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4대 중증질환.png|썸네일|400픽셀|'''4대 중증질환''']]
+
[[파일:4대 중증질환.png|썸네일|400픽셀|4대 중증질환]]
 
+
'''중증'''(重症)<!--중증-->이란 아주 위중한 [[병]]의 [[증세]]를 말한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32add5a50d3475c8763dc834546facf 중증]〉, 《네이버국어사전》 </ref> 중증의 반대말은 경증이다.
'''중증'''(重症)<!--중증-->이란 아주 위중한 [[병]]의 [[증세]]를 말한다.<ref>〈[https://ko.dict.naver.com/#/entry/koko/d32add5a50d3475c8763dc834546facf 중증]〉, 《네이버 국어사전》 </ref> '''중증질환'''<!--중증 질환-->이라고 한다. 중증의 반대말은 [[경증]]이다.
 
  
 
== 중증질환 ==
 
== 중증질환 ==
[[중증질환]](重症疾患)은 [[증상]]이 아주 위중한 [[질병]]으로 분류되는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당뇨병, 간 질환, 알츠하이머병, 고혈압성 질환 등을 이른다. 한편 중증질환은 만성질환과도 관련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A6%9D%EC%A7%88%ED%99%98 중증질환]〉, 《위키백과》 </ref>
+
중증질환(重症疾患)은 [[증상]]이 아주 위중한 [[질병]]으로 분류되는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당뇨병, 간 질환, 알츠하이머병, 고혈압성 질환 등을 이른다. 한편 중증질환은 만성질환과도 관련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A6%9D%EC%A7%88%ED%99%98 중증질환]〉, 《위키백과》 </ref>
  
 
;4대 중증질환
 
;4대 중증질환
4대 중증질환은 [[]], [[심장병]], [[뇌질환]], [[희귀난치성 질환]]을 말한다. 4대 중증질환은 국민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의료비]] 부담이 가장 큰 질환이다.
+
4대 중증질환은 암, 심장병, 뇌질환, 희귀난치성 질환을 말한다. 4대 중증질환은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의료비 부담이 가장 큰 질환이다.
  
 
정부는 2012년 4대 중증질환 진료비 조사결과 전체 진료비중 비급여 진료비의 비중이 약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정부는 비용효과가 미흡한 비필수적 의료는 치료효과, 사회적 수요 등을고려하여 건강보험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면서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2013년 6월 25일, 보건복지부는 4대중증질환에 대해 2016년까지 환자의 평균 의료비부담(건강보험의 법정본인부담+비급여부담)을 현행보다 40%이상 감소시키고 건강보험 보장률이 80%를 넘도록 하는 보장성 강화 계획을 발표하였다.
 
정부는 2012년 4대 중증질환 진료비 조사결과 전체 진료비중 비급여 진료비의 비중이 약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정부는 비용효과가 미흡한 비필수적 의료는 치료효과, 사회적 수요 등을고려하여 건강보험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면서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2013년 6월 25일, 보건복지부는 4대중증질환에 대해 2016년까지 환자의 평균 의료비부담(건강보험의 법정본인부담+비급여부담)을 현행보다 40%이상 감소시키고 건강보험 보장률이 80%를 넘도록 하는 보장성 강화 계획을 발표하였다.
21번째 줄: 20번째 줄:
 
== 중증근무력증 ==
 
== 중증근무력증 ==
 
[[파일:중증근무력증.png|썸네일|300픽셀|중증근무력증]]
 
[[파일:중증근무력증.png|썸네일|300픽셀|중증근무력증]]
[[중증근무력증]](重症筋無力症), 중증근육무력증(重症筋肉無力症)은 변동이 있는 [[근육]] 저하와 피로를 유발하는 신경근육질환이다.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6~10명으로, 여성에게 잘 발생한다.
+
중증근무력증(重症筋無力症), 중증근육무력증(重症筋肉無力症)은 변동이 있는 [[근육]] 저하와 피로를 유발하는 신경근육질환이다.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6~10명으로, 여성에게 잘 발생한다.
  
 
중증근무력증은 움직이면 쉽게 피로하지만 쉬면 회복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은 점점 약해진다.
 
중증근무력증은 움직이면 쉽게 피로하지만 쉬면 회복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은 점점 약해진다.
39번째 줄: 38번째 줄:
 
== 코로나19 중증환자 ==
 
== 코로나19 중증환자 ==
 
[[파일:코로나19 환자 중증도 구분 기준.png|썸네일|400픽셀|코로나19 환자 중증도 구분 기준]]
 
[[파일:코로나19 환자 중증도 구분 기준.png|썸네일|400픽셀|코로나19 환자 중증도 구분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중증은 의식이 명료하며 ▲[[해열제]] 복용해도 38도 초과 ▲호흡곤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
코로나19 확진자 중증은 의식이 명료하며 ▲해열제 복용해도 38도 초과 ▲호흡곤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중증도를 분류해 경증환자는 의료기관이 아닌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결정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가 코로나19 환자 중증도 분류 세부 기준을 공개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중증도를 분류해 경증환자는 의료기관이 아닌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결정한 가운데, 질병관리본부가 코로나19 환자 중증도 분류 세부 기준을 공개했다.
77번째 줄: 76번째 줄:
 
* [[증상]]
 
* [[증상]]
 
* [[증세]]
 
* [[증세]]
* [[경증]]
 
 
* [[근육]]
 
* [[근육]]
* [[해열제]]
 
* [[중증질환]]
 
  
 
{{치료|검토 필요}}
 
{{치료|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