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스코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클레이튼스코프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클레이튼스코프'''(Klaytnscope)]]
+
[[파일:클레이튼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클레이튼]]'''(Klaytn)]]
[[파일:클레이튼스코프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클레이튼스코프'''(Klaytnscope)]]
 
 
[[파일:클레이튼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클레이튼]]'''(Klaytn)]]
 
[[파일:클레이튼 글자.png|썸네일|300픽셀|'''[[클레이튼]]'''(Klaytn)]]
[[파일:서상민.jpg|썸네일|200픽셀|'''[[서상민]]''']]
+
[[파일:서상민.jpg|썸네일|200픽셀|'''[[서상민]]'''(Seo Sang min)]]
  
 
'''클레이튼스코프'''(Klaytnscope)는 '''[[클레이튼]]'''(Klaytn) [[네트워크]]의 [[블록]] 탐색기이다.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통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트랜잭션]] [[데이터]]와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리스트도 탐색할 수 있다.
 
'''클레이튼스코프'''(Klaytnscope)는 '''[[클레이튼]]'''(Klaytn) [[네트워크]]의 [[블록]] 탐색기이다.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통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트랜잭션]] [[데이터]]와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리스트도 탐색할 수 있다.
 
+
<!-- == 개요 ==
== 개요 ==
+
클레이튼스코프는 블록의 생성 및 거래 정보 등 클레이튼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활동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블록 탐색기이다. -->
클레이튼스코프는 블록의 생성 및 거래 정보 등 클레이튼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활동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블록 탐색기이다. 대규모 이용자 대상의 [[디앱]](DApp)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속도와 성능을 향상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클레이튼스코프는 [[거래]] 성사 시간을 1조 안팎으로 단축시켰으며, 초당 거래내역수를 1500까지 높였다. 또한 [[합의]]가 필요한 작업은 [[합의노드]](CN, Consensus Nodes)에서 처리하고, 읽기 요청 등의 합의가 필요하지 않은 작업은 [[엔드포인트노드]](Endpoint Node)로 처리하여 속도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했다.<ref>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8/2018100801044.html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테스트넷 공개]〉, 《IT 조선》, 2018-10-08</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서상민]]''': 클레이튼 플랫폼의 그룹장이다. [[서울대학교]] [[컴퓨터]] 과학 엔지니어링 학사 학위와 동 대학원 전자공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인턴과 코리아 옵트론(Korea Optron) 개발자, 매니코어소프트(ManyCoreSoft) 최고경영자, 서울대 연구개발학원 강사, 일리노이 주(State of Illinois)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포스트 닥터(Postdoctoral Appointee)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2008년에는 한국선진학재단 닥터럴 펠로우쉽(Doctoral Fellowship)을 수상했으며 2009년에는 제15회 삼성휴먼테크놀로지 공모전 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 '''[[서상민]]''': 클레이튼 플랫폼의 그룹장이다. [[서울대학교]] [[컴퓨터]] 과학 엔지니어링 학사 학위와 동대학원 전자공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인턴과 코리아 옵트론(Korea Optron) 개발자, 매니코어소프트(ManyCoreSoft) 최고경영자, 서울대 연구개발학원 강사, 일리노이 주(State of Illinois)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포스트 닥터(Postdoctoral Appointee)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2008년에는 한국선진학재단 닥터럴 펠로우쉽(Doctoral Fellowship)을 수상했으며 2009년에는 제15회 삼성휴먼테크놀로지 공모전 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특징 ==
 
== 특징 ==
=== 보상 시스템 ===
+
=== 대시보드 ===
클레이튼은 파트너 대상 보상 시스템인 케이아이알(KIR, Klaytn Improvement Reserve)의 1차 파일럿을 진행했다. 1차 파일럿의 대상자로는 데브툴 파트너인 [[㈜오지스]](Ozys)로 선정했다. 2020년 하반기 정식 운영을 앞둔 케이아이알은 신규 및 기존 파트너들을 대상으로 클레이(KLAY)를 지원해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독려하고자 한다. 보상을 비롯하여 클레이튼 플랫폼 및 툴(Tool) 개발, [[커뮤니티]] 활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파일럿 대상자들은 클레이튼스코프에 필요한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과 모듈을 개발할 예정이다. 최근 업데이트된 클레이튼스코프에는 아래의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
[[대시보드]]에는 네트워크 정보가 나타난다. 즉 평균 블록 생성 시간,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 [[컨센서스 노드]]의 개수, 트랜잭션의 최근 추세를 제공한다.
* 컨트랙트 호출에 의한 클레이 전송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널 트랜잭션(Internal Transactions)’ 분석 기능
 
* 컨트랙트 호출로 발생한 이벤트 로그(logs) 확인 기능
 
* ’토큰 정보 페이지(Token Information)’를 통한 계정 또는 토큰별 전송 내역 및 잔고 현황 확인 기능
 
* [[소스 코드]] 또는 [[컴파일러]] 버전 등 토큰에 대한 정보를 제출할 경우 이에 대한 확인을 거쳐 페이지에 추가하는 기능
 
 
 
[[그라운드엑스]] [[한재선]] 대표는 이에 관해 “케이아이알은 클레이튼 생태계에도 기여하고, [[재무]]적 혜택도 가져갈 있는 토큰 [[이코노미]](Economy) 보상 시스템”이라며 “KIR을 통해 클레이튼의 기술 및 사업적 발전에 기여하는 다양한 분야의 개발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f>이에라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5803 클레이튼, 파트너 보상 프로그램 KIR 파일럿 진행…대상자는?]〉, 《블록체인프레스》, 2020-06-25</ref>
 
 
 
== 현황 ==
 
=== 코스모체인 논란 ===
 
최근 클레이튼스코프를 통해 [[코스모코인]](Cosmo Coin)의 추가 발행이 드러났다. 클레이프스코프가 [[업데이트]]를 진행하면서 KCT 기반 [[토큰]]의 전송 내역과 발행량, 잔고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 이후였다. 바로 코스모코인을 [[이더리움]] 기반인 [[ERC-20]]에서 클레이튼 기반인 KCT로 [[암호화폐]]를 교체 발행하면서 총 유통량 설정을 변경한 것이다. [[백서]]에 따른 코스모코인의 총발행량은 10억 개이지만 스코프에는 15억 5,700개로 밝혀졌다. 논란이 불거지자 코스모체인은 "2020년에 공유하지 못한 [[인플레이션]](Inflation) 물량 1억 1,000만 개와 [[개발]], [[마케팅]] 등 사업적 용도를 위해 추가 발행한 물량 3억 4,900만 개가 있다"고 밝혔으며, 추가 발행 물량 3억 4,900만 개는 순차 소각하기로 했다.
 
 
 
추가 발행이 가능했었던 이유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더리움 등 기존에 사용했던 블록체인에서 클레이튼으로 [[메인넷]](Mainnet)을 변경할 때 암호화폐의 총발행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코드를 새로 짜는 것이기 때문에 발행량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블록체인에서 클레이튼으로 옮겨갈 때 새로 컨트랙트를 설정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총발행량을 재설정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코스모체인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타 클레이튼 비앱에도 투자자 몰래 암호화폐를 추가 발행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쏟아졌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특성상 누구나 동명의 암호화폐를 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클레이튼스코프에서는 "인증된 암호화폐" 10개를 밝혔다. 인증된 암호화폐란 프로젝트가 직접 발행한 게 맞는 것이 확인된 암호화폐이다.  
 
  
2019년 10월 기준 업데이트된 클레이튼 비앱 이니셜 서비스 파트너사(ISP)는 총 47개이다. 사업을 종료한 [[㈜왓챠]](Watcha Inc.)[[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화폐 단위인 CPT(씨피티)를 제외하고 약 3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클레이튼스코프의 등록을 앞두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 과정에서 코스모체인과 같은 추가 사례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ref name="클레이튼">노윤주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Z590CNIOA 스코프에 딱 걸린 코스모…클레이튼 비앱들 떨고 있나?]〉, 《디센터》, 2020-07-10</ref>
+
* 블록 높이(Block Height): 최신 블록의 번호이다.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으로부터 몇 개의 블록이 생성되었는지 알 수 있다.
 +
* 네트워크 퍼포먼스(Network Performance):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성능을 네 가지 지표로 나타낸다.
 +
* 평균 블록 생성 시간(Avg Block Time n hour): 지난 n시간 동안의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이다.
 +
* 평균 트랜잭션 개수(Avg TX Per Block 24 hours): 지난 24시간 동안 한 블록에 담긴 트랜잭션의 평균 개수이다.
 +
* 트랜잭션 히스토리(Transaction History 14 days): 지난 14일 동안 하루에 발생한 트랜잭션의 개수 [[그래프]]이다. 지난 2주 동안 발생한 트랜잭션의 양에 대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 힌트체인 논란 ===
+
=== 목록 보기 ===
최근 [[힌트체인]](Hintchain)의 힌트토큰(HINT) 토큰이 발행량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힌트체인은 [[암호화폐 지갑]] 이동 중 발생한 해프닝이라고 해명했다. 재단 월렛에 영구 [[락업]](Lock up)했던 힌트체인을 [[소각]]하기로 하면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클레이튼스코프에 따르면 힌트토큰의 총발행량은 10억 1개로, 알려진 발행량보다 1개 더 많다. [[정지웅]] 힌트체인 대표는 "정식 소각에 앞서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1개를 추가 발행하여 소각을 테스트했다"며 "발행에는 성공했지만, 소각에 실패해 1개가 남은 것이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즉 단순 기술적 오류였을 뿐 실제 유통을 목적으로 토큰을 발행한 게 아니라는 것이다.
+
==== 블록스 ====
 +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상태를 최근 생성된 블록과 트랜잭션 목록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
최근 생성된 블록들의 목록입니다. 정보를 업데이트하려면 새로 고침을 클릭하세요.
 +
* 블록(Block): 블록의 고유 번호이다. 0부터 시작하여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부여 받는다.
 +
* 타임(Time): 블록이 생성된 때부터 지금까지 지난 시간이다. 여기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면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볼 수 있다.
 +
* 토탈 트랜잭션(Total TXs): 블록에 담긴 트랜잭션의 개수이다.
 +
* 블록 프로포저(Block Proposer): 블록을 제안한 컨센서스 노드이다. 블록을 생성한 노드는 무작위적이면서도 결정론적으로 선택된다.
 +
* 리워드(Reward): 새로 발행된 [[클레이]](KLAY)와 블록에서 사용된 트랜잭션 [[수수료]]의 합계이다. 이 목록에서는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 보상, [[기여도증명]], 클레이튼 개선 준비금의 합계만 나타난다.
 +
* 사이즈(Size): 블록의 [[바이트]] 단위 크기이다. 많은 트랜잭션이 담겨 있을수록 블록의 크기가 더 커진다.
  
또한 힌트체인 재단 월렛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로 대량 토큰이 이동되었다는 의혹에 대해서 정지웅 대표는 "힌트체인 전용 월렛 [[서비스]]를 종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월렛을 [[클립]](Klip)으로 일원화하는 과정에서 기존 월렛에 남아 있던 고객의 힌트체인을 수동으로 이동시켰을 뿐, 거래소를 이동한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f name="클레이튼"></ref>
+
==== 트랜잭션 ====
 +
* 트랜잭션 해시(TX Hash): 트랜잭션의 고유 식별자이다.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우 옆에 빨간색 느낌표가 나타납니다.
 +
* 블록 #: 해당 트랜잭션을 담은 블록의 번호이다. 번호를 클릭하여 해당 블록의 상세 보기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
* 타임(Time): 트랜잭션 실행으로부터 지금까지 지난 시간이다.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면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볼 수 있다.
 +
* 프롬(From) → 투(To): 트랜잭션 발신자와 수신자의 주소이다. 이 주소를 클릭하여 상세 보기 페이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주소 옆에 파일 아이콘이 표시되면 해당 주소는 컨트랙트의 주소이다.
 +
* 트랜잭션 타입(TX Type): 트랜잭션의 유형이다.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유형의 트랜잭션을 조회할 수 있다.
 +
* 어마운트(Amount): 트랜잭션을 통해 전송된 금액이다.
 +
* 트랜잭션 피(TX Fee): 트랜잭션 처리에 소비된 실제 비용이다.<ref>〈[https://ko.docs.klaytn.com/bapp/developer-tools/klaytnscope#recent-blocks-transactions Klaytnscope]〉, 《Klaytn Docs》</ref>
  
 
== 제휴 ==
 
== 제휴 ==
 
=== ㈜오지스 ===
 
=== ㈜오지스 ===
클레이튼은 지난 2020년 05월 29일,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인 [[올비트]](Allbit)를 개발한 [[㈜오지스]](Ozys)와 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클레이튼스코프와 [[웹브라우저]]에서 블록체인 개발 코드를 편집 및 실행할 수 있게 돕는 클레이튼 아이디이(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에 대한 개발 협력을 실행할 예정이다. 또 추가로 클레이튼 네트워크와 [[비앱]](BApp, Blockchain App), 유기적인 사용자 연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개발할 예정이다.<ref>이한수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8918 클레이튼 첫 데브툴 파트너에 오지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20-05-29</ref> [[박태규]] ㈜오지스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클레이튼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덧붙여 서상민 클레이튼 플랫폼 그룹장도 "클레이튼 플랫폼 발전 방향에 대해 ㈜오지스와 공유 및 논의를 거치고 있다"며 "㈜오지스가 개발하는 도구 및 서비스가 클레이튼의 생태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을 지원하고 공동 마케팅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김미희, 〈[https://kr.cointelegraph.com/news/a-bill-to-impose-a-20-capital-gains-tax-on-virtual-assets-has-been-introduced 카카오 클레이튼, 오지스와 기술 협력한다]〉, 《코인텔레그래프》, 2020-05-29</ref>
+
클레이튼은 지난 2020년 05월 29일,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인 [[올비트]](Allbit)를 개발한 [[㈜오지스]](Ozys)와 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클레이튼스코프와 [[웹브라우저]]에서 블록체인 개발 코드를 편집 및 실행할 수 있게 돕는 클레이튼 아이디이(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에 대한 개발 협력을 실행할 예정이다. 또 추가로 클레이튼 네트워크와 [[비앱]](BApp, Blockchain App), 유기적인 사용자 연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개발할 예정이다.<ref>이한수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8918 클레이튼 첫 데브툴 파트너에 오지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20-05-29</ref>
  
 
{{각주}}
 
{{각주}}
45번째 줄: 48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ko.docs.klaytn.com/bapp/developer-tools/klaytnscope#recent-blocks-transactions Klaytnscope]〉, 《Klaytn Docs》
 
* 〈[https://ko.docs.klaytn.com/bapp/developer-tools/klaytnscope#recent-blocks-transactions Klaytnscope]〉, 《Klaytn Docs》
* 서상민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sangmin-seo/
 
* 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8/2018100801044.html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테스트넷 공개]〉, 《IT 조선》, 2018-10-08
 
* 이에라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35803 클레이튼, 파트너 보상 프로그램 KIR 파일럿 진행…대상자는?]〉, 《블록체인프레스》, 2020-06-25
 
 
* 이한수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8918 클레이튼 첫 데브툴 파트너에 오지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20-05-29
 
* 이한수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8918 클레이튼 첫 데브툴 파트너에 오지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20-05-29
* 노윤주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Z590CNIOA 스코프에 딱 걸린 코스모…클레이튼 비앱들 떨고 있나?]〉, 《디센터》, 2020-07-10
 
* 김미희, 〈[https://kr.cointelegraph.com/news/a-bill-to-impose-a-20-capital-gains-tax-on-virtual-assets-has-been-introduced 카카오 클레이튼, 오지스와 기술 협력한다]〉, 《코인텔레그래프》, 2020-05-2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58번째 줄: 56번째 줄:
 
* [[서상민]]
 
* [[서상민]]
 
* [[㈜오지스]]
 
* [[㈜오지스]]
* [[코스모체인]]
 
* [[힌트체인]]
 
  
{{블록체인 솔루션|검토 필요}}
+
{{로고 수정 필요}}
 +
{{블록체인 개발업체|토막글}}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