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3번째 줄: 63번째 줄:
 
== 지리 ==
 
== 지리 ==
 
=== 지형 ===
 
=== 지형 ===
[[파일:중국 지형 지도.jpg|썸네일|300픽셀|중국 지형 지도]]
 
 
[[파일:중국의 지형.jpg|썸네일|300픽셀|중국의 지형]]
 
[[파일:중국의 지형.jpg|썸네일|300픽셀|중국의 지형]]
 
[[파일:중국의 하천.jpg|썸네일|300픽셀|중국의 하천]]
 
[[파일:중국의 하천.jpg|썸네일|300픽셀|중국의 하천]]
85번째 줄: 84번째 줄:
 
==== 바다 ====
 
==== 바다 ====
 
중국은 동쪽으로 [[보하이해]]와 [[황해]], [[동해]], 남쪽으로 [[남중국해]]를 접하며 이들은 모두 [[태평양]]에 연결되어 있다. [[보하이해]](渤海)는 요동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황해의 내만이며, 베이징 대도시권의 주요 해상교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보하이만(Bohai bay)라고 부르기도 하나, 텐진시 앞의 내만을 중국에서 [[보하이만]](渤海湾)이라 부르기 때문에 이 경우 혼선이 있을 수 있다. 황해(黃海)는 황허에서 흘러나오는 퇴적물과 모래폭풍의 영향으로 바다가 황색을 띠며 한반도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해안 중의 하나이다. 동중국해는 중국, 한반도, 일본(규슈, 오키나와)를 포괄하는 바다로 역시 태평양의 내해 역할을 하며, 교통로 및 무역로로 세계적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바다이다. 남중국해의 경우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등의 국가들이 둘러싼 바다로 위 바다들보다 온난하고, 아열대성 해양 특성을 보인다.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주요 섬과 군도에서 연안국간의 영유권에 대한 대립이 나타나고 있다. 보하이해와 황해 일대의 해안은 황허의 영향을 받아 넓은 갯벌을 보이며, 양쯔강 이남에는 산맥을 만나 암석해안이 자주 나타난다. 북회귀선의 남쪽으로 맹그로브 숲과 산호초가 나타난다. 맹그로브 숲은 광둥, 광시, 하이난의 해안에 주로 나타나며, 남중국해의 많은 섬들은 산호초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은 동쪽으로 [[보하이해]]와 [[황해]], [[동해]], 남쪽으로 [[남중국해]]를 접하며 이들은 모두 [[태평양]]에 연결되어 있다. [[보하이해]](渤海)는 요동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황해의 내만이며, 베이징 대도시권의 주요 해상교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보하이만(Bohai bay)라고 부르기도 하나, 텐진시 앞의 내만을 중국에서 [[보하이만]](渤海湾)이라 부르기 때문에 이 경우 혼선이 있을 수 있다. 황해(黃海)는 황허에서 흘러나오는 퇴적물과 모래폭풍의 영향으로 바다가 황색을 띠며 한반도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해안 중의 하나이다. 동중국해는 중국, 한반도, 일본(규슈, 오키나와)를 포괄하는 바다로 역시 태평양의 내해 역할을 하며, 교통로 및 무역로로 세계적으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바다이다. 남중국해의 경우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등의 국가들이 둘러싼 바다로 위 바다들보다 온난하고, 아열대성 해양 특성을 보인다.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주요 섬과 군도에서 연안국간의 영유권에 대한 대립이 나타나고 있다. 보하이해와 황해 일대의 해안은 황허의 영향을 받아 넓은 갯벌을 보이며, 양쯔강 이남에는 산맥을 만나 암석해안이 자주 나타난다. 북회귀선의 남쪽으로 맹그로브 숲과 산호초가 나타난다. 맹그로브 숲은 광둥, 광시, 하이난의 해안에 주로 나타나며, 남중국해의 많은 섬들은 산호초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 기후 ===
 
=== 기후 ===
 
연교차가 크고 건조한 지역이 많다. 강수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계절풍 기후(Cwa, Dwa)가 많고 온난 습윤 기후(Cfa)는 남방 해안지역에 국지적으로 있으며 몽골과 인접한 중북부와 서부는 건조기후(BS, BW)에 속한다. 중국/환경오염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 중국의 물부족은 수질오염 탓도 있지만 강수량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수요가 늘어난 것이 크다. 전통적으로 도시 한복판에 눈이 많이 오는 걸 서설(瑞雪)이라며 좋아하는 것도 그만큼 눈이 귀해서다.
 
연교차가 크고 건조한 지역이 많다. 강수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계절풍 기후(Cwa, Dwa)가 많고 온난 습윤 기후(Cfa)는 남방 해안지역에 국지적으로 있으며 몽골과 인접한 중북부와 서부는 건조기후(BS, BW)에 속한다. 중국/환경오염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 중국의 물부족은 수질오염 탓도 있지만 강수량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수요가 늘어난 것이 크다. 전통적으로 도시 한복판에 눈이 많이 오는 걸 서설(瑞雪)이라며 좋아하는 것도 그만큼 눈이 귀해서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