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길운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빗길운전'''은 비가 내리는 [[도로]] 위에서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
'''빗길운전'''은 비가 내리는 도로 위에서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 배너}}
 
{{:자동차 배너}}
  
7번째 줄: 7번째 줄:
 
== 안전한 운전 요령 ==
 
== 안전한 운전 요령 ==
 
비가 오는 날은 시야가 나쁠 뿐 아니라 [[노면]]이 미끄러지기 쉽고 정지거리가 길어지므로 맑은 날보다 속도를 20% 정도 줄이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운전한다. 앞차와 차간거리는 평소보다 50% 이상 길게 확보해야 한다. 빗길에 수막현상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운전을 할 때 [[수막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의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양손으로 안전하게 핸들을 움직여야 한다. 특히 빗길 [[야간운전]]은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런 때에는 충분히 속도를 줄여서 운전을 해야 한다. [[급출발]], [[급핸들]], [[급브레이크]] 등의 조작은 미끄러짐이나 전복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는 등 기본적인 운전 방법을 잘 지킨다. 장마철에는 노면의 불안정성으로 물웅덩이가 많이 생긴다. 물웅덩이를 통과할 때는 1단이나 2단의 저단기어를 사용해 멈추지 말고 한 번에 지나가야 한다. 노면 레일이나 공사현장의 철판, 맨홀의 뚜껑 위 등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피하고, 부득이 그 위를 통과할 때에는 사전에 속도를 늦추어서 천천히 통과해야 하며 절대로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다. 물이 깊게 고인 곳을 지나면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을 때가 있으므로 될수록 피해서 통과한다. 부득이 그곳을 통과할 때에는 정지하지 말고 저속으로 통과한다.<ref name="도로교통"></ref> 폭우가 내릴 때는 [[초보운전자]]의 경우 차를 안전한 곳에 정지시키고 폭우가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있다. 또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서 자신의 차량 위치를 주변에 알려야 한다. 전조등으로 인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는 17% 정도 된다. 마지막으로 차로를 준수해서 주행해야 한다. 노면반사로 인해 야간 빗길 운행에는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다. 가급적이면 2차로로 운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차로를 자주 바꾸는 운행은 자제하고 차선이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중앙선이나 앞차의 주행방향을 살피며 운행해야 한다. 빗길운전은 경력자도 어렵지만 특히 초보운전자에게 더욱 어렵다. 장마철 빗길 운전요령을 잘 숙지하여 빗길에서도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안전운전]] 하는 것은 사고 예방을 위한 최선의 방책이다.<ref> 양우일 기자,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7 장마철 빗길에 안전하게 운전하세요!]〉, 《소셜포커스》, 2021-06-14 </ref>
 
비가 오는 날은 시야가 나쁠 뿐 아니라 [[노면]]이 미끄러지기 쉽고 정지거리가 길어지므로 맑은 날보다 속도를 20% 정도 줄이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운전한다. 앞차와 차간거리는 평소보다 50% 이상 길게 확보해야 한다. 빗길에 수막현상으로 인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운전을 할 때 [[수막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의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양손으로 안전하게 핸들을 움직여야 한다. 특히 빗길 [[야간운전]]은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런 때에는 충분히 속도를 줄여서 운전을 해야 한다. [[급출발]], [[급핸들]], [[급브레이크]] 등의 조작은 미끄러짐이나 전복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는 등 기본적인 운전 방법을 잘 지킨다. 장마철에는 노면의 불안정성으로 물웅덩이가 많이 생긴다. 물웅덩이를 통과할 때는 1단이나 2단의 저단기어를 사용해 멈추지 말고 한 번에 지나가야 한다. 노면 레일이나 공사현장의 철판, 맨홀의 뚜껑 위 등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피하고, 부득이 그 위를 통과할 때에는 사전에 속도를 늦추어서 천천히 통과해야 하며 절대로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다. 물이 깊게 고인 곳을 지나면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을 때가 있으므로 될수록 피해서 통과한다. 부득이 그곳을 통과할 때에는 정지하지 말고 저속으로 통과한다.<ref name="도로교통"></ref> 폭우가 내릴 때는 [[초보운전자]]의 경우 차를 안전한 곳에 정지시키고 폭우가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있다. 또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서 자신의 차량 위치를 주변에 알려야 한다. 전조등으로 인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는 17% 정도 된다. 마지막으로 차로를 준수해서 주행해야 한다. 노면반사로 인해 야간 빗길 운행에는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다. 가급적이면 2차로로 운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차로를 자주 바꾸는 운행은 자제하고 차선이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중앙선이나 앞차의 주행방향을 살피며 운행해야 한다. 빗길운전은 경력자도 어렵지만 특히 초보운전자에게 더욱 어렵다. 장마철 빗길 운전요령을 잘 숙지하여 빗길에서도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안전운전]] 하는 것은 사고 예방을 위한 최선의 방책이다.<ref> 양우일 기자,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7 장마철 빗길에 안전하게 운전하세요!]〉, 《소셜포커스》, 2021-06-14 </ref>
 
== 부품 확인 ==
 
*'''[[와이퍼]]''' : 안전한 시야 확보를 위해 [[와이퍼]]의 상태는 평소에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와이퍼는 보통 6개월 정도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와이퍼를 체크해주고 약간의 이상이라도 발생한다면 교체해야 한다. 또한 와이퍼를 교체한 후 유리에서 [[소음]]이 발생한다면 [[배기가스]]나 벌레로 인한 [[유막]]이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는 유막제거제를 이용해 깨끗하게 닦아낸 후 발수코팅제로 [[방수]] 처리를 해준다면 시야 확보에 도움이 된다.
 
*'''[[타이어]]''' : 도로와 직접 맞닿는 부품인 타이어는 꾸준히 상태 확인을 해야 한다. 평소에 편마모 상태와 타이어 [[트레드]]를 확인하고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를 살펴야 한다. 타이어 마모가 심각한 상태라면 그립력이 떨어지고 빗길에서의 주행은 더욱 위험해질 수 있으니 더욱 유의가 필요한 부품이다. 타이어 권장 마모 한계선을 찾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100원짜리 동전을 타이어 홈에 거꾸로 꼈을 때 이순신 장군의 감투가 타이어 홈에 가려지지 않는다면 타이어 교체가 필요한 때이다. 또한, 장마철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평소보다 10% 높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공기압이 낮으면 타이어에 불규칙한 마모가 발생하며, [[수막현상]]으로 인해 빗길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전조등]]''' : 와이퍼만큼 빗길 운전 시 중요한 것은 전조등이다. 빗속에서 시야를 확보해 줄 뿐 아니라 자신의 위치를 다른 차에 알리는 용도로도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장마철에는 전조등에 문제가 없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중요하다.
 
*'''[[브레이크 패드]]''' : 빗길에서 미끄러지는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브레이크]]이다. 그러나 마모가 심한 브레이크 패드는 오히려 미끄럼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되기 때문에 평소 브레이크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물 웅덩이를 지난 후에는 가볍게 브레이크를 여러 번 밟아 브레이크에 묻은 물을 털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각 차량의 점검 및 교체 주기를 확인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ref> 〈[https://allways.smotor.com/%EC%97%AC%EB%A6%84%EC%B2%A0-%EB%B9%97%EA%B8%B8-%EC%95%88%EC%A0%84%EC%9A%B4%EC%A0%84/ 여름철, 빗길 안전운전 이것만은 지켜요!]〉,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20-07-30 </ref>
 
  
 
{{각주}}
 
{{각주}}
19번째 줄: 13번째 줄:
 
* 〈[https://www.koroad.or.kr/kp_web/knCarSafe1.do 자동차 안전운전]〉, 《도로교통공단》
 
* 〈[https://www.koroad.or.kr/kp_web/knCarSafe1.do 자동차 안전운전]〉, 《도로교통공단》
 
* 양우일 기자,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7 장마철 빗길에 안전하게 운전하세요!]〉, 《소셜포커스》, 2021-06-14
 
* 양우일 기자,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7 장마철 빗길에 안전하게 운전하세요!]〉, 《소셜포커스》, 2021-06-14
* 〈[https://allways.smotor.com/%EC%97%AC%EB%A6%84%EC%B2%A0-%EB%B9%97%EA%B8%B8-%EC%95%88%EC%A0%84%EC%9A%B4%EC%A0%84/ 여름철, 빗길 안전운전 이것만은 지켜요!]〉,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20-07-3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비]]
 
* [[길]]
 
* [[빗길]]
 
* [[운전]]
 
 
* [[수막현상]]
 
* [[수막현상]]
 
* [[안전운전]]
 
* [[안전운전]]
  
 
{{운전|검토 필요}}
 
{{운전|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