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치료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치료제(治療劑)란 이나 상처 따위를 잘 다스려 낫게 하기 위하여 쓰는 을 말한다.[1]

[편집]

약 또는 약물 또는 약제(藥劑)는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또는 억제하기 위해 먹거나, 바르거나, 직접 주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통틀어 말한다. 영양분 보충을 위한 영양제나 기분이 좋아지기 위해 투여하는 마약, 생물을 죽이거나 해를 입히기 위한 독약, 고통을 줄이기 위한 진통제마취제, 심지어는 음식 등도 약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때로는 화학 물질들을 약품으로 부르기도 하고 독성 물질이 약으로 쓰일 때도 있다.[2]

약은 병이나 상처 따위를 고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먹거나 바르거나 붙이거나 주사하거나 뿌리는 물질이다.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현대의 약물은 대부분 단일 유기화합물인데, 그중 많은 수가 천연물(주로 식물)에서 유래된 것들이다. 대표적인 예가 아스피린(버드나무)이나 모르핀(양귀비)이다. 천연물이라고 하면 동양의 한약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한약에서 유래한 단일 성분 제제는 없으며 대부분 서양 전통 의약이나 열대 지방 등 오지의 희귀 식물이나 미생물 등에서 과학자들이 추출한 물질로부터 유래된 것들이다. 반면에 순수하게 생화학/생물학적 원리를 토대로 컴퓨터 화면상에서 화학자가 구조를 디자인하여 만들어낸 약들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만성골수성 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 같은 첨단 고가 의약품들이다. 유기 화합물은 아니지만 별도의 범주로 항체 제제나 백신 등 바이오 의약품들이 있다. 현대의 모든 신규 약물은 대규모 임상 시험을 통해 통계적으로 약효가 검증되어야 판매될 수 있다.[3]

약은 질병이나 상처를 치료하는 데 쓰는 물품을 모두 가리키는 의학용어이다. 우리나라는 약의 개념이 광범위하여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공약품·농약·화약·구두약 등도 약이라고 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의약품이란 투여를 받은 사람의 생리상태 또는 병적 상태를 수정 또는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생명현상은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모든 생체 세포와 조직 또는 생물의 생활기능은 무수한 화학반응 체계로 구성되고 있다. 약은 세포의 생활반응에 직접 관여하여 구조와 기능을 개선하는 화학물질이다. 의료의 중심은 약물요법이며 의약학의 최대 목표는 육체와 정신의 병에 유효한 약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약의 위험성에 따라 극약, 독약, 중독성·습관성 의약품 등의 구별이 있으며, 독약 및 극약은 극량(極量)이 치사량에 가깝거나 축적작용이 강하거나 약리작용이 강렬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구조·기능에 위해를 가하거나 가할 염려가 있는 약으로, 지정되어 있다.[4]

약사법 규정에 의한 약
  • 대한약전(大韓藥典)에 수재된 것.
  •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의 진단·치료·경감(輕減)·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구·기계(치과재료·의료용품 및 위생용품을 포함)가 아닌 것.
  • 사람 또는 동물의 구조·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구·기계가 아닌 것(화장품은 제외).
약의 종류
  • 각성제(覺醒劑, Stimulant) : 몸의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며 교감신경계를 흥분시키는 약물이다.
  • 마취제(痲醉劑, anesthetic) : 몸의 지각(감각)을 마비시키고 의식을 상실시켜 힘줄의 긴장과 반사를 제거하는 약물이다.
  • 소염제(消炎劑, anti-inflammatory) : 염증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약. 작용에 따라 소염 진통제와 소염 효소제로 나뉜다.
  • 비타민제(vitamin compound) : 비타민을 주성분으로 하고 몸의 중요한 기능을 하게 해주는 영양제다.
  • 소화제(消化劑, digestant) :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약물이다.
  • 진통제(鎭痛劑, Anodynia) : 몸이 쑤시고 아픈 증상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약품이다.
  •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 :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이다.
  • 항염제(抗炎劑, Antiphlogistics, Anti-inflammatory, 소염제) : 국소에 작용하여 염증을 제거하는 약제다.
  • 해열제(解熱劑, Antipyretic) :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낮출 수 있는 의약품이다.
  • 호르몬제(Hormone drug) : 호르몬의 생리학적 특성을 이용해 특수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는 약제다.
  • 항바이러스제 : 체내에 침입한 바이러스의 작용을 약화시키거나 소멸시키는 약제다. 인터페론 등이 있다.

표적치료제[편집]

표적치료제는 발암 과정의 특정 표적 인자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치료제를 말한다. 최근 들어 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이 많이 규명되면서 특정 암세포만 공격하는 표적 치료제가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표적 치료란 암의 성장과 발암에 관여하는 특별한 분자의 활동을 방해하여 암이 성장하고 퍼지는 것을 막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분자와 세포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표적 치료는 비교적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선택적으로 암세포만 공격하기 때문에 탈모나 구토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적치료제는 작용기전에 따라 신호전달경로억제제와 신생혈관생성억제제가 있다.

신호전달경로억제제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hibitor)

암세포의 성장, 분화 및 생존에 있어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매개 효소들로는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 프로 테인 키나제 C(protein kinase C) 및 파네실 트랜스퍼라제(farnesyl transferase) 등이 있으며, 지금까지는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제들이 가장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s) 인간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EGFR,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는 네 종류(HER1, HER2, HER3, HER4)가 있으며, 여기에 '리간드'라는 물질이 결합하게 되면 티로 신 키나제(tyrosine kinase)의 활성 과정을 거친 후, 세포 내로 세포 성장 신호를 전달하여 이에 따라 암세포의 생존이나 증식, 전이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와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을 이용하여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신생혈관생성억제제 (Angiogenesis Inhibitors)

종양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하며, 이때 종양세포 주위에 신생 혈관이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신생 혈관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억제제 암세포는 VEGF(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라는 물질을 분비한다. VEGF가 혈관 내피세포 표면에 있는 VEGF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가 활성화되면서 신생 혈관들이 생성되어 종양의 성장 및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VEGF 경로를 차단해서 신생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표적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 분자량 150,000 Da 이상의 비교적 큰 분자로서, 단일클론항체의 항원인식부위(Fragment antigen binding;Fab)가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항원)을 인식하고 세포 밖의 표적과 결합함으로써 암세포증식에 필수적인 과정을 방해하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독소와 같은 치명적인 물질을 표적세포에 전달하여 표적치료가 일어난다.[5]

디지털치료제[편집]

디지털치료제 목적별 구분

디지털치료제는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나 디지털기기를 질환 관리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것이다. 진료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전통적인 약물이 아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나 웹, 게임, 가상현실(VR), 인공지능 등을 질환 치료에 활용한다는 의미다.

디지털치료제는 전통적인 약물과 달리 실시간, 연속적으로 24시간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치료제는 1차 용도에 따라 △건강관리 △질병관리 및 예방 △복약 순응도 개선 △질병 치료 등 네 가지로 분류한다. 이 중 질병관리 및 예방 단계부터는 미국식품의약국(FDA),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규제기관의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세계 최초의 디지털치료제는 미국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의 약물중독 치료 앱인 '리셋(reSET)'이다. 알코올, 코카인, 대마 등 약물중독 환자에게 인지행동치료(CBT)를 제공하는 앱으로 2017년 9월 FDA 승인을 받았다.[6]

전세계 디지털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27억 달러(약 3조 8,550억 원)에서 2021년에는 약 32억 3,000만 달러(약 4조 6,117억 원) 규모로 성장했다.

매년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2022년 약 38억 8000만 달러(약 5조 5,398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도 연평균성장률(CAGR) 20.5%에 이르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다가오는 2030년에는 약 173억 4000만 달러(약 24조 7,580억 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치료제의 임상 건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7년 4건에 불과했던 디지털치료제의 임상 건수는 2021년에는 33건으로 큰 폭으로 성장했다.

분야별로는 불안·우울증 등 정신질환 치료제가 지난 5년간 가장 많은 임상시험을 시작한 것과 동시에 전체 임상시험의 절반 이상 비중을 차지했으며, 알코올・마약성 진통제(Opioid) 사용 장애 및 약물 남용 분야, 인슐린 저항성 등 당뇨 관련 임상시험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디지털치료제 특허는 지난 5년 동안 총 213건이 출원되어 전체 규모는 작지만, 꾸준히 큰 폭으로 성장해왔는데 2017년 13건 대비 2021년에는 78건으로 6배 이상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우리나라에서 출원된 특허 비율이 약 7% 수준으로, 미국 출원 비중이 60%를 차지하는 등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치료제〉, 《네이버국어사전》
  2. 〉, 《위키백과》
  3. 〉, 《나무위키》
  4. 약(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표적치료제란 무엇인가요? 기존의 항암제와 어떻게 다른가요?〉, 《암이란닷컴》, 2019-04-08
  6. 박선혜 기자, 〈각藥각색 디지털치료제 쓰실래요?〉, 《메디칼업저버》, 2020-07-22
  7. 디지털 치료제 산업 동향 및 전망〉, 《대웅제약》, 2022-10-24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치료제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