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Qraft Technologies) 로고 파일:김형식.jpg|썸네일|300픽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로고.png|썸네일|300픽셀|'''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Qraft Technologies) 로고]]
+
[[파일: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Qraft Technologies) 로고]]
 
[[파일:김형식.jpg|썸네일|300픽셀|'''김형식'''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대표이사]]
 
[[파일:김형식.jpg|썸네일|300픽셀|'''김형식'''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대표이사]]
  

2019년 11월 26일 (화) 14:36 판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Qraft Technologies) 로고
김형식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대표이사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Qraft Technologies)는 2016년 설립된 인공지능(AI) 기반 투자 솔루션 업체다. 설립 1년만에 첫 펀드·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론칭하고 인공지능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시키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해 지난해 기업가치 1000억원을 넘어섰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1길 31 서울숲 M타워 1301-1303호'에 있다. 대표는 김형식이다.

개요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의 주요 사업모델은 로보어드바이저와 인공지능 상장지수펀드, 인공지능 주문집행(AXE)이다. 향후 3년여간 3개 사업을 통해 어드바이저리 제공 대상 자산(AUA)을 10조원 안팎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로보어드바이저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리테일 로보어드바이저 펀드 자산(AUM) 약 1조 원 운용에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개발한 인공지능 포트폴리오 엔진이 적용되고 있다. 신한은행을 비롯 KEB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5개 시중은행에서 사용 중이다. 현재 국내 전체 리테일 펀드 시장의 2% 남짓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로보어드바이저는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업계에서는 관련 시장이 2025년까지 3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 전망한다. 인공지능 상장지수펀드 사업은 2019년 5월 뉴욕증권거래소에 2개 인공지능 펀드 'NYSE:QRFT'와 'NYSE:AMOM' 상장을 시작으로 라인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 고용노동부(퇴직연금)와 인베스팅닷컴 등과 협업해 3·4호 펀드를 구상 중이며 3호 펀드는 올해 3분기 중 상장 절차를 밟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선 두 펀드는 2019년 5월 20일 상장 이후 S&P500 대비 2.6~3.9% 가량 초과 수익(2019년 8월 27일 기준)을 내고 있다.[1]

주요 인물

  • 김형식 :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대표이사이다. 서울과학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전공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부를 전공했다. 2006년부터 퀀트모델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해왔고,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에서는 딥러닝을 사용한 패턴인식 노-모델(no-model) 트레이딩 시스템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2006년 4월부터 약 6년간 헬릭스 에셋의 대표로 역임했으며, 2016년 1월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의 대표로 취임했다. 1999년 6월 대학생수학경시대회 특별상 수상경력이 있다.[2]

주요 활동

인공지능 로보어드바이저 투자 유치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는 델타인베스트먼트가 결성한 델타 인공지능 유니콘투자조합으로부터 11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019년 4월 22일 밝혔다. 델타 인공지능 유니콘투자조합에는 기업은행, IBK캐피탈, 하나금융투자, 교원인베스트 등이 참여했다.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는 신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등에 로보어드바이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인공지능 펀드 라인업에도 딥러닝 펀드운용 엔진을 제공한 바 있다. 크래프트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금융상품의 누적가입금액은 1조원이며 인공지능 상장지수펀드(ETF) 2종이 5월 3일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있다.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는 투자유치금액을 후속 인공지능 상장지수펀드 라인업 강화, R&D 투자, 해외 인공지능 솔루션시장 진출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3]

각주

  1. 방글아 기자, 〈'AI 펀드' 수출한 크래프트, 10조 AUA 넘본다〉, 《더벨》, 2019-09-03
  2. 김형식〉, 《로켓펀치》
  3. 주승호 기자, 〈AI 로보어드바이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110억 투자 유치〉, 《벤처스퀘어》, 2019-04-22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