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워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eGovFrame) : 대한민국 정부가 공공기관 시스템 개발에 공동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한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기존의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아이바티스]](iBatis)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개발했다. [[자바]] 언어를 사용한다. [[아파치 라이선스]]로 배포하고 있다.
+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eGovFrame) : 대한민국 정부가 공공기관 시스템 개발에 공동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기존의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아이바티스]](iBatis)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개발했다. [[자바]] 언어를 사용한다. [[아파치 라이선스]]로 배포하고 있다.
* '''[[스프링]]'''(Spring) :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재단]]이 관리하고 있다.
+
* '''[[스프링]]'''(Spring) :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재단]]이 관리하고 있다.
* '''[[스트럿츠]]'''(Struts) :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크레이그 맥클라나한]](Craig McClanahan)이 처음 개발했고, 2000년 5월 [[아파치재단]]에 이관되었다.  
+
* '''[[스트럿츠]]'''(Struts) :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크레이그 맥클라나한]](Craig McClanahan)이 처음 개발했고, 2000년 5월 [[아파치재단]]에 이관되었다.  
* '''[[아이바티스]]'''(iBatis) : [[자바]]로 개발한 응용 프로그램을 [[SQL]]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재단]]이 개발했다.
+
* '''[[아이바티스]]'''(iBatis) : [[자바]]로 개발한 응용 프로그램을 [[SQL]]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재단]]이 개발했다.
* '''[[마이바티스]]'''(MyBatis) : 2010년 기존의 [[아이바티스]](iBatis)를 [[포크]]하여 새로 업그레이드한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 라이선스]]를 따른다.
+
* '''[[마이바티스]]'''(MyBatis) : 2010년 기존의 [[아이바티스]](iBatis)를 [[포크]]하여 새로 업그레이드한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아파치 라이선스]]를 따른다.
* '''[[하이버네이트]]'''(Hibernate) : 객체 지향 언어인 [[자바]]의 클래스 파일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매핑]]해 주는 [[오픈 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2001년 [[개빈 킹]](Gavin King)이 개발했다.
+
* '''[[하이버네이트]]'''(Hibernate) : 객체 지향 언어인 [[자바]]의 클래스 파일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매핑]]해 주는 [[오픈소스]] 기반의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2001년 [[개빈 킹]](Gavin King)이 개발했다.
 
* '''[[닷넷]]'''(.NET) : [[XML]]과 [[SOAP]]를 기반으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만든 통합 웹 서비스 [[플랫폼]]이다.
 
* '''[[닷넷]]'''(.NET) : [[XML]]과 [[SOAP]]를 기반으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만든 통합 웹 서비스 [[플랫폼]]이다.
* '''[[에이에스피닷넷]]'''(ASP.NET) : 동적 웹 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웹 프로그램 개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존 [[ASP]] 기술을 계승하여 개발했다.
+
* '''[[에이에스피닷넷]]'''(ASP.NET) : 동적 웹 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웹 프로그램 개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존 [[ASP]] 기술을 계승하여 개발했다.
* '''[[노드제이에스]]'''(node.js)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언어를 사용하여 서버 측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기반의 I/O 프레임워크이다. 2009년 [[라이언 달]](Ryan Dahl)이 개발했다. 기존의 자바스크립트는 프런트 엔드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node.js의 출현으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버 측의 백 엔드까지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
* '''[[노드제이에스]]'''(node.js)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언어를 사용하여 서버 측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의 I/O 프레임워크이다. 2009년 [[라이언 달]](Ryan Dahl)이 개발했다. 기존의 자바스크립트는 프런트 엔드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node.js의 출현으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버 측의 백 엔드까지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 '''[[앵귤러제이에스]]'''(AngularJS) : [[구글]]이 관리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
* '''[[앵귤러제이에스]]'''(AngularJS) : [[구글]]이 관리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 '''[[장고]]'''(Django) : [[파이썬]](Python) 언어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과 웹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 '''[[장고]]'''(Django) : [[파이썬]](Python) 언어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과 웹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 '''[[애니프레임]]'''(Anyframe) : [[삼성SDS㈜]]<!--삼성SDS, 삼성에스디에스-->가 기존의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 '''[[애니프레임]]'''(Anyframe) : [[삼성SDS㈜]]<!--삼성SDS, 삼성에스디에스-->가 기존의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 '''[[라프제이]]'''(Laf-J) : LG CNS Application Framework for Java의 약자로서, 1999년 [[㈜엘지씨엔에스]](LG CNS)가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Laf/J'라고도 쓴다.
 
* '''[[라프제이]]'''(Laf-J) : LG CNS Application Framework for Java의 약자로서, 1999년 [[㈜엘지씨엔에스]](LG CNS)가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Laf/J'라고도 쓴다.
 
* '''[[넥스코어]]'''(Nexcore) : [[SK㈜ C&C]]<!--SK C&C, SK씨앤씨, 에스케이 씨앤씨-->가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더 이상 기능 개발이 없이 단종되었다.
 
* '''[[넥스코어]]'''(Nexcore) : [[SK㈜ C&C]]<!--SK C&C, SK씨앤씨, 에스케이 씨앤씨-->가 개발한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더 이상 기능 개발이 없이 단종되었다.
* '''[[하둡]]'''(Hadoop) : 여러 개의 저렴한 컴퓨터를 마치 하나인 것처럼 묶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빅데이터]] 처리에 사용된다. [[아파치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 '''[[하둡]]'''(Hadoop) : 여러 개의 저렴한 컴퓨터를 마치 하나인 것처럼 묶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빅데이터]] 처리에 사용된다. [[아파치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스파크]]'''(Spark) : [[오픈 소스]] 기반의 [[클러스터]] 컴퓨팅 프레임워크이다. 2009년 미국 UC 버클리대학교의 대학원생인 [[마테이 자하리아]](Matei Zaharia)가 개발했다. 영어로 spark는 불꽃이 튀기는 것을 말하는데, 대용량 [[데이터]]를 마치 불꽃이 튀기는 것처럼 순식간에 처리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2010년 [[BSD 라이선스]]로 공개했고, 2013년 [[아파치재단]]에 넘겨서 [[아파치 라이선스]]로 변경되었다.
+
* '''[[스파크]]'''(Spark) : [[오픈소스]] 기반의 [[클러스터]] 컴퓨팅 프레임워크이다. 2009년 미국 UC 버클리대학교의 대학원생인 [[마테이 자하리아]](Matei Zaharia)가 개발했다. 영어로 spark는 불꽃이 튀기는 것을 말하는데, 대용량 [[데이터]]를 마치 불꽃이 튀기는 것처럼 순식간에 처리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2010년 [[BSD 라이선스]]로 공개했고, 2013년 [[아파치재단]]에 넘겨서 [[아파치 라이선스]]로 변경되었다.
* '''[[아두이노]]'''(Arduino) :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컴퓨팅 [[플랫폼]]을 말한다. [[C 언어|C]], [[C++]]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코딩을 한 후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보드에 업로드하면, 아두이노가 작동한다.
+
* '''[[아두이노]]'''(Arduino) :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컴퓨팅 [[플랫폼]]을 말한다. [[C 언어|C]], [[C++]]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코딩을 한 후 기계어로 컴파일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보드에 업로드하면, 아두이노가 작동한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4월 30일 (화) 02:48 판

프레임워크(framework)란 소프트웨어 개발 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서술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개념 구조를 말한다. 간략히 F/W라고도 쓴다. '프레임웍'이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표준 프레임워크라고도 한다.

종류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