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스포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국내 모터스포츠===
 
===국내 모터스포츠===
 
1987년 3월 강원도 용평을 무대로 한 랠리 형태의 경기와 5월에 영종도 1.6Km 비포장 코스를 조성한 스피드레이스를 시작으로 동호인들은 레이싱 팀으로 진화하며 한국 모터스포츠가 출범한다. 1995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가 개장하며 본격적인 트랙 레이스가 열렸다. 체계적인 레이스 운영을 선보이고 오피셜(공식 심판원)의 업무 영역도 자리를 잡아갔다. 각 종 대회와 함께 레이싱팀 후원 기업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한국 모터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며 1996년 사단법인 대한자동차경주협회가 FIA로부터 1국가 1단체만 인정하는 ASN의 자격을 얻게 된다. 1997년은 국내 최초로 포뮬러 경주가 도입된 해이다. 1999년 한국 최초의 국제 자동차 경주 대회인 F3 코리아 슈퍼프리가 경남 창원에서 개최되며 한국인 드라이버의 세계 진출 등 모터스포츠 도약의 발판이 되었다. 2003년까지 5년간 개최되었으며 국내 첫 시가지 서킷으로 기록되었다. 2000년경 현대자동차가 WRC(World Rally Championship)에 참가하며 해외 모터스포츠 진출을 모색했다. 각 종 모터스포츠 학과가 개설되면서 자동차 경주를 학문으로 받아들이는 노력도 이어졌다. 2007년, 포뮬러 원 한국대회 유치(2010년부터)가 확정되면서 국내 모터스포츠도 전환점을 맞게 된다. 2007년 한국 모터스포츠 챔피언십의 명맥을 잇는 슈퍼레이스가 출범한다. 2010년에는 모터스포츠의 정점으로 불리는 세계 최고의 대회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우리 모터스포츠계는 질적, 양적으로 크게 도약한다. 이어 현대자동차가 주최하는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이 2011년 출범하면서 연간 공인경기가 35레이스에 도달하게 되었다. 2013년에는 전남 영암 F1 경기장에 이어 또다른 국제 자동차 트랙인 인제 스피디움이 개장하며 한국 모터스포츠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ref NAME='사단법인'></ref>
 
1987년 3월 강원도 용평을 무대로 한 랠리 형태의 경기와 5월에 영종도 1.6Km 비포장 코스를 조성한 스피드레이스를 시작으로 동호인들은 레이싱 팀으로 진화하며 한국 모터스포츠가 출범한다. 1995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가 개장하며 본격적인 트랙 레이스가 열렸다. 체계적인 레이스 운영을 선보이고 오피셜(공식 심판원)의 업무 영역도 자리를 잡아갔다. 각 종 대회와 함께 레이싱팀 후원 기업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한국 모터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며 1996년 사단법인 대한자동차경주협회가 FIA로부터 1국가 1단체만 인정하는 ASN의 자격을 얻게 된다. 1997년은 국내 최초로 포뮬러 경주가 도입된 해이다. 1999년 한국 최초의 국제 자동차 경주 대회인 F3 코리아 슈퍼프리가 경남 창원에서 개최되며 한국인 드라이버의 세계 진출 등 모터스포츠 도약의 발판이 되었다. 2003년까지 5년간 개최되었으며 국내 첫 시가지 서킷으로 기록되었다. 2000년경 현대자동차가 WRC(World Rally Championship)에 참가하며 해외 모터스포츠 진출을 모색했다. 각 종 모터스포츠 학과가 개설되면서 자동차 경주를 학문으로 받아들이는 노력도 이어졌다. 2007년, 포뮬러 원 한국대회 유치(2010년부터)가 확정되면서 국내 모터스포츠도 전환점을 맞게 된다. 2007년 한국 모터스포츠 챔피언십의 명맥을 잇는 슈퍼레이스가 출범한다. 2010년에는 모터스포츠의 정점으로 불리는 세계 최고의 대회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우리 모터스포츠계는 질적, 양적으로 크게 도약한다. 이어 현대자동차가 주최하는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이 2011년 출범하면서 연간 공인경기가 35레이스에 도달하게 되었다. 2013년에는 전남 영암 F1 경기장에 이어 또다른 국제 자동차 트랙인 인제 스피디움이 개장하며 한국 모터스포츠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ref NAME='사단법인'></ref>
 +
  
 
==종류==
 
==종류==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