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Korean Blockchain Women's Leadership Forum)은 2019년 12월 31일에 [[A101Group]]이 개최하는 행사이다. 주제는 "2019 한국 블록체인 여자 리더십 포럼"이다. 블록체인 시대하에서 한국 블록체인 트래픽의 발전과 투자로가는 길에 대해 논의한다.  
+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Korean Blockchain Women's Leadership Forum)은 2019년 12월 31일에 [[에이101그룹]](A101Group)이 개최하는 행사이다. 주제는 "2019 한국 블록체인 여자 리더십 포럼"이다. 블록체인 시대하에서 한국 블록체인 트래픽의 발전과 투자로가는 길에 대해 논의한다.  
 
== 개요 ==
 
== 개요 ==
 
* 일시 : 2019년 12월 31일 13:30 ~ 21:00
 
* 일시 : 2019년 12월 31일 13:30 ~ 21:00
 
* 장소 : 대한민국 서울
 
* 장소 : 대한민국 서울
* 주최 : A101Group
+
* 주최 : [[에이101그룹]]
 
* 신청 : <br>- 活动行 - https://www.huodongxing.com/event/9522673281700?layout=EN <br>- 블록테크 - https://www.block360.pro/activity/364
 
* 신청 : <br>- 活动行 - https://www.huodongxing.com/event/9522673281700?layout=EN <br>- 블록테크 - https://www.block360.pro/activity/364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글 보임 시작}}
 +
{{이미지블록180
 +
|김성아||[[한빗코]] 대표이사|송영아||[[하이퍼커넥트]] 최고운영책임자|벨라|| |제니스 리||[[아이디씨엠]] 대표이사|허미아||[[빗썸]] GXC 얼라이언스장|정신아||[[카카오벤처스]] 대표|정지원||[[디렉셔널]] 대표이사|강현정||[[크립토서울]] 대표|조은별||[[바벨탑]] 대표|오필리아 카이||[[로컬글로벌]] 어소시에이트|김유경||[[블루 글로벌 파트너스]] 부사장|김세정||[[로커스체인]] 공동창업자|이신혜||[[지비아이씨]] 글로벌 파트너|모모 창|[[드렙]] 공동창업자|임선희||[[써니피디아]] 크리에이터|김희로||[[코인인]] 이사|
 +
}}
 +
{{글 보임 끝}}
 +
* '''[[김성아]]''' :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한빗코]](Hanbitco) 대표이사이다. 파생상품 트레이더 출신으로 한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Korbit)에서 PM으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후 암호화폐 트레이딩 투자회사인 엘조비(ELJOVI) 파트너, 한빗코 상무 등을 역임했다.
 +
* '''[[송영아]]''' : 하이퍼커넥트(Hyperconnect) 최고운영책임자이다. 펜실베니아대와튼스쿨을 졸업한 경영 전문가로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컨설턴트를 지내다 2017년부터 하이퍼커넥트에 합류해 투자 유치와 인수합병 등을 주도해 왔다.
 +
* '''[[벨라]]'''(Bella
 +
* '''[[제니스 리]]'''(Janice Lee) : 암호화폐 거래소 [[아이디씨엠]](IDCM)의 대표이사이다. 3년의 외무부 경험과 비트리저브와 업 홀드의 프로젝트 매니저로 5년간의 암호화폐 경험, 루센캐피탈의 공동창업자이자 바이텍스 거래소의 전 부사장 등의 경력을 갖고 있다.
 +
* '''[[허미아]]'''(Mia Heo) : [[빗썸]](Bithumb)의 GXC 얼라이언스장이다.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학력을 취득했으며, 미국회계사, 프루덴셜생명 재무회계팀 차장, 빗썸코리아 통합거래소 장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 '''[[정신아]]''' : 카카오벤처스(KaKaoventures)의 대표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이베이 아시아태평양(APAC) 전략·신규사업개발 매니저, NGN 수석 부장을 거쳐 2013년 12월 카카오벤처스 파트너로 합류했다. 이후 카카오벤처스에서 투자 전략과 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에 대한 스타트업 발굴을 담당했다.
 +
* '''[[정지원]]''' : 주식 대차 플랫폼 [[디렉셔널]](Directional)의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일하다가 금융법을 연구하던 중 주식대차 시장에서의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에 관심이 생겨 디렉셔널 창업으로 이어지게 됐다.
 +
* '''[[강현정]]''' :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문화를 지향하는 단체 크립토서울(Krypto Seoul)의 대표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관계학 학사,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정치학 석사 학위 취득후 KT 어시스트 매니저, 한국블록체인엽회 자문위원, 블록워터캐피탈 파트너 등에서 일한 경력이 있다. 현재 크립토서울 유튜브 운영도 하고 있다.
 +
* '''[[조은별]]''' :  통번역 매칭 양면 플랫폼 바벨탑(BabelTop)의 대표이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불번역과 졸업 후 프리랜서로 2년간 번역사로서 활동하다가 재하청을 주는 식의 시스템, 엔지니어 감성의 소프트웨어, 통번역사 사용자로서 쓰기 불편한 플랫폼 등 여러 불편함때문에 바벨탑을 창업했다.
 +
* '''[[오필리아 카이]]'''(Ophelia Cai) : 벤처캐피탈 회사 로컬글로브(LocalGlobe) 어소시에이트이다. 블랙록(BlackRock)에서 ESG 및 영향력 투자 전문가, 에프비지캐피탈(FBG Capital)과 테라(Treea)에서 기업전략 등의 경력을 갖고 있다.
 +
* '''[[김유경]]''' : [[블루 글로벌 파트너스]](Blue Blobal Partners) 부사장이다. 홍콩에서 인사이드 패션 뉴욕, 중국에서 유칼립투스 국제무역 등 국제적으로 경험한 업무 노하우로 암호화폐 지불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김세정]]''' : 특정 목표로 개발 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공동창업자이다. 게임 개발사 블루사이드의 대표이기도 하다. 2007년에는 문화관광부 표창장을 받기도 했다.
 +
* '''[[이신혜]]''' : 한국, 중국, 미국에서 블록체인 투자 펀드를 운영하는 [[지비아이씨]](GBIC)의 글로벌 파트너 겸 한국대표이다. 컨설팅 전문 기업인 블록72의 파트너를 겸하고 있다.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와 중국어 등에도 능통하다.
 +
* '''[[모모 창]]'''(Momo Chang) : 블록체인 업계에서 모든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고 퍼블릭 체인 생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 [[드렙]](DREP)의 공동창업자이다. 동양 증권의 전 증권 분석가이며, 금융 분야 전문가로 블록체인, 인터넷 금융, 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
* '''[[임선희]]''' : 유튜브 채널 써니피디아(Sunny Pedia)를 운영하는 크리에이터이다. 전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MBC에서 '내 손안의 책'이라는 독서 교양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써니피디아에서는 주로 책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
* '''[[김희로]]''' : 블록글로벌(Block Global)의 한국 자회사 코인인(Coinin)의 공동창업자 겸 비즈니스 전략 기획이사이다. 주로 좋은 프로젝트들을 발굴하여 인큐베이션을 진행, 국내외 프로모션을 맡고 있으며, 대형 행사에서는 한, 중, 영 MC로 사회를 보기도 했다.
 +
=== 한국의 블록체인협회 ===
 
== 관련 업체 ==
 
== 관련 업체 ==
 
=== 주최 ===
 
=== 주최 ===
 
* '''[[에이101그룹]]'''(A101Group) : 세계 최초의 슈퍼 교통 생태학·원 스톱 해외 인큐베이션 플랫폼이다.  
 
* '''[[에이101그룹]]'''(A101Group) : 세계 최초의 슈퍼 교통 생태학·원 스톱 해외 인큐베이션 플랫폼이다.  
=== 한국의 블록체인협회 ===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로고글자블록
 
{{로고글자블록

2020년 1월 16일 (목) 17:00 판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Korean Blockchain Women's Leadership Forum)은 2019년 12월 31일에 에이101그룹(A101Group)이 개최하는 행사이다. 주제는 "2019 한국 블록체인 여자 리더십 포럼"이다. 블록체인 시대하에서 한국 블록체인 트래픽의 발전과 투자로가는 길에 대해 논의한다.

개요

주요 인물

  • 김성아 :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한빗코(Hanbitco) 대표이사이다. 파생상품 트레이더 출신으로 한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Korbit)에서 PM으로 활동하며 본격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후 암호화폐 트레이딩 투자회사인 엘조비(ELJOVI) 파트너, 한빗코 상무 등을 역임했다.
  • 송영아 : 하이퍼커넥트(Hyperconnect) 최고운영책임자이다. 펜실베니아대와튼스쿨을 졸업한 경영 전문가로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컨설턴트를 지내다 2017년부터 하이퍼커넥트에 합류해 투자 유치와 인수합병 등을 주도해 왔다.
  • 벨라(Bella
  • 제니스 리(Janice Lee) : 암호화폐 거래소 아이디씨엠(IDCM)의 대표이사이다. 3년의 외무부 경험과 비트리저브와 업 홀드의 프로젝트 매니저로 5년간의 암호화폐 경험, 루센캐피탈의 공동창업자이자 바이텍스 거래소의 전 부사장 등의 경력을 갖고 있다.
  • 허미아(Mia Heo) : 빗썸(Bithumb)의 GXC 얼라이언스장이다.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학력을 취득했으며, 미국회계사, 프루덴셜생명 재무회계팀 차장, 빗썸코리아 통합거래소 장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정신아 : 카카오벤처스(KaKaoventures)의 대표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이베이 아시아태평양(APAC) 전략·신규사업개발 매니저, NGN 수석 부장을 거쳐 2013년 12월 카카오벤처스 파트너로 합류했다. 이후 카카오벤처스에서 투자 전략과 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에 대한 스타트업 발굴을 담당했다.
  • 정지원 : 주식 대차 플랫폼 디렉셔널(Directional)의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일하다가 금융법을 연구하던 중 주식대차 시장에서의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에 관심이 생겨 디렉셔널 창업으로 이어지게 됐다.
  • 강현정 :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문화를 지향하는 단체 크립토서울(Krypto Seoul)의 대표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관계학 학사,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정치학 석사 학위 취득후 KT 어시스트 매니저, 한국블록체인엽회 자문위원, 블록워터캐피탈 파트너 등에서 일한 경력이 있다. 현재 크립토서울 유튜브 운영도 하고 있다.
  • 조은별 : 통번역 매칭 양면 플랫폼 바벨탑(BabelTop)의 대표이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불번역과 졸업 후 프리랜서로 2년간 번역사로서 활동하다가 재하청을 주는 식의 시스템, 엔지니어 감성의 소프트웨어, 통번역사 사용자로서 쓰기 불편한 플랫폼 등 여러 불편함때문에 바벨탑을 창업했다.
  • 오필리아 카이(Ophelia Cai) : 벤처캐피탈 회사 로컬글로브(LocalGlobe) 어소시에이트이다. 블랙록(BlackRock)에서 ESG 및 영향력 투자 전문가, 에프비지캐피탈(FBG Capital)과 테라(Treea)에서 기업전략 등의 경력을 갖고 있다.
  • 김유경 : 블루 글로벌 파트너스(Blue Blobal Partners) 부사장이다. 홍콩에서 인사이드 패션 뉴욕, 중국에서 유칼립투스 국제무역 등 국제적으로 경험한 업무 노하우로 암호화폐 지불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김세정 : 특정 목표로 개발 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공동창업자이다. 게임 개발사 블루사이드의 대표이기도 하다. 2007년에는 문화관광부 표창장을 받기도 했다.
  • 이신혜 : 한국, 중국, 미국에서 블록체인 투자 펀드를 운영하는 지비아이씨(GBIC)의 글로벌 파트너 겸 한국대표이다. 컨설팅 전문 기업인 블록72의 파트너를 겸하고 있다.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와 중국어 등에도 능통하다.
  • 모모 창(Momo Chang) : 블록체인 업계에서 모든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고 퍼블릭 체인 생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 드렙(DREP)의 공동창업자이다. 동양 증권의 전 증권 분석가이며, 금융 분야 전문가로 블록체인, 인터넷 금융, 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 임선희 : 유튜브 채널 써니피디아(Sunny Pedia)를 운영하는 크리에이터이다. 전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MBC에서 '내 손안의 책'이라는 독서 교양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써니피디아에서는 주로 책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 김희로 : 블록글로벌(Block Global)의 한국 자회사 코인인(Coinin)의 공동창업자 겸 비즈니스 전략 기획이사이다. 주로 좋은 프로젝트들을 발굴하여 인큐베이션을 진행, 국내외 프로모션을 맡고 있으며, 대형 행사에서는 한, 중, 영 MC로 사회를 보기도 했다.

한국의 블록체인협회

관련 업체

주최

  • 에이101그룹(A101Group) : 세계 최초의 슈퍼 교통 생태학·원 스톱 해외 인큐베이션 플랫폼이다.
  • 한국블록체인협회 :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모여서 만든 사단법인이다. 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한 4차 산업혁명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을 위한 정부-민간·스타트업 간 상생 관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협회장은 오갑수이다,
  • 한국블록체인산업협회 : 회원사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여, 이 중요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 분야의 산업체에 적용하여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회이다. 회장은 연삼흠이다.
  • 한국블록체인산업학회 : 회원사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여, 이 중요한 블록체인 기술을 전 분야의 산업체에 적용하여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회이다. 회장은 연삼흠이다.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 블록체인 산업 발전의 제반 여건 마련과 관련 산업 구성원의 상호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창립했다. 협회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과 솔루션을 개발하는 IT 업체와 금융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협회 이사장은 김형주이다.

참석 업체

  • 에스비아이그룹(SBI Group) : 일본의 인터넷 종합 금융그룹이다. 1999년 창설 이래, 금융분야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여러 회사를 설립하여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보다 저비용으로 보다 편리성이 높은 서비스를 원스톱 제공하는 인터넷 종합 금융 그룹으로서 단기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대표이사는 키타오 요시타카이다.
  • 빗썸글로벌(Bithumb Global) :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의 파트너사로 빗썸 거래소와 별개로 운영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한 번의 계정등록으로 세계 각국 거래소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조회 관리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 컨센시스(Consensys) :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대한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더리움 지갑 메타마스크와 스마트 계약 개발 도구 트러플 등 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제품을 개발했다. 조셉 루빈(Joseph Lubin)이 설립했다.
  • 하이퍼커넥트(Hyperconnect) : 실시간 영상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 및 영상메신저 아자르(Azar)를 서비스하는 국내 서비스 개발사이다. 웹표준인 WebRTC에 기반한 실시간 영상/음성 통신을 위한 독자적인 클라이언트/서버 기술 스택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는 안상일이다.
  • 크립토서울(KryptoSeoul) : 활발한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문화를 지향하는 단체이다. 정기적인 밋업을 통해 회원들끼리 교류하고 다양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비들 서울 2018, 비들 아시아 2019를 개최한 바 있다. 대표이사는 강현정(Erica Kang)이다.
  • 지비아이씨(GBIC) : 한국, 중국, 미국에서 블록체인 투자 펀드를 운영하는 크립토펀드이다. 뉴욕, 상하이 그리고 서울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중국 테크전문 매체에 가장 영향력 있는 10대 크립토 펀드에 선정, 한국의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콘, 엘프, 네뷸러스, 얍스톤 등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대표는 이신혜이다.
  • 디지털저널(Digital Journal) : 전 세계의 기고자들이 있는 세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네트워크이다. 새로운 미디어 접근법과 독점 기술, 데이터 및 소셜 툴 세트를 결합하여 독특하고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며 웹에서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이르는 여러 플랫폼에 게시한다. 공동창업자는 크리스 호그(Chris Hogg)이다.
  • 카카오벤처스(KaKaoventures) : 카카오 계열의 초기투자 전문 벤처캐피탈이다. 선행기술, 서비스, 게임 산업 분야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한다. 2018년 한해만 AR·블록체인 등 43개 스타트업에 337억원 규모의 신규 및 후속 투자를 진행했다. 대표는 정신아이다.
  • 드렙(DREP) : 록체인 업계에서 모든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고 퍼블릭 체인 생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이다. 드렙은 사용 용이성, 유연성 및 마찰없는 통합을 결합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커넥터' 및 '툴박스'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스티븐 쉬(Stephen Xu)와 모모 창(Momo Chang)이 공동창업했다.
  • 바벨탑(BabelTop) : 번역 외주를 필요로 하는 기업과 전문 통번역사를 연결해주는 통번역 매칭 양면 플랫폼이다. 아시아 최초 온디맨드 기반 전문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며, 500여 명 이상의 전문 통번역사가 등록되어 있다. 대표이사는 조은별이다.
  • 로커스체인(Locus Chain) : PC 및 휴대폰 등 널리 보급된 일반적인 디바이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초당 수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 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네트워크 전송량과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샤딩을 통한 서브네트워크 구성 및 분산처리를 채택하고 있다. 창시자는 이상윤이다.
  • 테라(Terra) :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을 다양한 이커미스 플랫폼에 제공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이다. 테라 프로토콜에는 다른 암호화폐들과 달리 가격 변동이 없는 스테이블코인 '테라'와 가격 안정화를 위한 마이닝 토큰 '루나'가 있다. 창시자는 신현성이다.
  • 블루콘(Blucon) : 기존 금융과 거래소를 연결하는 B2B2C 사업을 진행하는 글로벌 결제용 암호화폐이다. 블루콘 카드로 암호화폐를 전 세계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즉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페이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장은 권재이(Joshua Kwon)이고, 대표는 김유경(Sabrina Kim)이다.
  • 바이텍스(Bytex) : 싱가포르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수익 배당형 플랫폼 토큰인 바이텍스토큰(BYTEX Token, BYT)을 출시 및 상장하였으며 이로써 BYT 보유 유저들은 거래 수수료를 배당으로 환금받으며 바이텍스 거래소의 경영에 참여하게 되었다. 대표이사는 임상혁이다.
  • 블록72 (Block72) : 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을 전문으로 다루는 컨설팅 전문 회사이다.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단순히 투자와 컨설팅만 진행하는 것이 아닌, 전통저인 벤처캐피탈처럼 투자한 기업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사후관리까지 담당한다. 대표이사는 마이크 첸(Mike Chen)이다.
  • 한빗코(Hanbitco) : 2017년 전통 금융권 출신 경영진이 설립한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보안 강화에 힘쓰고 있는 거래소로,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O), 국제보안인증인 ISO 27001을 획득하였다. 대표이사는 김성아이다.
  • 블록체인호주솔루션(Blockchain Australia Solutions) :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컨설팅 및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제공하는 테크놀로지 기업이다. 블록체인 기술 업계에 선두 업체로서 고객을 위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개발한다. 창업자는 랄프 칼시(Ralph Kalsi)이다.
  • 블록체인글로벌(Blockchain Global) :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활약하는 벤처캐피탈이다. 중국 홍콩에 본부를 두고 호주의 멜버른, 두바이, 중국의 상하이, 스위스의 취리히, 파나마에 지역사무소를 두고 있다. 대표이사는 샘 리(Sam Lee)이다.
  • 글로벌 우먼 인 블록체인(Global Women in Blockchain, GWB) : 블록체인 기술의 교육, 개발, 추진에 있어 여성들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활성화하고 가속하기 위해 고안된 최초의 비영리 단체이다. 창업자 겸 사장은 니나 니콜스(Nina Nichols)이다.
  • 블록체인호주(Blockchain Australia)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는 호주의 기업 및 비즈니스 전문가를 대표하는 산업 단체이다. 경제 전 분야에 걸쳐 서비스 제공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주 전역의 산업과 정부에 의한 블록체인 기술의 책임있는 채택 장려를 목표로 한다. 대표이사는 닉 지우리에또(Nick Giurietto)이다.
  • 팀제트(TEAMZ) : 전 세계의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전략과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블록체인 솔루션 회사이다. 도쿄에 본사를 둔 여러 대륙의 국제 팀을 소유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업계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의 여러 측면을 확장하고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표이사는 양톈위(杨天宇)이다.
  • 코인오타쿠(Coin Otaku) : 암호화폐의 최신 뉴스나 ICO 정보를 공정하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발신하는 암호화폐 미디어이다. 인기코너 '저 ICO는 지금'에서는 과거에 화제가 됐던 프로젝트를 다시 한 번 알아보고, 투자가에게 유익한 정보 제공을 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이토 켄지(Ito Kenji)이다.
  • 리퀴드(Liquid) : 암호화폐의 통합적인 금융 서비스 제공을 추구하며 암호화폐 거래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개선한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여 2018년 10월, 리퀴드 거래소의 한국어 지원을 시작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마이크 카야모리(Mike Kayamori)이다.
  • 그라코네(Gracone) :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컨설팅 기업이다. 2014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일본 도쿄에 위치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후지모토 마이(Fujimoto Mai)이다.
  • 메이커토큰(Maker Token) : 암호화폐 담보 대출 방식의 스테이블코인인 다이(DAI)에서 대출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시스템의 중요한 변화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메이커토큰을 만든 메이커다오(MakerDAO)의 대표이사는 루네 크리스텐센(Rune Christensen)이다.
  • 해시허브(HashHub) : 도쿄에 본사를 둔 블록쳉친 스튜디오이다. 기업 고객과의 PoC 및 제품 개발 지우너 등을 통해 일본 내 암호/블록체인 사업 추진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으며 암호화폐를 위한 스타트업 스튜디오와 일본과 해외의 블록체인 개발자을 위한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준야 히라노(Junya Hirano)이다.
  • C...
  • 일본중국블록체인협회(Japan China Blockchain Association, JCBA) : 디지털 경제 발전에 관심이 있는 교류, 투자자, 변호사, 감사기관, 디지털 경제 프로제트 등 다양한 정당의 대표들이 모여 일본과 중국의 블록체인 성장에 전념하기 위해 설립한 협회이다. 의장은 카즈유키 하마다(Kazuyuki Hamada)이다.
  • JBC
  • ?
  • [[]]
  • 비티씨박스 : 일본 도쿄에서 설립된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암호화폐 거래소로 비트코인을 기본으로 여러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다. 입금 수수료는 무료지만, 출금 수수료는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에 따라 다르다. 대표이사는 츠지하루토시(辻治俊)이다.

행사 안내

참고자료


  의견.png 이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 문서는 행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