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사람몸의 세포에도 고분자가 존재하는데,  우리가 잘아는  단백질,지방,탄수화물,핵산(DNA)이 있다.
 
사람몸의 세포에도 고분자가 존재하는데,  우리가 잘아는  단백질,지방,탄수화물,핵산(DNA)이 있다.
  
폴리머(polyer)는 원자들이 전자를 공유할 때 화학적 고리로 연결되는 똑같은 구조의 단위로 이루어진 고분자(거대분자)들이다. [[아미노산]]이 모노머(monomer)에 해당하고  아미노산이 결합된 단백질이  중합체(polymer)에 해당된다.<ref>수수깡,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snayana&logNo=80128793689 폴리머,중합체]〉, 《네이버 블로그》, 2011-04-23</ref>
+
폴리머(polyer)는 원자들이 전자를 공유할 때 화학적 고리로 연결되는 똑같은 구조의 단위로 이루어진 고분자(거대분자)들이다. [[아미노산]]이 모노머(monomer)에 해당하고  아미노산이 결합된 단백질이  중합체(polymer)에 해당된다
 
 
원래 인간이 폴리머라는 것을 만들 줄 몰랐을 때 자연계에서 [[수지]]를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이 수지라는 것은 열을 가하거나 solvent용매에 녹여서 무르게도 액체 같이 만들 수 있는 독특한 성격이 있다. 이 성질을 [[가소성]](plasticity)이라고 하며 이 단어에서 플라스틱( plastic) [[열가소성]](thermoplasticity)이라는 용어가 탄생했다.  원래 플라스틱이란 말은 plasticity를 가진 물질이란 뜻이다.
 
 
 
폴리머는 우리 생활에 너무 많이 관계되어 있고 폴리머가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다. 사실 우리 주위에는 폴리머가 아닌 것이 오히려 찾기 어려울 정도로 폴리머가 많고 우리 몸 자체도 폴리머이다. 요즘 환경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는데 자연은 거의 천연 폴리머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무 풀 짐승 벌레 세균 등 유기 물질은 모두 폴리머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고 소화하고 우리 몸이 자라는 것 모두가 폴리머 반응이다. 그러므로 자연을 이해하고 보존하고 회복하는 일도 폴리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폴리머를 알기 위해 고도의 화학 지식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폴리머는 손으로 만질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것이다. <ref>유한지식IN, 〈[https://tulipblossom.tistory.com/2 polymer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20-07-17</ref>
 
  
 
일반적인 고분자 산업의 기원은 천연고분자의 개질과 관련하.여 19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20년대 까지는 Hermann Staudinger가 주장하던 공유결합에 의한 화학적 단위의 긴 사슬의 분자라는 학설에는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후에 Hermann Staudinger의 이론이 Mark와 Meyer에 의하여 입증이 되어졌다. 또한 Paul Flory의 이론적, 실험적인 업적은 1974년 그에게 노벨상의 영광을 안겨 주었으며 이후 과학적인 진보와 산업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고분자의 산업은 더욱 확장되었고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ref name="세양"> 〈[http://www.seyangpolymer.com/bbs/board.php?tbl=bbs01&mode=VIEW&num=2&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page=7&mobile_flag= 플라스틱이란? - 폴리머란 무엇인가?]〉, 《세양폴리머》, 2016-06-21</ref>
 
일반적인 고분자 산업의 기원은 천연고분자의 개질과 관련하.여 19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20년대 까지는 Hermann Staudinger가 주장하던 공유결합에 의한 화학적 단위의 긴 사슬의 분자라는 학설에는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후에 Hermann Staudinger의 이론이 Mark와 Meyer에 의하여 입증이 되어졌다. 또한 Paul Flory의 이론적, 실험적인 업적은 1974년 그에게 노벨상의 영광을 안겨 주었으며 이후 과학적인 진보와 산업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고분자의 산업은 더욱 확장되었고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ref name="세양"> 〈[http://www.seyangpolymer.com/bbs/board.php?tbl=bbs01&mode=VIEW&num=2&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page=7&mobile_flag= 플라스틱이란? - 폴리머란 무엇인가?]〉, 《세양폴리머》, 2016-06-21</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