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수칙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안전수칙'''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 (사건)|사고]]가 나지 않도록 행동이나 절차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한 [[규칙]]이다.
+
'''안전수칙'''은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나지 않도록 행동이나 절차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한 규칙이다.
  
 
==개요==
 
==개요==
 
* '''안전수칙'''은 [[자동차]] 운행에서 언제 발생할지 모를 인명 및 물질적 손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안전수칙이 역할을 하고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운전자들의 주지와 철저한 숙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차량 출발 전 탑승자의 [[안전벨트]] 및 문단속을 확인하고 [[엔진]] 및 차체의 잡음은 없는지, 그리고 영유아가 창문 밖으로 머리와 손을 내미는 행위가 없는지 등 확인 부분도 안전수칙에 속한다.  
 
* '''안전수칙'''은 [[자동차]] 운행에서 언제 발생할지 모를 인명 및 물질적 손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안전수칙이 역할을 하고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운전자들의 주지와 철저한 숙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차량 출발 전 탑승자의 [[안전벨트]] 및 문단속을 확인하고 [[엔진]] 및 차체의 잡음은 없는지, 그리고 영유아가 창문 밖으로 머리와 손을 내미는 행위가 없는지 등 확인 부분도 안전수칙에 속한다.  
  
==고속도로 운전자 안전수칙==
+
==[[고속도로]] 운전자 안전수칙==
 
[[파일:고속도로 2차사고 예방 안전수칙.jpg|썸네일|300픽셀|고속도로 2차사고 예방 안전수칙]]
 
[[파일:고속도로 2차사고 예방 안전수칙.jpg|썸네일|300픽셀|고속도로 2차사고 예방 안전수칙]]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
+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
 
*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즉시 [[비상등]] 작동, 차량은 갓길 및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이동.
 
*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즉시 [[비상등]] 작동, 차량은 갓길 및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이동.
 
* 차량 후방에 [[안전삼각대]], 불꽃 신호기(야간) 설치, 탑승자는 [[가드레일]] 밖 등 안전 곳으로 대피.
 
* 차량 후방에 [[안전삼각대]], 불꽃 신호기(야간) 설치, 탑승자는 [[가드레일]] 밖 등 안전 곳으로 대피.
12번째 줄: 12번째 줄:
 
* 사고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차가 지그재그로 운행하면서 감속을 유도할 때 잘 준수하기.
 
* 사고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차가 지그재그로 운행하면서 감속을 유도할 때 잘 준수하기.
  
===졸음운전 예방===
+
===[[졸음운전]] 예방===
 
* 졸리면 참지 말고 졸음쉼터와 휴게소에서 휴식하기.
 
* 졸리면 참지 말고 졸음쉼터와 휴게소에서 휴식하기.
 
* 장거리 운전 시 2시간에 한 번씩 휴식하기.
 
* 장거리 운전 시 2시간에 한 번씩 휴식하기.
18번째 줄: 18번째 줄:
 
* 앞차가 졸면 경적을 울려 알려 주기.
 
* 앞차가 졸면 경적을 울려 알려 주기.
  
===터널 사고 예방===
+
===[[터널]] 사고 예방===
 
* 터널 진입 전 입구 주변에 표시된 도로 정보 확인하기.
 
* 터널 진입 전 입구 주변에 표시된 도로 정보 확인하기.
 
* 터널 출입구 전부터 속도 줄이기.
 
* 터널 출입구 전부터 속도 줄이기.
36번째 줄: 36번째 줄:
 
===보행자===
 
===보행자===
 
* 비 오는 날 외출 시 밝은 옷 입기.
 
* 비 오는 날 외출 시 밝은 옷 입기.
* 도로횡단 시 한 번 더 확인하기.
+
* [[도로횡단]] 시 한 번 더 확인하기.
  
 
==교통사고 예방 보행자 안전수칙==
 
==교통사고 예방 보행자 안전수칙==
===횡단보도 안전하게 건너기===
+
===[[횡단보도]] 안전하게 건너기===
 
* 도로 위에서 가장 안전해야 하는 공간이 바로 [[횡단보도]]이다. 하지만 정지선을 위반한 차량이나 꼬리 물기, 신호위반 차량 등으로 인해 횡단보도 안전이 때때로 위협받기도 하는 관계로 법규를 위반하고 횡단보도까지 진출한 차량으로 인해 종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때문에 보행자 스스로가 횡단보도 이용 시 안전을 챙길 필요가 있다.
 
* 도로 위에서 가장 안전해야 하는 공간이 바로 [[횡단보도]]이다. 하지만 정지선을 위반한 차량이나 꼬리 물기, 신호위반 차량 등으로 인해 횡단보도 안전이 때때로 위협받기도 하는 관계로 법규를 위반하고 횡단보도까지 진출한 차량으로 인해 종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때문에 보행자 스스로가 횡단보도 이용 시 안전을 챙길 필요가 있다.
 
*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보행자 신호가 녹색으로 바뀐 후, 도로에 차들이 정차했는지 좌우를 살핀 후 천천히 건너간다. 신호가 바뀌었다고 바로 뛰어나갈 경우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운전자와 시선을 맞추며 천천히 건너간다.  
 
*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보행자 신호가 녹색으로 바뀐 후, 도로에 차들이 정차했는지 좌우를 살핀 후 천천히 건너간다. 신호가 바뀌었다고 바로 뛰어나갈 경우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운전자와 시선을 맞추며 천천히 건너간다.  
  
===무단횡단 하지 않기===
+
===[[무단횡단]] 하지 않기===
 
* 무단횡단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원하는 곳을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이용하면 멀리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때 혹은 도로가 정체되었거나 한적하다고 생각될 때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눈앞의 도로 상황이 전부가 아닐 수 있으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달려오는 차를 미처 피하지 못할 수도 있다.
 
* 무단횡단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원하는 곳을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이용하면 멀리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때 혹은 도로가 정체되었거나 한적하다고 생각될 때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눈앞의 도로 상황이 전부가 아닐 수 있으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달려오는 차를 미처 피하지 못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 보며 걷지 않기===
+
===[[스마트폰]] 보며 걷지 않기===
 
* 보행자 사고 유발 원인 중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폰이다. 보행신호가 바뀌어도 스마트폰에 시선을 고정하고 길을 건너다보니 마주 오는 사람과 부딪히기도 하고 심지어 자동차가 지나가도 모르는 경우가 있다. 모든 감각과 판단을 스마트폰에 빼앗겨 버리기 때문에 다른 위험한 상황은 인지할 수도, 대처할 수도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 보행자 사고 유발 원인 중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폰이다. 보행신호가 바뀌어도 스마트폰에 시선을 고정하고 길을 건너다보니 마주 오는 사람과 부딪히기도 하고 심지어 자동차가 지나가도 모르는 경우가 있다. 모든 감각과 판단을 스마트폰에 빼앗겨 버리기 때문에 다른 위험한 상황은 인지할 수도, 대처할 수도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생활도로(이면도로) 안전 수칙===
 
===생활도로(이면도로) 안전 수칙===
* [[서울특별시]] 같은 경우, 폭이 좁은데 반해 차량과 보행자가 혼재되어 있어 사고 위험성이 높은 곳이다. 차를 만나면 멈춘 다음 벽 쪽으로 붙어 서서 차가 지나간 다음 지나가며 이면도로에서 좌측보행을 한다. 현행법상 보도에서는 우측보행이 원칙이지만 생활도로와 같이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않은 곳에서는 차를 마주 보는 방향의 길 가장자리 등을 이용해 통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생활도로에서는 마주 오는 차를 볼 수 있는 좌측 편에서 걷는 것이 안전한 보행이라고 할 수 있다.
+
* [[서울시]] 같은 경우, 폭이 좁은데 반해 차량과 보행자가 혼재되어 있어 사고 위험성이 높은 곳이다. 차를 만나면 멈춘 다음 벽 쪽으로 붙어 서서 차가 지나간 다음 지나가며 이면도로에서 좌측보행을 한다. 현행법상 보도에서는 우측보행이 원칙이지만 생활도로와 같이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않은 곳에서는 차를 마주 보는 방향의 길 가장자리 등을 이용해 통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생활도로에서는 마주 오는 차를 볼 수 있는 좌측 편에서 걷는 것이 안전한 보행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기사==
 
==관련 기사==
74번째 줄: 74번째 줄:
 
* 김아름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1705301623283260  2차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운전자 안전 수칙은?]〉, 《파이낸셜뉴스》, 2017-05-30
 
* 김아름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1705301623283260  2차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운전자 안전 수칙은?]〉, 《파이낸셜뉴스》, 2017-05-30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안전]]
 
* [[수칙]]
 
 
* [[과속]]   
 
* [[과속]]   
 
* [[벌금]]   
 
* [[벌금]]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