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베이어 시스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번째 줄: 17번째 줄:
  
 
[[테일러]]가 시도한 '시간동작 연구(time and motion study)'로 불리는 테일러주의는 '집고 들고 걷고 구부리고 맞추는' 작업 동작을 '초시계'로 측정해 반복작업을 표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능력을 향상시켰다. 테일러식 노동분업과 과학적 관리의 원리는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라는 기계적 생산시스템과 결합하면서 빛을 발하게 된다.
 
[[테일러]]가 시도한 '시간동작 연구(time and motion study)'로 불리는 테일러주의는 '집고 들고 걷고 구부리고 맞추는' 작업 동작을 '초시계'로 측정해 반복작업을 표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능력을 향상시켰다. 테일러식 노동분업과 과학적 관리의 원리는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라는 기계적 생산시스템과 결합하면서 빛을 발하게 된다.
 +
  
 
하지만 대량생산 시대를 열었던 컨베이어 벨트지만 두뇌가 아닌 손노동만 필요로 하는 단순하고 반복된 작업은 노동자에게 일하는 재미를 앗아가 노동의 즐거움을 빼앗아 갔다. 1935년 선보인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Modern Times)>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공장]]에서 온종일 나사못을 조이는 찰리가 단순작업 결과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조여버리는 강박관념에 빠져 급기야 정신병원에 가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포드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대량생산방식 체계는 대량생산에는 노동자를 기계화, 부품화 시킨다는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대량생산 시대를 열었던 컨베이어 벨트지만 두뇌가 아닌 손노동만 필요로 하는 단순하고 반복된 작업은 노동자에게 일하는 재미를 앗아가 노동의 즐거움을 빼앗아 갔다. 1935년 선보인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Modern Times)>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공장]]에서 온종일 나사못을 조이는 찰리가 단순작업 결과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조여버리는 강박관념에 빠져 급기야 정신병원에 가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포드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대량생산방식 체계는 대량생산에는 노동자를 기계화, 부품화 시킨다는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