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장판(壯版)이란, [[한국]]의 주택에서 방바닥에 까는 종이나 비닐로 된 시트를 말한다.
 
장판(壯版)이란, [[한국]]의 주택에서 방바닥에 까는 종이나 비닐로 된 시트를 말한다.
  
유의어로 바닥재는 바닥을 까는 데 사용하는 모든 재료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오래전부터 목재, 콘크리트, 돌, 타일 등을 바닥재로 사용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아스팔트]], [[코르크]], [[리노륨]], [[고무]], [[플라스틱]], [[자기]], [[타일]] 등을 바닥재로 쓰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8B%A5%EC%9E%AC 바닥재]〉, 《위키백과》</ref>  
+
유의어로 바닥재는 바닥을 까는 데 사용하는 모든 재료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오래전부터 목재, 콘크리트, 돌, 타일 등을 바닥재로 사용하였으며, 오늘날에는 아스팔트, 코르크, 리노륨, 고무, 플라스틱, 자기, 타일 등을 바닥재로 쓰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8B%A5%EC%9E%AC 바닥재]〉, 《위키백과》</ref>  
  
 
== 상세 ==
 
== 상세 ==
원래는 장유지라고 부르며 한지에 [[콩기름]]을 발라 만들었고 옻칠을 여러번 해야 했기 때문에 양반이나 부잣집에서나 해당 장판을 썼다. 일반 서민들은 바닥에 짚을 엮어 만든 멍석을 깔았다. 해변가 등 물가 근처에 살았던 사람들은 갈대로 만든 삿자리를 깔았다.
+
원래는 장유지라고 부르며 한지에 콩기름을 발라 만들었고 옻칠을 여러번 해야 했기 때문에 양반이나 부잣집에서나 해당 장판을 썼다. 일반 서민들은 바닥에 짚을 엮어 만든 멍석을 깔았다. 해변가 등 물가 근처에 살았던 사람들은 갈대로 만든 삿자리를 깔았다.
  
[[중국]]은 송나라 때까지는 좌식 생활이었지만, 원나라 때 이후로는 유목민족 영향으로 입식 생활을 했기 때문에 장판이나 멍석 등을 까는 한국이나 다다미를 까는 [[일본]]과는 달리 돌로 만든 바닥에 아무것도 깔지 않았다.
+
[[중국]]은 송나라 때까지는 좌식 생활이었지만, 원나라 때 이후로는 유목민족 영향으로 입식 생활을 했기 때문에 장판이나 멍석 등을 까는 한국이나 다다미를 까는 일본과는 달리 돌로 만든 바닥에 아무것도 깔지 않았다.
  
 
근현대 이후 1958년 비닐장판이 출시되었고 널리 보급되었다.
 
근현대 이후 1958년 비닐장판이 출시되었고 널리 보급되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현대 장판은 일반적으로 품질이나 까는 방식에 따라서 맨 끝에 붙는 이름이 달라지는 편이다. 접착제로 완전히 붙여서 까는 종류는 ~륨(leum)자가 붙는데, 원래는 리놀륨(Linoleum)에서 유래한 말이다. 한편 접착제 없이 그냥 까는 형태의 장판은 카페트에서 딴 ~펫트라는 명칭이 붙으며 1970년대 초에 접착제 없이 까는 장판을 카펫트라고 광고했던 것이 어원이다.
 
현대 장판은 일반적으로 품질이나 까는 방식에 따라서 맨 끝에 붙는 이름이 달라지는 편이다. 접착제로 완전히 붙여서 까는 종류는 ~륨(leum)자가 붙는데, 원래는 리놀륨(Linoleum)에서 유래한 말이다. 한편 접착제 없이 그냥 까는 형태의 장판은 카페트에서 딴 ~펫트라는 명칭이 붙으며 1970년대 초에 접착제 없이 까는 장판을 카펫트라고 광고했던 것이 어원이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주택]]과 [[아파트]]를 불문하고 안방은 전통 한지 장판인 장유지가 연상되는 노란색 장판으로 까는 것이 불문율처럼 통했다. 심지어 1950년대~1960년대의 한 산부인과에서는 입원실(산모 회복실)을 한옥의 방같이 꾸미기도 했는데 이때 바닥에 노란 장판을 깔기도 했다. 1990년대 중후반 들어서 목재무늬 바닥재의 유행이 시작되면서 노란 장판이 사장되기 시작했다. 2010년대에는 안방에도 다른 색깔의 장판이나 마루를 까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해당 장판을 팔기도 한다. 어쨌든 유행이 지났지만 이런 유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주택과 아파트를 불문하고 안방은 전통 한지 장판인 장유지가 연상되는 노란색 장판으로 까는 것이 불문율처럼 통했다. 심지어 1950년대~1960년대의 한 산부인과에서는 입원실(산모 회복실)을 한옥의 방같이 꾸미기도 했는데 이때 바닥에 노란 장판을 깔기도 했다. 1990년대 중후반 들어서 목재무늬 바닥재의 유행이 시작되면서 노란 장판이 사장되기 시작했다. 2010년대에는 안방에도 다른 색깔의 장판이나 마루를 까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해당 장판을 팔기도 한다. 어쨌든 유행이 지났지만 이런 유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찢어지거나 구멍난 장판은 접착용 [[실리콘]]으로 임시 보수가 가능하다. 구멍을 실리콘으로 메꾼 뒤 커터칼날로 닦아내서 표면을 평평하게 해서 마를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ref name="장판"> 〈[https://namu.wiki/w/%EC%9E%A5%ED%8C%90 장판]〉, 《나무위키》</ref>  
+
찢어지거나 구멍난 장판은 접착용 실리콘으로 임시 보수가 가능하다. 구멍을 실리콘으로 메꾼 뒤 커터칼날로 닦아내서 표면을 평평하게 해서 마를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ref name="장판"> 〈[https://namu.wiki/w/%EC%9E%A5%ED%8C%90 장판]〉, 《나무위키》</ref>  
  
 
== 장판의 장단점 ==
 
== 장판의 장단점 ==
26번째 줄: 26번째 줄:
 
하지만 이렇게 완벽한 것 같아 보이는 장판도 실제로는 치명적 단점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완벽한 것 같아 보이는 장판도 실제로는 치명적 단점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곰팡이]]가 슬고 곤충이 서식하기 쉽다. 겨울에 온돌을 튼 상황에서 장판과 바닥 사이에 습기가 찰 경우 곰팡이와 개미 등의 곤충이 자라기 최적의 환경이 제공된다. 그리고 여름에 고온다습한 한반도, 특히 남부 지역에서 이런 현상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액체를 흘린 정도가 아니라 집안이 침수된 경우라면 많은 경우 장판은 제거 후 폐기 처분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또한 곰팡이와 곤충의 서식이 쉬운 장판의 취약점과 관련이 있다.
+
곰팡이가 슬고 곤충이 서식하기 쉽다. 겨울에 온돌을 튼 상황에서 장판과 바닥 사이에 습기가 찰 경우 곰팡이와 개미 등의 곤충이 자라기 최적의 환경이 제공된다. 그리고 여름에 고온다습한 한반도, 특히 남부 지역에서 이런 현상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액체를 흘린 정도가 아니라 집안이 침수된 경우라면 많은 경우 장판은 제거 후 폐기 처분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또한 곰팡이와 곤충의 서식이 쉬운 장판의 취약점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불에 취약하다. 대부분 장판은 비닐 소재이고 일부는 종이로 만드는데, 모두 화재에 취약한 소재들이다. 이 때문에 제대로 내연처리를 하지 않은 싸구려 장판을 쓸 경우 작은 화재가 쉽게 집안 전체로 번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내연처리를 거친 장판이더라도 다른 바닥재에 비해서 화재에 취약한 건 마찬가지이고, 무엇보다 장판의 소재 자체가 플라스틱이라 화재 발생 시 장판이 타면서 유독성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불에 취약하다. 대부분 장판은 비닐 소재이고 일부는 종이로 만드는데, 모두 화재에 취약한 소재들이다. 이 때문에 제대로 내연처리를 하지 않은 싸구려 장판을 쓸 경우 작은 화재가 쉽게 집안 전체로 번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내연처리를 거친 장판이더라도 다른 바닥재에 비해서 화재에 취약한 건 마찬가지이고, 무엇보다 장판의 소재 자체가 플라스틱이라 화재 발생 시 장판이 타면서 유독성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장판은 다른 방식들에 비해 눌림 현상이 심하다. 냉장고, 에어컨, 장롱, 침대 등 무거운 가구가 오랜 시간 올라가 있을 경우 장판은 이들의 무게를 받치고 있던 부위에 변형이 생겨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바퀴달린 의자를 사용할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눌림 현상으로 인한 변형이 그것도 아주 넓은 면적에 생긴다.
 
장판은 다른 방식들에 비해 눌림 현상이 심하다. 냉장고, 에어컨, 장롱, 침대 등 무거운 가구가 오랜 시간 올라가 있을 경우 장판은 이들의 무게를 받치고 있던 부위에 변형이 생겨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바퀴달린 의자를 사용할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눌림 현상으로 인한 변형이 그것도 아주 넓은 면적에 생긴다.
  
[[비닐]] [[플라스틱]] 계열 소재의 장판의 경우 환경 호르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018년 이후 생산되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정한 강화된 기준을 완벽히 준수한 장판의 경우 문제가 없으나 그 이전 생산 제품들의 경우 환경 호르몬 문제가 있다. 특히 장판은 온돌과 함께 쓰기 위해 까는 경우가 많은데, 바닥 난방 방식인 온돌 특성상 곧바로 장판을 달구게 되고, 이 경우 엄청난 양의 환경 호르몬이 발생한다.
+
비닐 등 플라스틱 계열 소재의 장판의 경우 환경 호르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018년 이후 생산되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정한 강화된 기준을 완벽히 준수한 장판의 경우 문제가 없으나 그 이전 생산 제품들의 경우 환경 호르몬 문제가 있다. 특히 장판은 온돌과 함께 쓰기 위해 까는 경우가 많은데, 바닥 난방 방식인 온돌 특성상 곧바로 장판을 달구게 되고, 이 경우 엄청난 양의 환경 호르몬이 발생한다.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바로 심미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눈으로 볼 때와 발을 디디고 서있을 때 천연 소재의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잘 표현하는 마루, 타일에 비해 장판은 플라스틱 특유의 질감과 촉감을 감추기가 어렵다. 아무리 질감과 촉감을 개선한다고 해도 여전히 가까이서 보거나 직접 디디고 섰을 때의 소위 말하는 저렴한 느낌을 지우기가 어렵다.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바로 심미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눈으로 볼 때와 발을 디디고 서있을 때 천연 소재의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잘 표현하는 마루, 타일에 비해 장판은 플라스틱 특유의 질감과 촉감을 감추기가 어렵다. 아무리 질감과 촉감을 개선한다고 해도 여전히 가까이서 보거나 직접 디디고 섰을 때의 소위 말하는 저렴한 느낌을 지우기가 어렵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 재료 ==
 
== 재료 ==
장판의 재료에는 [[종이]], [[탱자]], [[솔방울]], [[광목]] 등이 있으며,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물에 불려서 간 콩에 들기름을 섞어서 여러 차례 덧바르며 이를 '콩댐'이라 부른다.
+
장판의 재료에는 종이, 탱자, 솔방울, 광목 등이 있으며,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물에 불려서 간 콩에 들기름을 섞어서 여러 차례 덧바르며 이를 '콩댐'이라 부른다.
  
 
장판을 깔 때는 구들 표면에 얇은 종이를 바르고 조선종이를 덧바른 위에 기름 종이를 발라서 마감한다. 또 장판 가운데에는 질기고 두터운 종이에 기름을 먹여 귀를 맞추며, 장판의 이음새나 벽면과 이어진 부분을 얇은 장판지로 마무리하는데 이것이 걸레받이이다.
 
장판을 깔 때는 구들 표면에 얇은 종이를 바르고 조선종이를 덧바른 위에 기름 종이를 발라서 마감한다. 또 장판 가운데에는 질기고 두터운 종이에 기름을 먹여 귀를 맞추며, 장판의 이음새나 벽면과 이어진 부분을 얇은 장판지로 마무리하는데 이것이 걸레받이이다.
58번째 줄: 58번째 줄:
 
전기장판(電氣壯版)은 내부에 발열선을 놓은 난방기구이다. '전기매트', '전기요'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기장판(電氣壯版)은 내부에 발열선을 놓은 난방기구이다. '전기매트', '전기요'라고 부르기도 한다.
  
장판이나 [[매트]], 요라는 단어가 포함된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좌식, 온돌 생활문화인 한국에서는 우선 바닥이 따뜻해야 하는 불문율이 있어 매년 가을에서 겨울까지 수요가 있다.
+
장판이나 매트, 요라는 단어가 포함된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좌식, 온돌 생활문화인 한국에서는 우선 바닥이 따뜻해야 하는 불문율이 있어 매년 가을에서 겨울까지 수요가 있다.
  
 
생활패턴이 서구화되면서 한국에서도 침대사용이 크게 늘어나긴 했지만, 바닥난방 선호도는 그대로 유지됐기 때문인지 침대에 맞춤형으로 나온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등을 적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생활패턴이 서구화되면서 한국에서도 침대사용이 크게 늘어나긴 했지만, 바닥난방 선호도는 그대로 유지됐기 때문인지 침대에 맞춤형으로 나온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등을 적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78번째 줄: 78번째 줄:
  
 
== 장판 웨이브 ==
 
== 장판 웨이브 ==
보통 가을이나 봄에도 장판 시공 시 하루전에는 [[보일러]]를 켜두는 것이 좋다.
+
보통 가을이나 봄에도 장판 시공 시 하루전에는 보일러를 켜두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바로 장판 웨이브 현상 때문이다. 웨이브 현상이란 장판이 들뜨거나 파도처럼 휘어지는 모습을 보고 말하는데 웨이브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겨울철에 특히 바닥에 습기가 많아 지며 생기는 현상이며 오래된 집일수록 꼭 장판 시공전 보일러를 켜두어야 한다.
 
그 이유는 바로 장판 웨이브 현상 때문이다. 웨이브 현상이란 장판이 들뜨거나 파도처럼 휘어지는 모습을 보고 말하는데 웨이브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겨울철에 특히 바닥에 습기가 많아 지며 생기는 현상이며 오래된 집일수록 꼭 장판 시공전 보일러를 켜두어야 한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