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위화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본위화폐'''<!--본위 화폐-->(standard money, 本位貨幣)는 가격의 도량(度量) 기준이 되고 가치척도의 기능을 다하여 한 나라의 화폐제도의 기초가 되는 [[화폐]]이다. 한 나라의 기본 통화이며 법으로 규정된 결산 화폐이다.
+
'''본위 화폐'''(standard money,本位貨幣)는 가격의 도량(度量) 기준이 되고 가치척도의 기능을 다하여 한 나라의 화폐제도의 기초가 되는 [[화폐]]이다. 한 나라의 기본 통화이며 법으로 규정된 결산 화폐이다.
  
 
==개요==
 
==개요==
 
본위 화폐는 기준 화폐이며 사실 일종의 만능 상품이므로  일반 화폐를 측정하거나 모든 상품의 기준이다. 예를 들어 금본위화폐는 [[금]]이라는 금속을 기준으로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위 화폐는 기준 화폐이며 사실 일종의 만능 상품이므로  일반 화폐를 측정하거나 모든 상품의 기준이다. 예를 들어 금본위화폐는 [[금]]이라는 금속을 기준으로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최초에 금과 은을 본위 화폐로 사용하는 이유는 두 금속이 희귀하고 보기 좋기 때문일 것이다. 금, 은은 희소한 금속이고 부의 상징이라 할 수는 있지만 사실상 금속일 뿐이다. 역설적으로 굳이 금, 은을 본위화폐로 삼을 필요는 없고 동, 철, 지폐를 본위화폐로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금, 은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
최초에 금과 은을 본위 화폐로 사용하는 이유는 두 금속이 희귀하고 보기 좋기 때문일 것이다. 금, 은은 희소한 금속이고 부의 상징이라 할 수는 있지만 사실상 금속일 뿐이다. 역설적으로 굳이 금,은을 본위화폐로 삼을 필요는 없고 동, 철, 지폐를 본위화폐로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금, 은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
[[지폐]]를 본위 화폐로 한다는 것도 나무랄 바 없지만 [[지폐]]의 가장 큰 문제는 그것이 마음대로 인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화폐]]의 발행은 반드시 감독 관리를 받아야 하며 남발(濫發)하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 금과 은은 본위 화폐로서 희소함과 모든 사회에서 받아들일수 있다는 점이 다른 어떤 물질도 대체할 수 없다. 금, 은은 희소하기 때문에 남발(濫發)되지 않고 모든 사회에서 받아지기 때문에 광범히 유통될수 있었다. 모든 화폐의 종류는 금,은과 연결되면 환율의 비교치를 안정적으로 정할 수 있다.  
[[지폐]]를 본위 화폐로 한다는 것도 나무랄 바 없지만 [[지폐]]의 가장 큰 문제는 그것이 마음대로 인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화폐]]의 발행은 반드시 감독 관리를 받아야 하며 남발(濫發)하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 금과 은은 본위 화폐로서 희소함과 모든 사회에서 받아들일수 있다는 점이 다른 어떤 물질도 대체할 수 없다. 금, 은은 희소하기 때문에 남발(濫發)되지 않고 모든 사회에서 받아지기 때문에 광범히 유통될수 있었다. 모든 화폐의 종류는 금,은과 연결되면 환율의 비교치를 안정적으로 정할 수 있다.
 
  
 
==발전==
 
==발전==
12번째 줄: 11번째 줄:
 
'''은본위제도'''는 백은(白銀)을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의 일종이다. 화폐 제도의 변천 과정에서 은본위제는 역사는 금본위제보다 오래된다. 은본위제의 원리는 금본위제와 유사하며 차이점은 백은(白銀)을 본위 화폐재료로 한다는 점이다. 은화의 명목가치는 실제 함유되어 있는 백은의 가치와 일치한다.
 
'''은본위제도'''는 백은(白銀)을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의 일종이다. 화폐 제도의 변천 과정에서 은본위제는 역사는 금본위제보다 오래된다. 은본위제의 원리는 금본위제와 유사하며 차이점은 백은(白銀)을 본위 화폐재료로 한다는 점이다. 은화의 명목가치는 실제 함유되어 있는 백은의 가치와 일치한다.
  
 +
[[파일:중국 금본위화폐.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중국 금본위화폐]]
 
===금본위제도===
 
===금본위제도===
[[파일:중국 금본위화폐.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중국 금본위화폐]]
 
 
 
'''금본위제도'''는 [[금]]을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를 말한다. 금본위제는 금화 금본위제도, 금핵 금본위제도로 나눈다.  
 
'''금본위제도'''는 [[금]]을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를 말한다. 금본위제는 금화 금본위제도, 금핵 금본위제도로 나눈다.  
 
* 금화 금본위 제도: 금화 자체가 화폐로서 시장에 유통되는 제도다. 금화의 주조와 융해가 가능하기에 금의 가치가 곧 화폐의 가치가 된다.
 
* 금화 금본위 제도: 금화 자체가 화폐로서 시장에 유통되는 제도다. 금화의 주조와 융해가 가능하기에 금의 가치가 곧 화폐의 가치가 된다.
25번째 줄: 23번째 줄:
 
===복본위제도===
 
===복본위제도===
 
'''복본위제도'''는 금, 은을 공용으로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를 말한다. 복본위제는 표면적으로 본위 화폐금속이 보다 충분한 원천를 가지고 있고 화폐의 양이 상품의 생산과 교환이 확대되는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지만 실제로는 내재적 불안정성을 지닌 화폐제도이다.
 
'''복본위제도'''는 금, 은을 공용으로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를 말한다. 복본위제는 표면적으로 본위 화폐금속이 보다 충분한 원천를 가지고 있고 화폐의 양이 상품의 생산과 교환이 확대되는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지만 실제로는 내재적 불안정성을 지닌 화폐제도이다.
흔히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는 말로 표현되는데 소재의 가치가 다른 금속으로 금과 은이 동일한 액면가의 화폐로 유통될 경우 소재 가치가 높은 금이 퇴장하고 가치가 낮은 은만 유통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런 현상을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이라고 한다.<ref>"[https://en.wikipedia.org/wiki/Gresham%27s_law Gresham's law]", ''Wikipedia''</ref>
+
흔히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는 말로 표현되는데 소재의 가치가 다른 금속으로 금과 은이 동일한 액면가의 화폐로 유통될 경우 소재 가치가 높은 금이 퇴장하고 가치가 낮은 은만 유통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런 현상을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ref> [https://en.wikipedia.org/wiki/Gresham%27s_law Gresham's law]〉, 《wikipedia》, </ref> 이라고 한다.
 
 
 
===지폐본위제도===
 
===지폐본위제도===
 
지폐본위제도를 신용본위제도라고도 한다.
 
지폐본위제도를 신용본위제도라고도 한다.
35번째 줄: 32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baike.baidu.com/item/%E6%9C%AC%E4%BD%8D%E5%B8%81/9819174?fr=aladdin 本位币]〉, 《百度百科》
+
* <[https://baike.baidu.com/item/%E6%9C%AC%E4%BD%8D%E5%B8%81/9819174?fr=aladdin 本位币]> <百度百科>
* [https://namu.wiki/w/%EA%B8%88%EB%B3%B8%EC%9C%84%EC%A0%9C%EB%8F%84?from=%EA%B8%88%EB%B3%B8%EC%9C%84%EC%A0%9C 금본위제도]〉, 《나무위키》
+
* <[https://namu.wiki/w/%EA%B8%88%EB%B3%B8%EC%9C%84%EC%A0%9C%EB%8F%84?from=%EA%B8%88%EB%B3%B8%EC%9C%84%EC%A0%9C 금본위제도]> <나무위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47번째 줄: 44번째 줄:
 
* [[화폐]]
 
* [[화폐]]
  
{{금융|검토 필요}}
+
{{금융|토막글}}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