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암호화폐의 유형 분류)
4번째 줄: 4번째 줄:
  
 
== 개념 ==
 
== 개념 ==
암호화폐는 흔히 [[가상화폐]]라는 말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 암호화폐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화폐의 일종이다.
 
  
암호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실물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
암호화폐는 흔히 [[가상화폐]]라는 말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 암호화폐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화폐이고, 가상화폐는 실물이 없이 가상으로 존재하는 화폐이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은 암호화폐이고, [[싸이월드]] [[도토리]], [[리니지]] [[아덴]] 등은 가상화폐이다. 암호화폐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화폐의 일종이다. 결국, 암호화폐는 가상화폐의 한 종류이다.
 +
 
 +
암호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
 
 +
== 유형 ==
 +
 
 +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
=== 코인과 토큰 ===
 +
* '''코인'''(coin) :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메인넷]]을 가지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 모든 [[플랫폼 코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플랫폼 코인이 아니더라도, [[비트코인]]이나 [[리플]]처럼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암호화폐도 코인이라고 부른다.
 +
* '''토큰'''(token) :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개별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토큰은 자체적인 메인넷이 없으며, 다른 플랫폼 기반 위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은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토큰이다.
 +
 
 +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
* '''[[알트코인]]'''(altcoin) : [[비트코인]] 이외의 나머지 모든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고 부른다. 알트코인은 alternative coin의 약자로서, 비트코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코인이라는 뜻이다.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 수천 종의 알트코인이 존재한다.
 +
* '''[[플랫폼 코인]]'''(platform coin) :
 +
*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 :
 +
* '''[[결제 코인]]'''(payment token) :
 +
*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 :
 +
* '''[[스테이블코인]]'''<!--스테이블 코인-->(stablecoin) : [[법정화폐]]로 표시한 코인의 가격이 거의 변동하지 않고 안정된 암호화폐를 말한다. '가치안정화폐'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테더]], [[스팀달러]], [[테라]] 등이 있다.
 +
* '''[[다크코인]]'''(darkcoin) : [[익명성]]을 보장하는 어둠의 코인이다. [[영지식증명]] 기술을 이용하여 코인 소유자의 신분을 완벽하게 숨길 수 있다. 다크코인 계열의 암호화폐에는 [[모네로]], [[대시]], [[지캐시]], [[코모도]] 등이 있다.
  
 
== 종류 ==
 
== 종류 ==
 +
 
2009년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자세히|암호화폐 종류}}
 
2009년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자세히|암호화폐 종류}}
  
 
== 특징 ==
 
== 특징 ==
 +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mining)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종의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해당하는 [[ICO]](초기코인공개)를 하기도 한다.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mining)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종의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해당하는 [[ICO]](초기코인공개)를 하기도 한다.
  

2018년 9월 25일 (화) 16:33 판

비트코인(Bitcoin) 동전 배경

암호화폐(暗號貨幣, cryptocurrency)는 해시라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전자화폐의 일종이다. 대개의 암호화폐는 탈중앙 P2P 방식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장·전송한다.

개념

암호화폐는 흔히 가상화폐라는 말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 암호화폐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화폐이고, 가상화폐는 실물이 없이 가상으로 존재하는 화폐이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은 암호화폐이고, 싸이월드 도토리, 리니지 아덴 등은 가상화폐이다. 암호화폐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화폐의 일종이다. 결국, 암호화폐는 가상화폐의 한 종류이다.

암호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법정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없이 전 세계 인터넷 네트워크에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다.

유형

암호화폐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코인과 토큰

  • 코인(coin) :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메인넷을 가지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 모든 플랫폼 코인이 여기에 해당한다. 플랫폼 코인이 아니더라도, 비트코인이나 리플처럼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암호화폐도 코인이라고 부른다.
  • 토큰(token) :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개별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토큰은 자체적인 메인넷이 없으며, 다른 플랫폼 기반 위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은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토큰이다.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종류

2009년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가기.png 암호화폐 종류에 대해 자세히 보기

특징

암호화폐를 얻기 위해서는 채굴기라는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여 직접 채굴(mining)을 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을 주고 구매하거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아야 한다. 새로운 암호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종의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해당하는 ICO(초기코인공개)를 하기도 한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