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1번째 줄: 71번째 줄:
  
 
===서비스체인===
 
===서비스체인===
블록체인의 처리량은 플랫폼이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요청 수를 나타낸 것이다. 여러 시스템이 동시에 작동하는 플랫폼들은 블록체인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독립적인 처리량이 필요한 각 서비스와 병렬로 여러 서비스가 작동한다.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의 물리적 처리량은 디앱을 실행하기 위한 제약이 되고 있다. [[클레이튼]]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를 높이기 위해 [[서비스 체인]](service chain)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하나의 거래가 성사되는 데 10분이 소요되며 하나의 거래가 최종 완결될 때까진 1시간이 걸리는데 비해 클레이튼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확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초당 4000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로 줄일 계획이다.<ref name="임유경 기자">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1125514 베일 벗은 카카오 블록체인...그라운드X, 클레이튼 살펴보니]〉, 《지디넷코리아》, 2018-09-21</ref> 이는 서로 영향을 주는 디앱(dApp)만 별도로 모아두어 블록 순서를 결정할 때 다른 서비스 체인에 있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오더링을 고민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블록체인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
블록체인의 처리량은 플랫폼이 시간 당 처리할 수 있는 요청 수를 나타낸 것이다. 여러 시스템이 동시에 작동하는 플랫폼들은 블록체인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독립적인 처리량이 필요한 각 서비스와 병렬로 여러 서비스가 작동한다.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의 물리적 처리량은 디앱을 실행하기 위한 제약이 되고 있다. [[클레이튼]]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를 높이기 위해 [[서비스 체인]](service chain)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하나의 거래가 성사되는 데 10분이 소요되며 하나의 거래가 최종 완결될 때까진 1시간이 걸리는데 비해 클레이튼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확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4000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로 줄일 계획이다.<ref name="임유경 기자">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21125514 베일 벗은 카카오 블록체인...그라운드X, 클레이튼 살펴보니]〉, 《지디넷코리아》, 2018-09-21</ref> 이는 서로 영향을 주는 디앱(dApp)만 별도로 모아두어 블록 순서를 결정할 때 다른 서비스 체인에 있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오더링을 고민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블록체인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은 분리된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은 서비스 체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격리된 상태로 저장한다. 서비스 체인에 의해 격리된 [[디앱]] 내에서 서비스 공급업체는 스마트 계약 기능을 자유롭게 호출하고 토큰 지분을 공유하여 리소스를 획득한다. 따라서 개별 계약을 체결할 필요 없이 관련 [[디앱]]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체인에 배치함으로써 관리 편의성을 높인다. 서비스 체인은 하나의 디앱 또는 관련 디앱으로 구성되며, 디앱 개발자는 계약을 이미 존재하는 서비스 체인에 배포할 것인지 아니며 새 서비스 체인을 생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체인은 데이터를 regionchain 이라는 지정된 체인에 남겨두며, 이 체인은 서비스체인의 최신 블록 데이터를 체크포인트로 검증하고 체크포인트를 통해 서비스 체인들 간에 오더링을 형성한다. 단일 물리적 노드에서 여러 개의 서비스 체인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플랫폼]]의 활동에 따라 수십만 개 이상의 서비스 체인을 하나의 노드에 배포 할 수 있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은 분리된 공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은 서비스 체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격리된 상태로 저장한다. 서비스 체인에 의해 격리된 [[디앱]] 내에서 서비스 공급업체는 스마트 계약 기능을 자유롭게 호출하고 토큰 지분을 공유하여 리소스를 획득한다. 따라서 개별 계약을 체결할 필요 없이 관련 [[디앱]]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체인에 배치함으로써 관리 편의성을 높인다. 서비스 체인은 하나의 디앱 또는 관련 디앱으로 구성되며, 디앱 개발자는 계약을 이미 존재하는 서비스 체인에 배포할 것인지 아니며 새 서비스 체인을 생성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체인은 데이터를 regionchain 이라는 지정된 체인에 남겨두며, 이 체인은 서비스체인의 최신 블록 데이터를 체크포인트로 검증하고 체크포인트를 통해 서비스 체인들 간에 오더링을 형성한다. 단일 물리적 노드에서 여러 개의 서비스 체인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플랫폼]]의 활동에 따라 수십만 개 이상의 서비스 체인을 하나의 노드에 배포 할 수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