개인주택 없이 아파트와 빌딩만으로 이루어졌다. 시범 아파트를 중심으로 1970년대에 주거용 아파트들이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백조, 미주, 한성 아파트가 재건축을 시작하면서 초고층 주거용 아파트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1975년에는 태평로(太平路)에 있던 국회의사당이 여의도의 북서쪽으로 옮겨왔다. 1971년에는 시범아파트 입주를 시작으로 수많은 아파트 단지들이 완공되고 1975년에는 국회의사당, 1983년에는 63빌딩이 완공되고 2년 뒤인 1985년에 개장하였다. 5.16 광장은 당초 계획엔 없었으나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여의도의 활주로를 유사시에 쓸 수 있도록 그대로 광장으로 만들라고 지시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곳은 각종 대형 집회나 국군의 날 행사 등이 있을 때 사용되다가, 1999년 여의도 공원으로 바뀌었다. 2006년에는 서울국제금융센터와 파크원 타워, 2008년에는 서울국제금융센터와 파크원 타워가 개발 및 착공하였고 2010년에 파크원 타워의 공사가 중단되었다.[7] 서울국제금융센터는 2012년에 완공 및 개장하였다. 2017년에 파크원 타워의 공사가 재개되며 2020년에 완공되었다. 완공되면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 되었다.[2]

면적[편집]

대한민국에서는 수치만으로는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넓은 면적을 알기 쉽게 표현할 때 '여의도 면적의 몇 배'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윤중로 제방 안쪽의 여의도 면적은 2.9 km2인데, 한강시민공원 등 한강 둔치까지 포함한 면적은 4.5 km2, 한강 하천 바닥까지 포함한 행정구역 상 여의도동 전체면적은 8.4 km2이다. 국토교통부는 2012년에 '여의도 면적의 몇 배'라고 표기할 때에는 윤중제 안쪽의 여의도 면적인 '2.9 km2'로 통일해 쓰기로 하였다. 이 면적을 언론에서 자주 언급하는 단위로 환산하면 290ha, 약 877250평, 축구장 약 406개와 비슷하다. 현재 여의도 공원을 중심으로 서쪽에 국회의사당·KBS 본관 등이, 동쪽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증권거래소·아파트군이 자리잡고 있다. 여의동에는 현재 공공기관 19개, 언론기관 5개, 복지시설 17개, 종교시설 8개, 체육시설 2개, 병·의원 60개, 학교 6개, 금융 59개, 공원 5개, 시장(마트) 2개, 백화점 2개가 자리잡고 있다.[3][2]

상업[편집]

2012년 서울 국제금융센터 내에 IFC 몰이 생기기 전까지는 이렇다 할 상업 시설이 별로 없는 곳이 여의도였다. 물론 이전에도 여의도 직장인들이나 동네 주민들을 상대로 한 식당이나 카페 같은 음식점들은 적지 않았으나, 이들은 오피스텔이나 빌딩 내 상가에 군데군데 들어온 수준이지 본격적인 상권을 이룰 정도는 아니었다. 여의도 백화점이라는 건물이 있어서 '여의도에 있는 백화점'을 찾는 많은 사람들을 낚기도 하는데, 사실 여의도 백화점은 낡은 일반 상가다. 실제로 가보면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잡화류 등을 파는 매장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그나마 지하층에 있는 식당이 유명한데, 실제로 포털 등에 검색해보면 대부분은 지하 식당이 먼저 검색된다. 하지만 2021년 파크원에 현대백화점이 서울 최대 규모로 입점한 덕분에 여의도에 상업시설이 부족하다는 말은 이제 옛이야기가 되었다. 할인점으로는 샛강역 근처에 위치한 이마트 여의도점이 유일한데, 여의도 자이아파트 지하상가에 입점했기 때문에 다른 이마트 지점과 비교하면 크기가 작긴 하지만, 여기 말고도 아파트 상가마다 나름 괜찮은 슈퍼마켓들이 예전부터 자리잡고 있어서 식료품 구입은 큰 무리없이 해결할 수 있다.

다만 KBS별관 뒷편이나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언저리까지 금융기관 몰려있는 구역은, 주말만 되면 직장인들이 빠지고 문 연 상점도 드물어 도심 공동화 현상이 뭔지 바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유령 구역이 된다. 심지어 식당들이 주말에 평일보다 싼 값에 음식을 파는 기이한 현상까지 목격할 수 있다. 그나마 별관 뒷편엔 음식점이라도 있지, IFC에서 심야영화를 보고 지상으로 나오면 IFC와 기타 증권가들 사잇길은 음식점도, 가로등도 하나 없어 혼자 다니면 상당히 을씨년스럽다. 하지만 반대로 혹시나 사람이 텅텅 빈 금융가 골목의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가보는 것도 나쁘진 않다. 다만 텅텅 빈 구역에도 최소한도의 일정 사람은 있고, 여의도 자체는 한강공원 등이 있어서 주말이 되면 사람들로 붐빈다. 또 근처에 예식장이 오픈하면서 그나마 주말에 다시 사람이 좀 다니게 되었다. 다만 그들 중 상당수는 역시 여의도역에서 내려서 예식장 위치 못 찾아 헤매고 다니는 사람들일 것이다. 2021년 기준 더 현대 개장 이후 많은 인파가 밀집했고 맛집에는 대기 시간이 길어 대기표를 받는 등 혼잡해진 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점차 안정되어 가는 추세이다.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주변에는 사진관이 하나 있는데, 방송사 연예인들의 전속 사진관으로 유명하다. 일반인도 당연히 이 사진관에서 증명사진 등을 찍을 수 있는데, 촬영 및 현상 비용이 동네 사진관보다는 비싼 편이긴 하다. 롯데캐슬 아이비 아파트 바로 옆에 위치한 홍우빌딩은 여의도의 유일한 학원 밀집 건물이다. 지하 1층~ 3층까지는 식당가이며 4층에는 의원, 안경점, 그리고 마사지샵등이 입점해 있으며 5층부터 대부분 보습학원과 교습소로 채워져 있다. 신기하게도 7층은 몇몇 호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공실인데 7층에 해당 빌딩을 건설한 건설사의 사무실이 있으며 학생들이 시끄럽게 떠드는 분위기를 꺼려서 학원에 세를 주지 않고 있는 탓이다. 7층을 지나면 가장 윗층인 11층까지 헬스클럽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호가 모조리 학원과 독서실이다.[4]

교통[편집]

지하철역으로는 여의도역(5호선, 9호선), 여의나루역(5호선), 국회의사당역(9호선), 샛강역(9호선, 신림선)이 있다. 여의도 공원 부근에는 버스 환승 센터도 존재한다. 서울 시내 버스나 혹은 부천 시내 버스들이 많이 다닌다. 이 섬에 있는 지하철역은 아니지만 샛강 건너 대방역(1호선)에서 내려 영등포 10, 영등포 11 등의 버스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여의도 동쪽이라면 걸어서 여의도로 진입하는 방법도 있다. 또 여의도에서 인접한 영등포역(1호선)이나 신길역(1호선, 5호선)에서 내려서 여의도 방향 버스로 환승하기도 한다. 1호선 신길역에서는 샛강다리를 통해 여의도로 걸어서 진입할 수 있다. 여의도와 별 상관없어 보일수도 있으나 2호선이나 6호선 유저 중에 5호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여의도 서부 등의 지역으로 가는 환승객들은 2호선 신촌역이나 광흥창역 등에서 163, 753, 5713번 등으로 환승하기도 한다. 광흥창역 환승을 위해서 맞춤버스 8153번이 따로 존재했을 정도. 5호선도 없을 때는 더 심하였겠지만, 9호선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올림픽대로나 노들길 등의 고속화도로를 제외하면 영등포 및 마포 방면에서 수직방면으로만 교량이 연결되어 있는 여의도의 특성상 당산역이나 노량진역 등지는 여의도에서 직선거리 상으로는 바로 옆인데 샛강이나 노들길. 올림픽대로, 경부선 등의 장애물에 가로막혀 여의도로 가는 교통편이 영 좋지 못한 편이었는데 9호선 개통으로 여의도로 진입하기 꽤 좋아졌다.

6권역을 지나는 상당수의 버스 노선들이 여의도를 경유하며. 461, 463번 등 상당수 노선의 회차지점이기도 하다. 서울특별시의 어느 지역이 안 그렇겠냐만은 업무지역이라는 여의도의 특성 및 사방이 강으로 둘러싸인 여의도의 특성상 이런 여의도 경유 노선들을 통해 매일 아침 여의도로 들어가려는 혹은 저녁에 여의도를 빠져 나오려는 사람들의 전쟁이 벌어진다. 여의도에 진입하기 직전 혹은 진출하기 직전 정류장에서는 버스에 탈 수가 없을 정도이다. 더불어 여의도와는 별 볼일 없지만 이들 노선을 타고 여의도를 통과하여야 하는 승객들도 더불어 지옥을 맛본다. 또한 김포, 부천, 광명, 시흥 등 6권역 일반시내버스들이 서울시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진입선이 여의도다. 여의도에서 그 이상 나아가는 버스들은 전부 직행좌석버스들이다. 단 1002번의 경우 과거 서울의 광역버스 출신이었다가 김포교통으로 이관되었으며, 가양동 등지에서 유일하게 서울 도심을 연계하는 버스다보니 지금까지 서울 도심까지 연계하도록 남아있다. 서울면허 광역버스와 경기면허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들이 여의도를 종점으로 삼으면 이상하게도 바로 공기수송 노선으로 변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많은 좌석버스들이 폐선 되었거나, 그나마 살아남은 노선들 조차(5609번, 871번, 7007-1번, G7625번) 배차간격이 심히 좋지 않다. 그나마 수요가 많은 노선은 301번, 320번, 700번 정도가 전부다.

사실 출퇴근 여의도 교통상황을 보면 답이 나오는데 여의도는 지하철역이 주요 사무실, 회사를 중심으로 들어서 있기 때문에 몇 분만 걸으면 바로 지하철을 탈 수 있다. 9호선을 타면 노량진,고속터미널이나 당산, 가양방면으로 갈 수 있으며, 5호선으로는 김포공항, 목동이나 마포, 서울도심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인근 대방역에서 1호선을 타면 인천, 안양 등 수도권이나 서울도심으로, 2022년 개통예정인 경전철 신림선을 타면 서울 서남부 권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즉 몇 분만 걷기운동에 투자하면 1,5,9호선 그리고 신림선을 이용해서 주요지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도로교통을 보면 사정이 다른데, 출(특히)퇴근때 도로로 여의도를 빠져나가려면 적어도 10~20분은 도로 한복판에서 정체를 경험해야 한다. 마포대교 및 서강대교 진출입로를 제외하면 편도 2차선으로 좁거나(대방지하차도, 원효대교남단), 도로구조상 정체가 쉽게 일어나거나(영등포로터리 및 영등포 고가차도, 여의 2교 일대), 아예 편도 1차선 수준으로(국회나들목 및 63빌딩 나들목) 좁은 등 여의도를 드나드는 도로들은 경로가 한정적인데 반해 구조가 불량하다. 여기에 출퇴근때 주요 간선도로(올림픽대로, 노들로, 강변북로)가 모두 정체인 상황이 나오기에 출퇴근때 여의도를 차로 진출입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자연스럽게 버스들도 출퇴근때는 여의도를 진출입하가기 매우 어렵다.

여의도 내부적으로도 거리에서 한번 신호에 걸리면 꽤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여의도 내부적으로 다른 동네랑 다르게 횡단보도가 많고 비교적 횡단 신호시간도 길며(큰길을 건너야 하는 횡단보도들이 많다), 횡단 신호가 한꺼번에 떨어지는 곳이 두군데나 되는 등 보행자가 다니기에는 비교적 좋지만, 반대로 신호등과 교차로가 상당히 많아져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대기해야할 장소가 많아지고 시간도 늘어난다. 여기에 차량이동이 출퇴근 때 집중적으로 이뤄져 일하는 시간대의 도로는 꽤 여유롭지만 출퇴근때는 혼돈의 도가니로 돌변한다. 차라리 그럴 바에야 서울 지하철 9호선 타고 당산역으로 이동해서 버스를 타거나, 철도 교통을 이용해서 여의도를 벗어나는게 훨씬 싸고 빠르기 때문에 2천원 중후반의 요금을 내면서도 여의도를 진출입하느라 고생하는 버스들을 타는 직장인들은 많지 않기에 여의도에서는 좌석버스의 경쟁력이 매우 떨어진다. 현재 샛강역에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시종착하고 서울 경전철 서부선, 신안산선도 들어올 계획이나 그게 언제가 될지는 모른다.

평지위의 계획도시인데다 한강시민공원과 여의도공원의 영향으로 서울에서 자전거 타기에 가장 좋다. 그래서인지 서울시 차원에서의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가장 먼저 진행한 곳이기도 한데 1,000원으로 24시간 동안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대여 코드를 살 수 있다. 여의도 중요 기점마다 대여소가 설치되어 있어 여의도를 둘러보거나 단거리 이용시에 매우 도움이 된다. T-Money나 휴대폰 소액결제 등으로 결제하면 6자리의 코드를 주는데, 이것을 자전거에 입력하면 대여가 가능하다. 대여 코드 유효기간은 24시간이나, 한번 탈 때 총 4시간을 탈 수 있고 이 시간안에는 반납 후 재대여가 가능하다. (주의: 대여시 탈 수 있는 4시간 중에서 연속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이 1시간이라 이후 이용 1시간마다 1,000원씩 올라간다. 그러니 1시간 이상 타려면 1시간씩 조금 못 되게 타고 다시 대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여의도 곳곳에 스테이션이 있기는 하지만 제방 위에만 있고, 당연하지만 한강공원의 자전거 대여소 등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무턱대고 자전거 끌고 한강공원으로 내려갔다가 반납시간이 임박하여 자전거 스테이션 찾다가 추가요금이 부과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미리 스테이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2015년부터는 아예 따릉이라는 서울특별시 공공자전거 대여 시스템으로 개편되었다.[4]

관련 기사[편집]

오전 7시부터 10시까지 업무 지구의 출근 시간대를 확인해 봤다. 대한민국 대표 업무 지구 근무자들이 가장 활발하게 출근하는 시간대는 8시였다. 그다음으로 9시, 7시, 10시 순이었다. 단, 여의도는 8시(42.88%) 다음으로 활발한 시간대가 7시(26.69%)였다. 세종은 8시 출근이 61.5%에 달해, 대표 업무 지구 중 8시 출근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강남은 8시 출근이 38%인데 반해, 9~10시 출근이 44%를 넘어 대표 업무 지구 중 평균 출근 시간이 가장 늦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의도와 판교는 7시 출근 비중이 각각 27%, 22%로 나타났는데 리트머스(LITMUS) 연구팀에 따르면 여의도는 금융업계가 집중된 지역으로 출근이 빠른 지역이고, 판교는 지하철역 인접 오피스 외에는 지하철 접근이 어려운 업무 지구 특성상, 자차 또는 지하철+셔틀을 이용하는 근무자들이 많다 보니 출근이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5]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업무지구〉, 《나무위키》
  2. 2.0 2.1 여의도〉, 《위키백과》
  3. 여의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4.0 4.1 여의도〉, 《나무위키》
  5. 여의도가 가장 빨리 출근하고, 판교가 제일 늦게 퇴근했다〉, 《SK텔레콤 뉴스룸》, 2022-12-16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여의도업무지구 문서는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