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테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테더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테더'''(Tether) 로고]]
 
[[파일:테더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테더'''(Tether) 로고]]
  
'''테더'''(Tether)는 중국 [[홍콩]]의 [[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발행하고 미국 달러 가격과 연동되는 [[암호화폐]]이다. 테더의 화폐 단위는 '''USDT'''이다. 미국 달러와 연동할 목적으로 만든 코인이라서, 1테더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테더는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2015년 2월 25일 네덜란드 출신의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Jan Ludovicus van der Velde)에 의해 개발되어 출시되었다. 그는 [[비트파이넥스]]와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의 최고경영자(CEO)다.
+
'''테더'''(Tether)는 중국 [[홍콩]]의 [[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발행하고 미국 달러 가격과 연동되는 [[암호화폐]]이다. 테더의 화폐 단위는 '''USDT'''이다. 테더는 금본위제와 같이 화폐의 속성을 미국 달러와 연동할 목적으로 만든 코인으로 1테더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테더는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
테더는 현재 비트코인 재단(Bitcoin Foundation) 회장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리브 콜린스]](Reeve Collins), [[크레이그 셀러스]] 세 명의 공동 창업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또한,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의 최고경영자(CEO)이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CEO는 네덜란드 출신의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Jan Ludovicus van der Velde)이다.
  
 
== 개요 ==
 
== 개요 ==
14번째 줄: 15번째 줄:
  
 
테더는 지갑과 거래소 시스템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은행간에 송금을 하는 경우 수수료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급·등락의 변동성이 심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테더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전 세계에서 개인별로, 즉시, 안전하게 [[디지털 토큰]]을 저장,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com)에 따르면, 테더는 전체 코인 중 8위, 시가총액은 23억 달러에 이른다(2018년 10월 기준). 테더가 이처럼 사용자들의 큰 지지를 받는 것은 테더의 가치가 달러와 1:1로 연동해 가치를 안정적으로 보장해준다는 것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테더의 이러한 전제가 무너지면 [[거래소]]의 신용이 크게 훼손되는 것은 물론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
 
테더는 지갑과 거래소 시스템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은행간에 송금을 하는 경우 수수료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급·등락의 변동성이 심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테더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전 세계에서 개인별로, 즉시, 안전하게 [[디지털 토큰]]을 저장,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com)에 따르면, 테더는 전체 코인 중 8위, 시가총액은 23억 달러에 이른다(2018년 10월 기준). 테더가 이처럼 사용자들의 큰 지지를 받는 것은 테더의 가치가 달러와 1:1로 연동해 가치를 안정적으로 보장해준다는 것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테더의 이러한 전제가 무너지면 [[거래소]]의 신용이 크게 훼손되는 것은 물론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
 +
 +
== 역사 ==
 +
===테더의 기술적 토대, 마스터코인===
 +
2012년 1월 [[마스터코인]]의 창시자로 알려진 [[J.R. 윌렛]](J.R. Willett)은 [[비트코인]] 프로토콜 위에 새로운 통화를 구축할 가능성을 설명하면서 온라인으로 백서를 발행했다. 월렛은 이 새로운 "제2계층"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마스터코인 재단]](Omni Foundation)을 가진 암호체계에서 아이디어 구현을 도왔으며 마스터코인 프로토콜은 [[테더]] 암호화의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또한 마스터코인 재단의 원년 멤버 중 한 명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와 마스터코인 재단의 CTO인 [[크레이그 셀러스]](Craig Sellars)가 테더의 공동 설립자이다.
 +
 +
===리얼코인===
 +
[[테더]]는 2014년 7월 산타 모니카에 기반한 스타트업 공동 창업자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리브 콜린스]](Reeve Collins), [[크레이그 셀러스]]에 의해 초기에 [[리얼코인]](Realcoin)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첫 번째 토큰은 2014년 10월 6일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발행되었다. 하지만 2014년 11월 20일, 테더 CEO인 리브 콜린스가 프로젝트의 이름을 "테더"로 변경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테더는 개인 베타에 미국 달러화, 유로화, 일본 엔화 등 3개 통화가 테더 토큰을 지원하고 모든 테더 토큰을 원래의 통화로 교환할 수 있으며 교환 위험에도 노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
===테더와 비트파이넥스===
 +
2015년 1월, 테더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에 상장하여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두 곳의 관계에 대해 여러 의혹이 제기되어왔지만 [[테더]]와 [[비트파이넥스]]는 각각 분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2017년 11월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파라다이스 페이퍼즈]] 사건에서 대중에 공개 유출된 문건을 보면, 버뮤다의 로펌 '[[애플비]](Appleby)'가 거래소 [[비트파이넥스]] 운영자인 [[필립 포터]]와 [[잔카로 데바시니]]를 도와 2014년 말 [[테더 홀딩스 리미티드]](Teder Holdings Limited)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설립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테더의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홍콩에 본사를 둔 [[테더 리미티드]]가 테더 홀딩스의 완전한 자회사다. 비트파이넥스와 테더 리미티드의 대변인은 두 회사의 최고경영자가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Jan Ludovicus van der Velde)라고 말했다. 이에 따른 논란들로 2018년 2월 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테더를 조사하기 위해 테더 청문회를 열기도 했다.
 +
 +
===웰스 파고 은행 소송===
 +
테더는 대만 은행을 통해 미국 달러를 거래하고 있었는데 그 돈을 다시 미국의 [[웰스 파고]](Wells Fargo) 은행을 통해 보내 대만을 벗어나도록 했다. 2017년 4월 18일 테더는 이러한 국제 송금이 차단되었다고 발표하고 테더는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와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의 지방법원에서 웰스 파고 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이 소송은 일주일 후에 철회되었다.
 +
 +
===테더===
 +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Omni Layer Protocol),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 등 3단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더 백서의 제목인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법정화폐(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에서 알 수 있듯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위에서 발급된다. 2017년 6월 [[마스터 코인]]의 [[옴니 재단]]과 [[라이트코인]]의 창시자 [[찰리 리]](Charlie Lee)는 테더가 곧 라이트코인(Litecoin)의 [[옴니 레이어]]에 대해 발행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7년 9월 테더는 미국 달러와 유로화를 위한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ERC-20]] 토큰을 추가로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테더 코인은 비트코인 옴니 레이어 미국 달러 테더, 비트코인 옴니 레이어 유로 테더, ERC-20 토큰으로 사용되는 달러화 테더, ERC-20 토큰으로 사용되는 유로화 테더 총 4개의 테더 토큰이 존재한다.
 +
 +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지불되지 않은 테더의 수는 약 1,000만 달러에서 28억 달러로 증가했다. 2018년 상반기만 해도 테더는 [[비트코인]] 거래량의 약 10%를 차지했으나 중반기에는 비트코인 물량의 80%를 차지했다. 2018년 6월 기준 테더는 현재 10번째로 큰 [[암호화폐]]다. 2017년 말 테더의 가격 조작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에 절반을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2018년 8월 5억 달러 이상의 테더가 발행되었다. 2018년 10월 15일 [[비트파이넥스]] 거래자들이 테더와 비트코인을 교환하면서 인식된 신용위험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잠시 0.88달러로 떨어졌다.
  
 
== 특징 ==
 
== 특징 ==
20번째 줄: 39번째 줄:
  
 
===보유증명 합의 알고리즘===
 
===보유증명 합의 알고리즘===
 +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옴니코어]](Omnicore) 알고리즘 기반의 전자 지갑을 통해 발행되며,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발행 과정의 신뢰성을 인증한다. 테더는 은행에 법정화폐를 입금하면, 입금한 금액과 동일한 양의 테더를 발행한다. 이때 입금한 법정화폐와 발행한 테더의 양이 일치함을 증명하는 방식이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이다. 입금된 법정화폐의 금액과 발행된 테더의 수량이 일치하면 “완전히 예치됨(Fully Reserved)”이라고 홈페이지에 공표하며 사용자에게 테더에 대한 신뢰를 증명한다.<ref>이동혁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6995 (인사이트) 테더(USDT)에 대하여]〉,  《블록인프레스》 , 2018-07-17</ref>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옴니코어]](Omnicore) 알고리즘 기반의 전자 지갑을 통해 발행되며,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발행 과정의 신뢰성을 인증한다. 테더는 은행에 법정화폐를 입금하면, 입금한 금액과 동일한 양의 테더를 발행한다. 이때 입금한 법정화폐와 발행한 테더의 양이 일치함을 증명하는 방식이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이다. 입금된 법정화폐의 금액과 발행된 테더의 수량이 일치하면 “완전히 예치됨(Fully Reserved)”이라고 홈페이지에 공표하며 사용자에게 테더에 대한 신뢰를 증명한다.<ref>이동혁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6995 (인사이트) 테더(USDT)에 대하여]〉,  《블록인프레스》 , 2018-07-17</ref>
+
===자금 흐름 과정===
 +
1단계, 사용자가 [[테더 리미티드]]의 은행 계좌에 법정화폐를 예금한다.
 +
 
 +
2단계, 테더 리미티드에서는 사용자의 [[테더]] 계정을 생성하고 크레딧을 부여하여 테더는 순환한다. 사용자에 의해 예치된 법정화폐의 양과 사용자에게 발급된 테더의 양은 동일하다.
 +
 
 +
3단계, 사용자는 테더로 거래뿐만 아니라 p2p 오픈 소스, 익명 [[비트코인]] 기반 플랫폼을 통해 테더를 전송, 교환 및 저장할 수 있다.
 +
 
 +
4단계, 사용자는 환급을 위해 테더 리미티드를 사용하여 테더를 법정화폐로 보관한다.
 +
 
 +
5단계, 테더 리미티드는 테더를 파괴하고 사용자의 은행 계좌로 법정화폐를 보낸다.
 +
 
 +
사용자는 교환이나 다른 개인을 통해 전술한 프로세스 외부에서 테더를 얻을 수 있다. 일단 테더가 순환되면 어떤 사업이나 개인 사이에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의 사용자는 거래소 [[비트파이넥스]]로부터 테더를 구입할 수 있으며 곧이어 교환도 늘 것이다. 기금 흐름도를 통해 전달될 주요 개념은 테더 리미티드만이 테더를 유통시킬 수 있는 유일한 당사자라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 지불능력이 유지되는 주요 과정이다.<ref name="테더 백서"></ref>
  
 
===중앙 발행 체계===
 
===중앙 발행 체계===
 
 
테더는 [[비트파이넥스]]와 같은 [[거래소]]에서 직접 발행해 유통한다. 이 특징 때문에 2017년 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테더를 의도적으로 대량 발행해 시장에 유입시키고 [[비트코인]] 가격을 조작해 투자자가 테더를 높은 가격에 매수하도록 유도하고 달러로 자금을 세탁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테더는 [[비트파이넥스]]와 같은 [[거래소]]에서 직접 발행해 유통한다. 이 특징 때문에 2017년 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테더를 의도적으로 대량 발행해 시장에 유입시키고 [[비트코인]] 가격을 조작해 투자자가 테더를 높은 가격에 매수하도록 유도하고 달러로 자금을 세탁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00% 달러와 연동===
 
===100% 달러와 연동===
 +
국내거래소의 경우 실명확인 후 원화(KRW)를 거래소에 입금하면 바로 [[암호화폐]]를 살 수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해외 거래소의 경우 달러 같은 법정화폐로 즉시 암호화폐를 구입하는 것이 불가능해 해당 코인을 사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신용카드 결제 및 은행 송금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래소에 법정 화폐를 입금해 테더 코인을 구매한 후 이 테더 코인으로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테더 코인(USDT)은 암호화폐 안의 법정화폐라고 볼 수 있다.
 +
 +
== 장점 ==
 +
* 테더는 덜 개발된 [[알트코인]] [[블록체인]] 대신 [[비트코인]] 블록체인 또는 중앙 집중식 개인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행되는 폐쇄된 소스 소프트웨어 내에 존재한다.<ref name=" 테더 백서">〈[https://tether.to/wp-content/uploads/2016/06/TetherWhitePaper.pdf Tether: 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 《tether whitepaper》, 2016-06</ref>
 +
 +
* 테더는 [[비트코인]]처럼 사용할 수 있다. 비트코인이나 기타 암호화가 가능한 것처럼 테더와 상인, 교환, 지갑 등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ref name="테더 백서"></ref>
  
국내거래소의 경우 실명확인 후 원화(KRW)를 거래소에 입금하면 바로 [[암호화폐]]를 살 수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해외 거래소의 경우 달러 같은 법정화폐로 즉시 암호화폐를 구입하는 것이 불가능해 해당 코인을 사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신용카드 결제 은행 송금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래소에 법정 화폐를 입금해 테더 코인을 구매한 후 이 테더 코인으로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테더 코인(USDT)은 암호화폐 안의 법정화폐라고 볼 수 있다.
+
* [[테더 리미티드]]에는 예비자산의 관리자로서 당사자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예비비 수행을 위한 접근방식이 사용된다.<ref name="테더 백서"></ref>
 +
 
 +
* 테더는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의 속성을 이어 받아 분산형 교환, 브라우저 기반, 오픈 소스, 지갑 암호화, [[비트코인]] 기반의 투명성, 책임성, 다자간 보안 보고 기능을 포함한다.<ref name="테더 백서"></ref>
 +
 
 +
* 테더를 발행하거나 상환할 때 어떠한 가격이나 유동성 제약에도 직면하지 않는다. 테더의 사용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만큼의 테더를 빠르고 매우 낮은 수수료로 구입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ref name="테더 백서"></ref>
 +
 
 +
* 테더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시장력에 의존하지 않고 1:1 비율로 보유고를 유지하므로 [[블랙 스완]](Black Swan), 유동성 경색 등 시장 리스크에 직면하지 않는다. 테더의 1:1 지원 구현은 비기술적 사용자가 담보화 기법이나 파생 전략과 반대로 이해하기 더 쉽다.<ref name="테더 백서"></ref>
  
 
== 테더에 대한 의혹 ==
 
== 테더에 대한 의혹 ==
58번째 줄: 100번째 줄:
 
수많은 논란과 불안요소에도 불구하고 [[테더]](Tether)는 코인들의 가치 변동성이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활발하게 통용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가장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미 많은 [[거래소]]는 미국 달러(USD) 대신에 테더(USDT)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테더가 설계된 목적이 투자대상이 아닌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소 중앙화되어 있는 테더를 통한 결제 및 거래는 [[법정화폐]]로 결제하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테더를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수많은 논란과 불안요소에도 불구하고 [[테더]](Tether)는 코인들의 가치 변동성이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활발하게 통용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가장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미 많은 [[거래소]]는 미국 달러(USD) 대신에 테더(USDT)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테더가 설계된 목적이 투자대상이 아닌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소 중앙화되어 있는 테더를 통한 결제 및 거래는 [[법정화폐]]로 결제하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테더를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코인마켓캡 2018년 11월 30일 기준, 1USDT는 1달러 (1,117원)이고 시가 총액은 2조 740억원으로 8위를 차지하고 있다. 테더의 총공급량은 25억 USDT이고 이 중 18억 5,642USDT가 유통중에 있다.<ref>"[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tether/ Tether (USDT)]", ''coinmarketcap'', 2018-11-30</ref>
+
코인마켓캡 2018년 12월 11일 기준, 1USDT는 1달러 (1,144원)이고 시가 총액은 2조 125억 원으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테더의 공급량은 25억 USDT이고 이 중 18억 5,642USDT가 유통 중에 있다. 또한, 테더의 일일 거래량은  3조 547억 원으로 비트코인에 이어 2위에 올라있다. <ref>"[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tether/ Tether (USDT)]", ''coinmarketcap'', 2018-12-11</ref>
 
[[파일:테더는 안전한 태환 화폐로 시장을 선도한다.png|350픽셀|섬네일|오른쪽|'''테더는 시장을 선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태환 화폐이다.'''(tether is leader solutions and pegging dollar)]]
 
[[파일:테더는 안전한 태환 화폐로 시장을 선도한다.png|350픽셀|섬네일|오른쪽|'''테더는 시장을 선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태환 화폐이다.'''(tether is leader solutions and pegging dollar)]]
  
68번째 줄: 110번째 줄:
 
* "[https://tether.to/wp-content/uploads/2016/06/TetherWhitePaper.pdf Tether: 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 ''tether whitepaper'', 2016-06
 
* "[https://tether.to/wp-content/uploads/2016/06/TetherWhitePaper.pdf Tether: 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 ''tether whitepaper'', 2016-06
 
*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tether/ Tether (USDT)]", ''coinmarketcap'', 2018-11-30
 
*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tether/ Tether (USDT)]", ''coinmarketcap'', 2018-11-30
 +
* "[https://en.wikipedia.org/wiki/Tether_(cryptocurrency) Tether(cryptocurrency)]", ''wikipedia''
  
 
; 한국어
 
; 한국어
87번째 줄: 130번째 줄:
 
* [[스테이블코인]]
 
* [[스테이블코인]]
 
* [[폴로닉스]]
 
* [[폴로닉스]]
 +
* [[크라켄]]
  
 
{{검토 필요}}
 
{{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 종류}}

2018년 12월 13일 (목) 17:07 판

테더(Tether) 로고
테더(Tether) 로고
테더(Tether) 로고

테더(Tether)는 중국 홍콩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발행하고 미국 달러 가격과 연동되는 암호화폐이다. 테더의 화폐 단위는 USDT이다. 테더는 금본위제와 같이 화폐의 속성을 미국 달러와 연동할 목적으로 만든 코인으로 1테더는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테더는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테더는 현재 비트코인 재단(Bitcoin Foundation) 회장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리브 콜린스(Reeve Collins), 크레이그 셀러스 세 명의 공동 창업자에 의해 발표되었다. 또한,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의 최고경영자(CEO)이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CEO는 네덜란드 출신의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Jan Ludovicus van der Velde)이다.

개요

테더(Tether) 로고

테더(Tether)는 홍콩에 기반을 둔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 회사에 의해 운영되며, 리얼코인(Realcoin) 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지불을 보증하지 않는 비트코인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현물 자산에 고정된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해 시도한 각기 다른 프로젝트들이 모여 테더(Tether)를 설립했다.

테더는 달러, 유로 외에도 일본의 엔을 포함해 실제 화폐 통화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토큰이다. 테더 1개가 1달러인 스테이블코인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기축통화의 역할을 한다. 해외 거래소 대부분은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 입·출금을 허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테더를 구입해서 거래를 해야 한다. 암호화폐 1달러어치를 사고 싶으면 테더사에 1달러를 입금하고 테더 1개를 받는 식이다. 따라서 시장에 25억 개의 테더가 풀려있다고 보면 테더사는 계좌에 25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테더는 지갑과 거래소 시스템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은행간에 송금을 하는 경우 수수료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급·등락의 변동성이 심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테더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전 세계에서 개인별로, 즉시, 안전하게 디지털 토큰을 저장,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Coinmarketcap.com)에 따르면, 테더는 전체 코인 중 8위, 시가총액은 23억 달러에 이른다(2018년 10월 기준). 테더가 이처럼 사용자들의 큰 지지를 받는 것은 테더의 가치가 달러와 1:1로 연동해 가치를 안정적으로 보장해준다는 것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테더의 이러한 전제가 무너지면 거래소의 신용이 크게 훼손되는 것은 물론 암호화폐 시장 자체가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

역사

테더의 기술적 토대, 마스터코인

2012년 1월 마스터코인의 창시자로 알려진 J.R. 윌렛(J.R. Willett)은 비트코인 프로토콜 위에 새로운 통화를 구축할 가능성을 설명하면서 온라인으로 백서를 발행했다. 월렛은 이 새로운 "제2계층"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마스터코인 재단(Omni Foundation)을 가진 암호체계에서 아이디어 구현을 도왔으며 마스터코인 프로토콜은 테더 암호화의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또한 마스터코인 재단의 원년 멤버 중 한 명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와 마스터코인 재단의 CTO인 크레이그 셀러스(Craig Sellars)가 테더의 공동 설립자이다.

리얼코인

테더는 2014년 7월 산타 모니카에 기반한 스타트업 공동 창업자인 브록 피어스(Brock Pierce), 리브 콜린스(Reeve Collins), 크레이그 셀러스에 의해 초기에 리얼코인(Realcoin)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첫 번째 토큰은 2014년 10월 6일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발행되었다. 하지만 2014년 11월 20일, 테더 CEO인 리브 콜린스가 프로젝트의 이름을 "테더"로 변경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테더는 개인 베타에 미국 달러화, 유로화, 일본 엔화 등 3개 통화가 테더 토큰을 지원하고 모든 테더 토큰을 원래의 통화로 교환할 수 있으며 교환 위험에도 노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테더와 비트파이넥스

2015년 1월, 테더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에 상장하여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두 곳의 관계에 대해 여러 의혹이 제기되어왔지만 테더비트파이넥스는 각각 분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2017년 11월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파라다이스 페이퍼즈 사건에서 대중에 공개 유출된 문건을 보면, 버뮤다의 로펌 '애플비(Appleby)'가 거래소 비트파이넥스 운영자인 필립 포터잔카로 데바시니를 도와 2014년 말 테더 홀딩스 리미티드(Teder Holdings Limited)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설립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테더의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홍콩에 본사를 둔 테더 리미티드가 테더 홀딩스의 완전한 자회사다. 비트파이넥스와 테더 리미티드의 대변인은 두 회사의 최고경영자가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Jan Ludovicus van der Velde)라고 말했다. 이에 따른 논란들로 2018년 2월 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테더를 조사하기 위해 테더 청문회를 열기도 했다.

웰스 파고 은행 소송

테더는 대만 은행을 통해 미국 달러를 거래하고 있었는데 그 돈을 다시 미국의 웰스 파고(Wells Fargo) 은행을 통해 보내 대만을 벗어나도록 했다. 2017년 4월 18일 테더는 이러한 국제 송금이 차단되었다고 발표하고 테더는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와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의 지방법원에서 웰스 파고 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이 소송은 일주일 후에 철회되었다.

테더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Omni Layer Protocol),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 등 3단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더 백서의 제목인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법정화폐(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에서 알 수 있듯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위에서 발급된다. 2017년 6월 마스터 코인옴니 재단라이트코인의 창시자 찰리 리(Charlie Lee)는 테더가 곧 라이트코인(Litecoin)의 옴니 레이어에 대해 발행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7년 9월 테더는 미국 달러와 유로화를 위한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ERC-20 토큰을 추가로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테더 코인은 비트코인 옴니 레이어 미국 달러 테더, 비트코인 옴니 레이어 유로 테더, ERC-20 토큰으로 사용되는 달러화 테더, ERC-20 토큰으로 사용되는 유로화 테더 총 4개의 테더 토큰이 존재한다.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지불되지 않은 테더의 수는 약 1,000만 달러에서 28억 달러로 증가했다. 2018년 상반기만 해도 테더는 비트코인 거래량의 약 10%를 차지했으나 중반기에는 비트코인 물량의 80%를 차지했다. 2018년 6월 기준 테더는 현재 10번째로 큰 암호화폐다. 2017년 말 테더의 가격 조작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에 절반을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2018년 8월 5억 달러 이상의 테더가 발행되었다. 2018년 10월 15일 비트파이넥스 거래자들이 테더와 비트코인을 교환하면서 인식된 신용위험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잠시 0.88달러로 떨어졌다.

특징

안정적인 암호화폐

테더(tether)는 영어로 동물을 말뚝에 묶는 행위 혹은 동물을 묶어 놓는 ‘밧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1테터 코인(USDT)에는 1달러가 ‘묶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업계에서는 1테터 코인(USDT)당 1달러가 ‘페깅(pegging)’ 되어있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변동성이 심한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테더는 가격이 항상 안정적인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비트코인을 통해 알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는 것처럼 테더로 알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어 테더의 거래량은 상당하다. 테더의 24시간 거래량은 비트코인이더리움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고 한다.[1]

보유증명 합의 알고리즘

테더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옴니코어(Omnicore) 알고리즘 기반의 전자 지갑을 통해 발행되며,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발행 과정의 신뢰성을 인증한다. 테더는 은행에 법정화폐를 입금하면, 입금한 금액과 동일한 양의 테더를 발행한다. 이때 입금한 법정화폐와 발행한 테더의 양이 일치함을 증명하는 방식이 보유증명(PoR : Proof of Reserves)이다. 입금된 법정화폐의 금액과 발행된 테더의 수량이 일치하면 “완전히 예치됨(Fully Reserved)”이라고 홈페이지에 공표하며 사용자에게 테더에 대한 신뢰를 증명한다.[2]

자금 흐름 과정

1단계, 사용자가 테더 리미티드의 은행 계좌에 법정화폐를 예금한다.

2단계, 테더 리미티드에서는 사용자의 테더 계정을 생성하고 크레딧을 부여하여 테더는 순환한다. 사용자에 의해 예치된 법정화폐의 양과 사용자에게 발급된 테더의 양은 동일하다.

3단계, 사용자는 테더로 거래뿐만 아니라 p2p 오픈 소스, 익명 비트코인 기반 플랫폼을 통해 테더를 전송, 교환 및 저장할 수 있다.

4단계, 사용자는 환급을 위해 테더 리미티드를 사용하여 테더를 법정화폐로 보관한다.

5단계, 테더 리미티드는 테더를 파괴하고 사용자의 은행 계좌로 법정화폐를 보낸다.

사용자는 교환이나 다른 개인을 통해 전술한 프로세스 외부에서 테더를 얻을 수 있다. 일단 테더가 순환되면 어떤 사업이나 개인 사이에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더의 사용자는 거래소 비트파이넥스로부터 테더를 구입할 수 있으며 곧이어 교환도 늘 것이다. 기금 흐름도를 통해 전달될 주요 개념은 테더 리미티드만이 테더를 유통시킬 수 있는 유일한 당사자라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 지불능력이 유지되는 주요 과정이다.[3]

중앙 발행 체계

테더는 비트파이넥스와 같은 거래소에서 직접 발행해 유통한다. 이 특징 때문에 2017년 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테더를 의도적으로 대량 발행해 시장에 유입시키고 비트코인 가격을 조작해 투자자가 테더를 높은 가격에 매수하도록 유도하고 달러로 자금을 세탁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00% 달러와 연동

국내거래소의 경우 실명확인 후 원화(KRW)를 거래소에 입금하면 바로 암호화폐를 살 수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해외 거래소의 경우 달러 같은 법정화폐로 즉시 암호화폐를 구입하는 것이 불가능해 해당 코인을 사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신용카드 결제 및 은행 송금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래소에 법정 화폐를 입금해 테더 코인을 구매한 후 이 테더 코인으로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테더 코인(USDT)은 암호화폐 안의 법정화폐라고 볼 수 있다.

장점

  • 테더는 덜 개발된 알트코인 블록체인 대신 비트코인 블록체인 또는 중앙 집중식 개인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행되는 폐쇄된 소스 소프트웨어 내에 존재한다.[3]
  • 테더는 비트코인처럼 사용할 수 있다. 비트코인이나 기타 암호화가 가능한 것처럼 테더와 상인, 교환, 지갑 등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3]
  • 테더 리미티드에는 예비자산의 관리자로서 당사자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예비비 수행을 위한 접근방식이 사용된다.[3]
  • 테더는 옴니 레이어 프로토콜의 속성을 이어 받아 분산형 교환, 브라우저 기반, 오픈 소스, 지갑 암호화, 비트코인 기반의 투명성, 책임성, 다자간 보안 및 보고 기능을 포함한다.[3]
  • 테더를 발행하거나 상환할 때 어떠한 가격이나 유동성 제약에도 직면하지 않는다. 테더의 사용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만큼의 테더를 빠르고 매우 낮은 수수료로 구입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3]
  • 테더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시장력에 의존하지 않고 1:1 비율로 보유고를 유지하므로 블랙 스완(Black Swan), 유동성 경색 등 시장 리스크에 직면하지 않는다. 테더의 1:1 지원 구현은 비기술적 사용자가 담보화 기법이나 파생 전략과 반대로 이해하기 더 쉽다.[3]

테더에 대한 의혹

회계 감사 보고서 논란

2017년 9월 테더 회계 감사에서 테더 코인 발행량은 4억 2,000여만 개로 확인되었고 비트파이넥스 법인통장에 약 4억 4,300만 달러 잔액이 확인되었다. 문제는 2017년 11월에서 12월 한 달 사이에 19억이라는 테더가 대량으로 발행되었는데 이에 맞춰 은행 잔액이 늘어났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 이후 테더사는 추가로 회계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았다.

테더 지갑 해킹

테더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는 이 시기에 2017년 11월 테더 지갑이 해킹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따로 보관되고 있던 3백 십억 달러 상당의 테더 코인이 도난되어 허가받지 않은 외부의 비트코인 주소로 송금되었다며 테더사는 이번 사건에 대해 "외부 침입자에 의한 고의적인 사건"이라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테더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한 회사가 아니냐는 의혹이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고 테더는 달러화에 1:1로 대응하는 테더는 발행량만큼 달러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나 이에 대한 근거가 전혀 없다고 보고 있다. 이를 근거로 업계는 테더 해킹 사건에 대해 외부해킹에 의한 도난이 아닌 내부자의 소행으로 예상했다. 테더 코인(USDT)을 원하는 만큼 발행해 비트파이넥스 등 내부거래에 이용하고, 비트코인의 가격 조작에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다. 결국 이번 테더 해킹 사건은 임의로 발행한 테더가 해킹되어 도난당한 것처럼 꾸미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며 당시 테더에 대한 신뢰가 급격히 떨어졌다.[4][5]

테더 청문회

2018년 2월 열린 암호화폐 관련 미국 상원 청문회는 일명 ‘테더(Tether) 청문회’와 다를 바 없었다. 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테더를 조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신규 테더를 대량 발행하는 테더 리미티드(Tether Limited)와 테더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에 예치된 금액 이상의 테더를 발급해 비트코인 가격을 조작했다는 의혹으로 청문회 소환장을 발부했다. 그리고 이 무렵 시장에는 2017년 말 암호화폐 대폭락의 주범으로 테더를 지목하기도 하며 테더를 이용한 작전 세력의 작품이었다는 음모론과 함께 테더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었다.

테더 시장조작 보고서

미국 텍사스대 존 그리핀(John Griffin)교수와 아민 샴스(Amin Shams)는 2018년 6월 시장에 유입된 테더 25억 개와 비트코인 가격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2017년 비트코인이 호황일 때, 인위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을 부풀리기 위해 테더를 사용했다는 66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테더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중 1%미만이 비트코인의 급격한 상승 중 50%에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비트코인 가격이 월말마다 부정적 압력이 가해지는 경향은 테더와 연결된 달러 보유액이 월말마다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으로 비트코인을 판매하여 채워왔다고 주장하였다. 테더가 사기로 판명 난다면 각국 거래 규제하고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암호화폐 시장이 파괴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당장 한 회사라고 일컬어지는 비트파이넥스를 포함한 테더 코인을 사용하고 있는 주요 해외 거래소가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장기적인 문제로는 암호화폐에 대한 신뢰도가 추락할 수 있다.[6]

테더 의혹에 대한 반박

  • 테더 태환(兌換) 달러

루이스 프리미연방수사국(FBI) 국장이 설립한 법률 회사 FSS가 발행량만큼 충분한 달러 잔액을 보유하고 있다는 감사 보고서를 공개했다. 또한 조셉 루빈(Joseph Lubin) 이더리움 공동 창시자도 테더에 대한 신뢰를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테더의 계좌를 직접 확인하기 전에는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며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7]

  • 비트코인과 상관관계 없음

테더를 사기로 단정 지을 수 없을뿐더러 테더의 시가총액은 전체 암호화폐 규모의 0.5%밖에 차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번 테더 사태가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호주 퀸즈랜드대학 경영대학원에 출강하는 왕춘웨이(Wang Chun Wei) 박사는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과 테더와의 교환 비율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논문을 발표하기로 했다.[8] “테더 발행이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왕춘웨이 박사는 연구 결과 테더는 잠재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면 발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과 테더 거래량의 증가로 이어졌으나 테더 발행이 비트코인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미미하며, 따라서 테더 발행은 비트코인 가격 조작의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없다고 기술했다.

테더 보유현황 2018년 11월 30일(tether Balances Nov 30, 2018)

전망

수많은 논란과 불안요소에도 불구하고 테더(Tether)는 코인들의 가치 변동성이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활발하게 통용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가장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미 많은 거래소는 미국 달러(USD) 대신에 테더(USDT)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테더가 설계된 목적이 투자대상이 아닌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소 중앙화되어 있는 테더를 통한 결제 및 거래는 법정화폐로 결제하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테더를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코인마켓캡 2018년 12월 11일 기준, 1USDT는 1달러 (1,144원)이고 시가 총액은 2조 125억 원으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테더의 공급량은 25억 USDT이고 이 중 18억 5,642USDT가 유통 중에 있다. 또한, 테더의 일일 거래량은 3조 547억 원으로 비트코인에 이어 2위에 올라있다. [9]

테더는 시장을 선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태환 화폐이다.(tether is leader solutions and pegging dollar)

각주

  1. economad, <(운명의 코인을 찾아서7) 테더(USDT)〉, 《블록미디어》 , 2018-02-06
  2. 이동혁 기자, <(인사이트) 테더(USDT)에 대하여〉, 《블록인프레스》 , 2018-07-17
  3. 3.0 3.1 3.2 3.3 3.4 3.5 3.6 Tether: Fiat currencies on the Bitcoin blockchain〉, 《tether whitepaper》, 2016-06
  4. 도요한 기자, <테더, 해킹 피해로 3천만 달러 자금 유출…일부에서는 자작극 의혹〉, 《토큰포스트》 , 2017-11-21
  5. 봉성창 기자, <암호화폐 대폭락 '검은 금요일' 주범 지목 '테더'를 아시나요?〉, 《비즈한국》 , 2018-02-02
  6. 비트웹 편집국, 〈테더(USDT)가 비트코인 시장을 조작했다?〉, 《비트웹》, 2018-06-14
  7. 김철현 기자, <이더리움 공동 창시자 "테더 믿는다, 하지만…"〉, 《아시아경제》 , 2018-08-31
  8. 한경비즈니스, <비트코인의 대안으로 떠오른 ‘스테이블 코인’〉, 《한국경제매거진》 , 2018-10-10
  9. "Tether (USDT)", coinmarketcap, 2018-12-11

참고자료

영어
한국어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테더 문서는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