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차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8번째 줄: 8번째 줄:
  
 
===침입차단시스템===
 
===침입차단시스템===
방화벽(Firewall)으로도 불리는 침입차단시스템(侵入遮斷 - , 영어: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IPS),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IDPS))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찾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경로에 설치되며, 호스트의 IP주소, TCP/UDP의 포트번호, 사용자 인증에 기반을 두고 외부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나 서비스에 대해 사용을 거부하여 내부 자원을 보호하는 기능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B9%A8%EC%9E%85_%EC%B0%A8%EB%8B%A8_%EC%8B%9C%EC%8A%A4%ED%85%9C 침입 차단 시스템]〉, 《위키백과》 </ref>
+
방화벽(Firewall)으로도 불리는 침입차단시스템(侵入遮斷 - , 영어: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IPS),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IDPS))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찾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B9%A8%EC%9E%85_%EC%B0%A8%EB%8B%A8_%EC%8B%9C%EC%8A%A4%ED%85%9C 침입 차단 시스템]〉, 《위키백과》 </ref>
  
 
====역사====
 
====역사====
방화벽은 인터넷이 태동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됐으며, 초기에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인 라우터(router)가 방화벽 역할을 전담했다. 이후 외부 공격 형태가 다양하고 치밀해 짐에 따라 방화벽 기술도 그에 맞춰 진화했다. 80년대 말경에 등장한 1세대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패킷(packet, 네트워크 내 데이터 이동 최소 단위)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전에 설정해 둔 보안 정책(rule)에 허용되는 패킷 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패킷분석형 방화벽은 네트워크 내 모든 패킷을 대상으로 검사 작업을 수행해야 하니 처리 속도가 느린 단점을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상태 분석형(stateful inspection) 방화벽이 등장했다. 이를 2세대 방화벽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며 2000년대 초까지 활발하게 사용됐다. 이후 인터넷 시대가 대중화되면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입 또는 공격방법도 다양해졌다. 이에 패킷 내용뿐 아니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통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layer) 방화벽이 2세대 방화벽을 이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
방화벽은 인터넷이 태동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됐으며, 초기에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인 [[라우터]](router)가 방화벽 역할을 전담했으며 그 후 외부 공격 형태가 다양하고 치밀해 짐에 따라 방화벽 기술도 그에 맞춰 진화했으며 80년대 말경에 등장한 1세대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패킷]](packet, 네트워크 내 데이터 이동 최소 단위)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전에 설정해 둔 보안 [[정책]](rule)에 허용되는 패킷 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패킷분석형 방화벽은 네트워크 내 모든 패킷을 대상으로 검사 작업을 수행해야 하니 처리 속도가 느린 단점을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상태 분석형]](stateful inspection) 방화벽이 등장했다. 이를 2세대 방화벽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며 2000년대 초까지 활발하게 사용됐다. 이후 인터넷 시대가 대중화되면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입 또는 공격방법도 다양해졌다. 이에 패킷 내용뿐 아니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통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layer) 방화벽이 2세대 방화벽을 이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ref name="역사"> 이문규, 〈[https://it.donga.com/8810/ 네트워크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 - 방화벽]〉, 《IT동아》, 2012-04-13 </ref>
 +
 
 +
====원리====
 +
네트워크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사전에 관리자가 설정해 놓은 보안 규칙(ACL, Access Control List, 접근 제어 목록)에 따라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중간에 위치하여 이러한 패킷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개를 배치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인터넷(외부 네트워크)으로부터 방화벽으로 들어오는 모든 접근 시도는 방화벽 내부에 사전 설정된 보안 규칙인 접근 제어 목록에 따라 내부 통과 여부가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방화벽은 모든 접근을 거부(deny)한 후 허용할 접근만 단계적으로 허용(allow/permit)하는 방식을 따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를 [[포트]](port)라 하는데,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약 65,000여 개의 통신 포트 모두를 차단한 후 접근을 허용하는 특정 포트만을 열어 둔다 즉 홈페이지 운영을 위한 웹 [[서비스]](http)를 제공한다면 80 포트를, [[FTP]] 서비스(ftp)를 제공한다면 20/21 포트 등을 접근 허용해야 하며 통신 포트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접근하는 IP 주소나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접근/거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규칙 설정이 모두 접근 제어 목록에 포함되어 일괄 적용되며 방화벽의 접근 제어 목록은 대개 관리자가 구성, 설정하기 편하도록 직관적인 형태로 출력되며, 보안 규칙 적용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만 접근 제어 목록 및 방화벽 설정에는 보안과 관련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므로 보안 전문가를 통해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거다.<ref name="역사"></ref>
 +
 
 +
{{각주}}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C%B9%A8%EC%9E%85_%EC%B0%A8%EB%8B%A8_%EC%8B%9C%EC%8A%A4%ED%85%9C 침입 차단 시스템]〉, 《위키백과》
 +
* 〈[https://it.donga.com/8810/ 네트워크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 - 방화벽]〉, 《IT동아》
 +
 
 +
==같이보기==

2021년 8월 13일 (금) 15:00 판

접근차단이란 어느 대상에 접근하는 것 을 막는거다.

개요

어떤 대상(시스템, 시설)에 누군가(사람,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오는 것 을 막기 위해 경로등을 막는거다.

종류

접근차단하는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인터넷, SNS, 네트워크에서 쓰는 침입차단시스템(방화벽)이 대표적이다.

침입차단시스템

방화벽(Firewall)으로도 불리는 침입차단시스템(侵入遮斷 - , 영어: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IPS),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IDPS))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찾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다.[1]

역사

방화벽은 인터넷이 태동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됐으며, 초기에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인 라우터(router)가 방화벽 역할을 전담했으며 그 후 외부 공격 형태가 다양하고 치밀해 짐에 따라 방화벽 기술도 그에 맞춰 진화했으며 80년대 말경에 등장한 1세대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패킷(packet, 네트워크 내 데이터 이동 최소 단위)의 형태를 분석하여, 사전에 설정해 둔 보안 정책(rule)에 허용되는 패킷 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패킷분석형 방화벽은 네트워크 내 모든 패킷을 대상으로 검사 작업을 수행해야 하니 처리 속도가 느린 단점을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상태 분석형(stateful inspection) 방화벽이 등장했다. 이를 2세대 방화벽으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며 2000년대 초까지 활발하게 사용됐다. 이후 인터넷 시대가 대중화되면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입 또는 공격방법도 다양해졌다. 이에 패킷 내용뿐 아니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통한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layer) 방화벽이 2세대 방화벽을 이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2]

원리

네트워크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사전에 관리자가 설정해 놓은 보안 규칙(ACL, Access Control List, 접근 제어 목록)에 따라 허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중간에 위치하여 이러한 패킷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개를 배치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인터넷(외부 네트워크)으로부터 방화벽으로 들어오는 모든 접근 시도는 방화벽 내부에 사전 설정된 보안 규칙인 접근 제어 목록에 따라 내부 통과 여부가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방화벽은 모든 접근을 거부(deny)한 후 허용할 접근만 단계적으로 허용(allow/permit)하는 방식을 따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를 포트(port)라 하는데,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약 65,000여 개의 통신 포트 모두를 차단한 후 접근을 허용하는 특정 포트만을 열어 둔다 즉 홈페이지 운영을 위한 웹 서비스(http)를 제공한다면 80 포트를, FTP 서비스(ftp)를 제공한다면 20/21 포트 등을 접근 허용해야 하며 통신 포트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접근하는 IP 주소나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접근/거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규칙 설정이 모두 접근 제어 목록에 포함되어 일괄 적용되며 방화벽의 접근 제어 목록은 대개 관리자가 구성, 설정하기 편하도록 직관적인 형태로 출력되며, 보안 규칙 적용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만 접근 제어 목록 및 방화벽 설정에는 보안과 관련된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므로 보안 전문가를 통해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거다.[2]

각주

  1. 침입 차단 시스템〉, 《위키백과》
  2. 2.0 2.1 이문규, 〈네트워크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 - 방화벽〉, 《IT동아》, 2012-04-13

참고자료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