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수준원점은 해발고도 0m 지점으로부터 육지의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 및 높이를 지오이드, 측량 등을 통해 정확히 잰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의 해발고도는 해양의 만조수면과 간조수면의 평균치로 계산하며, 국가마다 해발고도를 산정하는 기준이 다르다. 대한민국의 해발고도는 일제강점기 시기였던 1914년, 인천항 내항의 수면 높이를 1916년까지 3년간 측정해 그 평균값을 계산한 것으로, 그에 따른 수준기점을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1가 2번지(인천중부경찰서 앞)에 설치하여 측량의 기준점으로 활용했다.
 
수준원점은 해발고도 0m 지점으로부터 육지의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 및 높이를 지오이드, 측량 등을 통해 정확히 잰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의 해발고도는 해양의 만조수면과 간조수면의 평균치로 계산하며, 국가마다 해발고도를 산정하는 기준이 다르다. 대한민국의 해발고도는 일제강점기 시기였던 1914년, 인천항 내항의 수면 높이를 1916년까지 3년간 측정해 그 평균값을 계산한 것으로, 그에 따른 수준기점을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1가 2번지(인천중부경찰서 앞)에 설치하여 측량의 기준점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이는 잠정적인 [[표고 (높이)|표고]] 기준치였던 데다, 6.25 전쟁으로 인해 삼각점과 수준이 상당수 파괴되어 전후 복구를 위한 측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해발고도가 현저히 다른 일본 도쿄의 수준점을 빌리거나, 부산광역시 영도, 인천 월미도 앞바다의 수준을 자체적으로 측정해 활용하는 등 해발고도 측정에서도 혼란이 많았다. 더욱이 항동1가를 위시한 인천내항 일대의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수준기점을 이전해야 할 필요성 역시 있었다. 그런 탓에 향후 수준점과 삼각점의 기준이 될 명확한 원점을 만들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새로운 수준원점의 설치를 담당한 국립건설연구소는 인하공업전문대학 캠퍼스를 새로운 수준원점의 근거지로 선정했다. 국립건설연구소가 인하공전 캠퍼스를 택한 이유는 지반이 단단하고, 인천항과 가까우며 교통이 번잡하지 않다는 것 때문이었다.
+
하지만 이는 잠정적인 표고 기준치였던 데다, 6.25 전쟁으로 인해 삼각점과 수준이 상당수 파괴되어 전후 복구를 위한 측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해발고도가 현저히 다른 일본 도쿄의 수준점을 빌리거나, 부산광역시 영도, 인천 월미도 앞바다의 수준을 자체적으로 측정해 활용하는 등 해발고도 측정에서도 혼란이 많았다. 더욱이 항동1가를 위시한 인천내항 일대의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수준기점을 이전해야 할 필요성 역시 있었다. 그런 탓에 향후 수준점과 삼각점의 기준이 될 명확한 원점을 만들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새로운 수준원점의 설치를 담당한 국립건설연구소는 인하공업전문대학 캠퍼스를 새로운 수준원점의 근거지로 선정했다. 국립건설연구소가 인하공전 캠퍼스를 택한 이유는 지반이 단단하고, 인천항과 가까우며 교통이 번잡하지 않다는 것 때문이었다.
  
 
이에 1963년 12월 인천 항동에서 수준원점이 위치할 인하공업전문대학까지 약 4.5km 거리를 정밀 측량한 끝에 인천항 내항 평균 수면으로부터 26.6871m 상공의 지점인 현재의 위치에 수준원점을 설치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 지표면으로부터 사람 가슴 높이까지 올라온 수준원점은 둥근 받침돌 위에 화강암으로 된 육면체의 설치대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자수정으로 수준원점 수정점의 높이를 표현하고 있어 측량 및 계측 기기로 원점을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수준원점은 직경 3.3m, 높이 3.36m가량의 벽돌 건축물로 보호되고 있다.
 
이에 1963년 12월 인천 항동에서 수준원점이 위치할 인하공업전문대학까지 약 4.5km 거리를 정밀 측량한 끝에 인천항 내항 평균 수면으로부터 26.6871m 상공의 지점인 현재의 위치에 수준원점을 설치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 지표면으로부터 사람 가슴 높이까지 올라온 수준원점은 둥근 받침돌 위에 화강암으로 된 육면체의 설치대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자수정으로 수준원점 수정점의 높이를 표현하고 있어 측량 및 계측 기기로 원점을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수준원점은 직경 3.3m, 높이 3.36m가량의 벽돌 건축물로 보호되고 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주거지를 판단할 때 과학적인 이론에 해당하는 해발고도만으로 살펴보면 사람살기에 가장 좋은 곳은 해발 600~700m에 위치한 장소이다. 그 이유는 이 저점이 고기압과 저기압의 경계지점으로 기압의 변화가 적어 생기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거주자의 인체에 부담이 작기 때문이다.
 
주거지를 판단할 때 과학적인 이론에 해당하는 해발고도만으로 살펴보면 사람살기에 가장 좋은 곳은 해발 600~700m에 위치한 장소이다. 그 이유는 이 저점이 고기압과 저기압의 경계지점으로 기압의 변화가 적어 생기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거주자의 인체에 부담이 작기 때문이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먼저 느끼는 신체의 편안함 여부는 [[기압]]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노인들이 [[날씨]] 변화에 따라 건강 상태가 가장 민감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서 나이든 사람을 '인간 기상대'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표고 (높이)|표고]]에서는 [[인체]]의 [[혈액순환]]이 빨라져 [[피로회복]]이 [[저지대]]보다 2~3시간 빠르고, 몸속의 [[멜라토닌]] 분비량이 증가함으로써 [[숙면]]을 용이하게 해주는 큰 장점이 있다.
+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먼저 느끼는 신체의 편안함 여부는 기압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노인들이 날씨 변화에 따라 건강상태가 가장 민감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서 나이든 사람을 '인간 기상대'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표고에서는 인체의 혈액순환이 빨라져 피로회복이 저지대보다 2~3시간 빠르고, 몸속의 멜라토닌 분비량이 증가함으로써 숙면을 용이하게 해주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주거지는 해발고도만 적당하다고 좋은 집터가 될 수는 없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산악여건을 감한할 때 그런 해발높이의 지역에서는 주거지가 갖추어야 할 적정한 입지여건을 갖춘 택지를 찾기가 무척 어렵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주거지는 해발고도만 적당하다고 좋은 집터가 될 수는 없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산악여건을 감한할 때 그런 해발높이의 지역에서는 주거지가 갖추어야 할 적정한 입지여건을 갖춘 택지를 찾기가 무척 어렵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