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트 포르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로너 포르쉐 믹스테-바겐===
 
===로너 포르쉐 믹스테-바겐===
 
[[파일:로너-포르쉐 믹스테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
 
[[파일:로너-포르쉐 믹스테 하이브리드.jpg|썸네일|300픽셀|'''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
벨라 에거에서 5년을 근무한 포르쉐는 1898년 다른 국가의 황실이나 왕실의 VIP들에게 마차를 맞춤 제작하는 회사인 야콥-로너(Jakob-Lohner)의 공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자동차 시대의 도래를 예감한 이 회사는 마차 대신 자동차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첫선을 보인 차가 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Lohner-Porsche Mixte-Wagen)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문턱에 있었던 이 시절 등장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은 페르디난트 포르쉐가 아직 오스트리아인이었던 시절, 그가 일했던 로너 자동차 공장에서 만들었다. 포르쉐는 이미 1898년, 'P1'이라는 이명으로 알려진 C.2 페이톤을 설계하면서 상당한 수준의 전기차 설계 능력을 증명한 바 있었다. 그리고 P1 [[전기자동차]]를 통해 자신감을 얻은 포르쉐는 여기에 [[가솔린 엔진]]을 결합하여 [[모터]]에서 사용할 [[전기]]를 충전한다는 구상을 실행해 옮겼다. 이렇게 만들어진 차가 로너-포르쉐이다. 로너-포르쉐는 엄청난 무게의 [[전기모터]] 2개를 장착했다. 각자 앞쪽과 뒤쪽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휘발유 엔진과 전기모터를 조합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라는 명성을 얻었고,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물론 오늘날의 기준에서는 일반적인 병렬 스트롱 타입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기보다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 가깝다. [[내연기관]]은 축전지에 저장할 전력만 생산하고, 구동은 전기모터로만 하는 직렬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다르게 이르는 말이다. 로너-포르쉐는 100년이 지난 오늘날의 시점에서 놀라운 점들이 많다. 직렬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적용은 둘째치고, 각각의 바퀴에 모두 전기모터가 내장된 인-휠 타입의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사륜구동을 구현하고 있었다. 각각의 모터는 약 7~14마력의 최고출력을 낼 수 있었다. 따라서 네 바퀴로 구동하고 제동 시에도 모터 저항을 이용해 네 바퀴가 모두 제동할 수 있는 사륜 제동 시스템까지 구현한, 당시로써는 혁신적인 설계가 돋보였다.
+
벨라 에거에서 5년을 근무한 포르쉐는 1898년 다른 국가의 황실이나 왕실의 VIP들에게 마차를 맞춤 제작하는 회사인 야콥-로너(Jakob-Lohner)의 공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자동차 시대의 도래를 예감한 이 회사는 마차 대신 자동차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첫선을 보인 차가 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Lohner-Porsche Mixte-Wagen)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문턱에 있었던 이 시절 등장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로너-포르쉐 믹스테-바겐은 페르디난트 포르쉐가 아직 오스트리아인이었던 시절, 그가 일했던 로너 자동차 공장에서 만들었다. 포르쉐는 이미 1898년, ‘P1’이라는 이명으로 알려진 C.2 페이톤을 설계하면서 상당한 수준의 전기차 설계 능력을 증명한 바 있었다. 그리고 P1 [[전기자동차]]를 통해 자신감을 얻은 포르쉐는 여기에 [[가솔린 엔진]]을 결합하여 [[모터]]에서 사용할 [[전기]]를 충전한다는 구상을 실행해 옮겼다. 이렇게 만들어진 차가 로너-포르쉐이다. 로너-포르쉐는 엄청난 무게의 [[전기모터]] 2개를 장착했다. 각자 앞쪽과 뒤쪽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휘발유 엔진과 전기모터를 조합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라는 명성을 얻었고,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물론 오늘날의 기준에서는 일반적인 병렬 스트롱 타입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기보다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에 가깝다. [[내연기관]]은 축전지에 저장할 전력만 생산하고, 구동은 전기모터로만 하는 직렬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다르게 이르는 말이다. 로너-포르쉐는 100년이 지난 오늘날의 시점에서 놀라운 점들이 많다. 직렬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적용은 둘째치고, 각각의 바퀴에 모두 전기모터가 내장된 인-휠 타입의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사륜구동을 구현하고 있었다. 각각의 모터는 약 7~14마력의 최고출력을 낼 수 있었다. 따라서 네 바퀴로 구동하고 제동 시에도 모터 저항을 이용해 네 바퀴가 모두 제동할 수 있는 사륜 제동 시스템까지 구현한, 당시로써는 혁신적인 설계가 돋보였다.
 
 
 
===폭스바겐 비틀===
 
===폭스바겐 비틀===
 
[[파일:폭스바겐 비틀(1세대).jp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 비틀(1세대)''']]
 
[[파일:폭스바겐 비틀(1세대).jp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 비틀(1세대)''']]
 
+
당시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와 경제 대공황의 여파로 중산층이 붕괴한 상태였고 미국인의 30% 이상이 자가용 [[승용차]]를 보유한 것과 대조적인 2%에 불과했다. 이에 히틀러는 독일 중산층 회복을 위한 KdF(Kraft durch Freude, 행복을 통해 얻는 힘)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KdF 프로그램은 2~3명의 자녀를 둔 독일인 가정을 위한 복지의 일환으로 국민차를 타고 주말에 휴양지의 리조트를 방문하고 유람선을 타고 여가를 즐기며 모든 가정에는 국민 라디오를 보급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이상적인 중산층의 삶을 만드는 것이 골자였다. 히틀러는 국민차의 조건을 몇 가지 제시했는데 5인 가족이 타고 100km/h 이상으로 달릴 수 있을 만큼 넓은 실내공간과 강력한 [[엔진]]을 탑재해야 하고, [[연비]]는 14.3km/L 이상이어야 하며, 모든 [[부품]]은 쉽고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하며 차고가 거의 없는 독일의 주거 환경상 [[냉각수]] 동파를 막기 위해 [[공랭식]] [[엔진]]을 탑재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차량 가격은 1,000마르크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무엇 하나 달성하기 쉬운 것이 없는 조건들이었다. 하지만 포르쉐 박사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작고 실용적인 대중차를 연구 중이었다. 그는 췬다프 사를 위해 개발한 타입 12, NSU 타입 32등의 [[프로토타입]]을 거치며 국민차 프로젝트를 구체화했다. 가격을 맞히기 위해 작은 차체를 유지하면서도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타트라의 설계를 참고해 차체 뒤편에 엔진을 탑재했다. 공랭식 엔진은 특이하게도 수평대향 4기통 레이아웃을 채택했는데 덕분에 엔진 높이가 낮아져 스윙 액슬 방식의 서스펜션을 채택할 수 있었다. 1938년 마침내 타입 1의 시제품이 완성됐고 히틀러는 이 차에 KdF-바겐이라는 이름을 붙여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생애 처음으로 자가용 차를 살 기대에 부푼 독일인들은 앞다퉈 자동차 적금에 가입했고 타입 1은 독일 최초의 국민차로 등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국민들이 모은 자동차 적금은 고스란히 군용차 제작에 쓰였다. 사실 히틀러가 지시했던 국민차 개발은 전쟁 시 신뢰성 높고 우수한 성능을 갖춘 군용차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타입 1의 설계를 바탕으로 군용으로 전용된 퀴벨 바겐과 쉬빔바겐이 생산됐고 이들은 나치 독일군의 주력 전술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타입 1이 승용차로 생산되기 시작한 건 2차대전이 끝난 뒤의 일이다. 1945년 영국군이 2만 대의 타입 1을 주문한 것을 계기로 볼프스부르크 공장의 생산이 재개됐고 이후 독일 내수와 유럽에서 주문이 늘면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타입 1은 이미 10년 가까이 된 설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시트로엥 2CV, 영국의 모리스 마이너같은 대중차보다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했고 귀여운 디자인과 높은 신뢰성, 경제성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도 진출해 큰 인기를 끌었다. 공식적으로 타입 1이 단종된 것은 출시로부터 무려 65년이 지난 2003년이며 긴 세월 동안 무려 2,100만 대 넘게 생산되면서 타입 1은 아직도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이 생산된 단일 모델로 기록된다. 이후 비틀은 그 독특한 디자인을 계승한 뉴비틀, 그리고 더 비틀 등의 후속 모델로 이어졌다.<ref>〈[http://www.m-park.co.kr/magazine/article_view.asp?idx=3685 자동차, 역사의 순간 2. 포르쉐 박사, 딱정벌레 차를 만들다]〉, 《엠파크》, 2020-02-03</ref>
당시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와 경제 대공황의 여파로 중산층이 붕괴한 상태였고 미국인의 30% 이상이 자가용 [[승용차]]를 보유한 것과 대조적인 2%에 불과했다. 이에 히틀러는 독일 중산층 회복을 위한 KdF(Kraft durch Freude, 행복을 통해 얻는 힘)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KdF 프로그램은 2~3명의 자녀를 둔 독일인 가정을 위한 복지의 일환으로 [[국민차]]를 타고 주말에 휴양지의 리조트를 방문하고 유람선을 타고 여가를 즐기며 모든 가정에는 국민 라디오를 보급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이상적인 중산층의 삶을 만드는 것이 골자였다. 히틀러는 국민차의 조건을 몇 가지 제시했는데 5인 가족이 타고 100km/h 이상으로 달릴 수 있을 만큼 넓은 실내공간과 강력한 [[엔진]]을 탑재해야 하고, [[연비]]는 14.3km/L 이상이어야 하며, 모든 [[부품]]은 쉽고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하며 차고가 거의 없는 독일의 주거 환경상 [[냉각수]] 동파를 막기 위해 [[공랭식]] [[엔진]]을 탑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 차량 가격은 1,000마르크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무엇 하나 달성하기 쉬운 것이 없는 조건들이었다. 하지만 포르쉐 박사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작고 실용적인 대중차를 연구 중이었다. 그는 췬다프 사를 위해 개발한 타입 12, NSU 타입 32등의 [[프로토타입]]을 거치며 국민차 프로젝트를 구체화했다. 가격을 맞히기 위해 작은 차체를 유지하면서도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타트라의 설계를 참고해 차체 뒤편에 엔진을 탑재했다. 공랭식 엔진은 특이하게도 수평대향 4기통 레이아웃을 채택했는데 덕분에 엔진 높이가 낮아져 스윙 액슬 방식의 서스펜션을 채택할 수 있었다. 1938년 마침내 타입 1의 시제품이 완성됐고 히틀러는 이 차에 KdF-바겐이라는 이름을 붙여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생애 처음으로 자가용 차를 살 기대에 부푼 독일인들은 앞다퉈 자동차 적금에 가입했고 타입 1은 독일 최초의 국민차로 등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국민들이 모은 자동차 적금은 고스란히 군용차 제작에 쓰였다. 사실 히틀러가 지시했던 국민차 개발은 전쟁 시 신뢰성 높고 우수한 성능을 갖춘 군용차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타입 1의 설계를 바탕으로 군용으로 전용된 퀴벨 바겐과 쉬빔바겐이 생산됐고 이들은 나치 독일군의 주력 전술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타입 1이 승용차로 생산되기 시작한 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의 일이다. 1945년 영국군이 2만 대의 타입 1을 주문한 것을 계기로 볼프스부르크 공장의 생산이 재개됐고 이후 독일 내수와 유럽에서 주문이 늘면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타입 1은 이미 10년 가까이 된 설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시트로엥 2CV, 영국의 모리스 마이너같은 대중차보다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했고 귀여운 디자인과 높은 신뢰성, 경제성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도 진출해 큰 인기를 끌었다. 공식적으로 타입 1이 단종된 것은 출시로부터 무려 65년이 지난 2003년이며 긴 세월 동안 무려 2,100만 대 넘게 생산되면서 타입 1은 아직도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이 생산된 단일 모델로 기록된다. 이후 비틀은 그 독특한 디자인을 계승한 뉴비틀, 그리고 더 비틀 등의 후속 모델로 이어졌다.<ref>〈[http://www.m-park.co.kr/magazine/article_view.asp?idx=3685 자동차, 역사의 순간 2. 포르쉐 박사, 딱정벌레 차를 만들다]〉, 《엠파크》, 2020-02-03</ref>
 
  
 
===전차 개발===
 
===전차 개발===
1936년에 등장한 4호 전차는 제2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만 해도 최강의 [[전차]]로 손색이 없었다. 하지만 소련 T-34, [[미국]] M4 셔먼 등 연합군의 진보한 전차가 등장하면서 [[독일]] 전차의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히틀러는 포르쉐에 4호 전차의 뒤를 이을 강력한 신형 전차 개발에 착수하도록 지시했다. VK 45.01(P)은 포르쉐가 개발한 티거 전차의 프로젝트명으로 시제품을 제조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이 시제품이 포르쉐의 젊은 시절 명성을 안겨다 주었던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두 대의 포르쉐 V10 엔진을 작동시키면 [[엔진]]이 [[발전기]]를 돌리고, 그 전기로 모터를 돌려 구동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마치 전기모터로 달리는 RC 전차처럼 전차의 변속, 전후좌우진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헨셸]](Henschel)사의 VK 45.01(H)에 밀려 육군에 채택되지 못해 양산되지는 못했다. 점점 독일에 불리하게 돌아가던 전쟁 상황에서 완성된 차대를 놀려둘 수 없었다. 결국 이 차대에 고정식 전투실을 설치하고, 티거 전차의 포를 능가하는 화력의 71구경장 88m 대전차포를 탑재함으로써 구축전차 페르디난트가 완성되었다. 페르디난트는 90대가 생산되어, 1943년 7월에 벌어진 동부전선 최대의 결전, 쿠르스크 전투에 첫 실전 투입되었다. 독일군이 공세를 지속하던 전투 초기에 페르디난트는 무려 200mm 두께에 달하는 전면 장갑과 71구경장 88mm 대전차포의 강력한 화력을 십분 발휘하여, 원거리 전투에서는 거의 무적의 힘을 발휘했다. 그러나 전투 후기에는 소련군의 조밀한 방어시설에 걸린 독일군의 진격이 지체되면서, 전투가 근접전 위주로 벌어지자 약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전차 페르디난트에는 자체 방어용 기관총이나 전주위 잠망경 등 적 보병과의 근접전을 상정한 어떤 장비도 실려 있지 않았다. 결국, 구축전차가 소련군 보병이 던진 화염병에 격파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전차 페르디난트는 중량이 너무 무거워, 기동성도 좋지 않았다. 최고속도가 포장도로 시속 30km, 야지에서 시속 10km였다. 1943년 11월까지 동부전선에서 살아남은 48대의 페르디난트는 전훈을 받아들여 약간의 개량을 거친 후, [[엘리펀트]](Elefant)로 개칭된 후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동부전선보다 산지가 많은 이탈리아는 엘리펀트가 싸우기 적합한 전쟁터는 아니었다. 결국 계속 소모되어 가다가 끝까지 살아남은 4대는 베를린 전투에서 종전을 맞게 되었다.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여기서 끝내지 않고 엘리펀트보다 더 크고 강한 전차를 만들어 냈다.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전차 [[마우스]](Maus)이다. 어떠한 적의 공격에도 격파당하지 않는 무적의 전차 개념이던 마우스는 1942년 7월 포르쉐의 제안을 히틀러가 받아들임으로써 개발이 시작되었다. 1943년 12월에는 모의 포탑을 얹은 V1호차가, 이듬해 3월에는 실포탑을 얹은 V2호차가 완성되었다. 당시 기준으로 마우스의 공격력과 방어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장갑 두께는 제일 두꺼운 곳이 460mm였고, 어지간한 부위도 190~200mm를 웃돌았다. 전비중량은 무려 188t, 주무장은 55구경장 128mm 대전차포 1문, 36.5구경장 75mm 대전차포 1문이었다. 그러나 주행성능은 최고속도가 포장도로에서조차 시속 13km, 연비가 리터당 38m에 불과한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히틀러는 마우스를 150대 발주하였지만, V1호차가 완성되기도 전인 1943년 10월에 최소화했다. 결국, 마우스는 두 시제차만 완성된 채로 종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독일군은 마우스 V2호차의 차체에 폭약을 설치해 자폭시켰지만, 포탑은 비교적 멀쩡한 상태로 남았다. 소련군은 이 포탑을 회수해 마우스 V1 차체에 결합해 본국으로 가져가 각종 실험에 사용했다. 현재 마우스는 러시아 쿠빙카 전차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ref>안광호 기자, 〈[https://www.khan.co.kr/economy/auto/article/201304161620422 8. 포르쉐 왕가의 전설, 페르디난트 포르쉐]〉, 《경향신문》, 2013-04-16</ref>
 
 
 
{|class=wikitable width=1000
 
{|class=wikitable width=1000
 
|align=center|[[파일:VK 45.01(P).jpg|300픽셀]]
 
|align=center|[[파일:VK 45.01(P).jpg|300픽셀]]
35번째 줄: 31번째 줄:
 
!align=center|[[엘리펀트]]
 
!align=center|[[엘리펀트]]
 
|}
 
|}
 +
1936년에 등장한 4호 전차는 제2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만 해도 최강의 [[전차]]로 손색이 없었다. 하지만 소련 T-34, [[미국]] M4 셔먼 등 연합군의 진보한 전차가 등장하면서 [[독일]] 전차의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히틀러는 포르쉐에 4호 전차의 뒤를 이을 강력한 신형 전차 개발에 착수하도록 지시했다. VK 45.01(P)은 포르쉐가 개발한 티거 전차의 프로젝트명으로 시제품을 제조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이 시제품이 포르쉐의 젊은 시절 명성을 안겨다 주었던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두 대의 포르쉐 V10 엔진을 작동시키면 [[엔진]]이 [[발전기]]를 돌리고, 그 전기로 모터를 돌려 구동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마치 전기모터로 달리는 RC 전차처럼 전차의 변속, 전후좌우진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헨셸(Henschel)사의 VK 45.01(H)에 밀려 육군에 채택되지 못해 양산되지는 못했다. 점점 독일에 불리하게 돌아가던 전쟁 상황에서 완성된 차대를 놀려둘 수 없었다. 결국 이 차대에 고정식 전투실을 설치하고, 티거 전차의 포를 능가하는 화력의 71구경장 88m 대전차포를 탑재함으로써 구축전차 페르디난트가 완성되었다. 페르디난트는 90대가 생산되어, 1943년 7월에 벌어진 동부전선 최대의 결전, 쿠르스크 전투에 첫 실전 투입되었다. 독일군이 공세를 지속하던 전투 초기에 페르디난트는 무려 200mm 두께에 달하는 전면 장갑과 71구경장 88mm 대전차포의 강력한 화력을 십분 발휘하여, 원거리 전투에서는 거의 무적의 힘을 발휘했다. 그러나 전투 후기에는 소련군의 조밀한 방어시설에 걸린 독일군의 진격이 지체되면서, 전투가 근접전 위주로 벌어지자 약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전차 페르디난트에는 자체 방어용 기관총이나 전주위 잠망경 등 적 보병과의 근접전을 상정한 어떤 장비도 실려 있지 않았다. 결국, 구축전차가 소련군 보병이 던진 화염병에 격파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전차 페르디난트는 중량이 너무 무거워, 기동성도 좋지 않았다. 최고속도가 포장도로 시속 30km, 야지에서 시속 10km였다. 1943년 11월까지 동부전선에서 살아남은 48대의 페르디난트는 전훈을 받아들여 약간의 개량을 거친 후, 엘리펀트(Elefant)로 개칭된 후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동부전선보다 산지가 많은 이탈리아는 엘리펀트가 싸우기 적합한 전쟁터는 아니었다. 결국 계속 소모되어 가다가 끝까지 살아남은 4대는 베를린 전투에서 종전을 맞게 되었다.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여기서 끝내지 않고 엘리펀트보다 더 크고 강한 전차를 만들어 냈다.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전차 마우스(Maus)이다. 어떠한 적의 공격에도 격파당하지 않는 무적의 전차 개념이던 마우스는 1942년 7월 포르쉐의 제안을 히틀러가 받아들임으로써 개발이 시작되었다. 1943년 12월에는 모의 포탑을 얹은 V1호차가, 이듬해 3월에는 실포탑을 얹은 V2호차가 완성되었다. 당시 기준으로 마우스의 공격력과 방어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장갑 두께는 제일 두꺼운 곳이 460mm였고, 어지간한 부위도 190~200mm를 웃돌았다. 전비중량은 무려 188t, 주무장은 55구경장 128mm 대전차포 1문, 36.5구경장 75mm 대전차포 1문이었다. 그러나 주행성능은 최고속도가 포장도로에서조차 시속 13km, 연비가 리터당 38m에 불과한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히틀러는 마우스를 150대 발주하였지만, V1호차가 완성되기도 전인 1943년 10월에 최소화했다. 결국, 마우스는 두 시제차만 완성된 채로 종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독일군은 마우스 V2호차의 차체에 폭약을 설치해 자폭시켰지만, 포탑은 비교적 멀쩡한 상태로 남았다. 소련군은 이 포탑을 회수해 마우스 V1 차체에 결합해 본국으로 가져가 각종 실험에 사용했다. 현재 마우스는 러시아 쿠빙카 전차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ref>안광호 기자, 〈[https://www.khan.co.kr/economy/auto/article/201304161620422 8. 포르쉐 왕가의 전설, 페르디난트 포르쉐]〉, 《경향신문》, 2013-04-16</ref>
  
 
==포르쉐 가문==
 
==포르쉐 가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