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위젯"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위젯'''(widget)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 달력, 계산기, 뉴스, 주식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 프로그램이다. ==...)
 
6번째 줄: 6번째 줄:
 
==구분==
 
==구분==
 
*'''데스크탑 위젯'''
 
*'''데스크탑 위젯'''
: 데스크탑 위젯은 사용자의 PC에 위젯 엔진을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형태로 컴퓨터의 바탕화면에서 작동한다. 장점은 리소스를 인터넷으로 공급받는 웹 위젯이나 모바일 위젯에 비해 파일 용량이 적다는 것이다.<ref name="들여다보기">〈[https://jdasan.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위젯(Widg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09-03-22</ref> 또한, 웹페이지 접속 없이 PC 구동과 함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ref name="맛있는 여행">갈릭, 〈[https://m.blog.naver.com/yk60park/110170507837 위젯 widget 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3-06-20</ref>, 시각적 요소가 뛰어나고 기능이 좋다. 사용 속도도 빠르다. 하지만 단점은 설치기반이라 사용이 불편하고, 플랫폼에 종속적이다. <!--작성중--> 대표적으로 애플의 대시보드, 윈도우 사이드바과 가젯, 구글의 데스크톱 가젯, 네이버 데스크톱이 있다. 웹 위젯과 기술적 차이는 별로 없으나 작동 플랫폼이 달라 패키지 형식을 갖고, 위젯  
+
: 데스크탑 위젯은 사용자의 PC에 위젯 엔진을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형태로 컴퓨터의 바탕화면에서 작동한다. 장점은 리소스를 인터넷으로 공급받는 웹 위젯이나 모바일 위젯에 비해 파일 용량이 적다는 것이다.<ref name="들여다보기">〈[https://jdasan.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위젯(Widg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09-03-22</ref> 또한, 웹페이지 접속 없이 PC 구동과 함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ref name="맛있는 여행">갈릭, 〈[https://m.blog.naver.com/yk60park/110170507837 위젯 widget 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3-06-20</ref>, 시각적 요소가 뛰어나고 기능이 좋다. 사용 속도도 빠르다. 하지만 단점은 설치기반이라 사용이 불편하고, 플랫폼에 종속적이다.<ref name="유씨씨모아">유씨씨모아, 〈[https://uccmoa.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A%B5%AC%EB%B6%84-%EB%B0%8F-%ED%8A%B9%EC%A7%95-%EA%B3%BC-%EC%9B%BE%EC%9C%84%EC%A0%AF%EC%9D%98-%EC%9E%A5%EB%8B%A8%EC%A0%90 위젯(Widget) 구분 및 특징과 웹위젯의 장단점]〉, 《티스토리》, 2007-10-24</ref> 서비스 제공자마다 고유의 위젯 엔진을 제공하기 때문에 위젯 상호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ref name="맛있는 여행"></ref>   대표적으로 애플의 대시보드, 윈도우 사이드바과 가젯, 구글의 데스크톱 가젯, 네이버 데스크톱이 있다. 웹 위젯과 기술적 차이는 별로 없으나 작동 플랫폼이 달라 패키지 형식을 갖고, 위젯 구성 문서(widget configuration document)를 포함하며, 공유버튼이 없다는 부분에서 웹 위젯과 차이가 있다.<ref name="보박스">보노리,〈[https://bonory.tistory.com/5?srchid=BR1http%3A%2F%2Fbonory.tistory.com%2F5%20[%EC%B6%9C%EC%B2%98]%20%EC%9C%84%EC%A0%AF%20&%20%EA%B0%80%EC%A0%AF%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E%91%EC%84%B1%EC%9E%90%20%EC%A2%8B%EC%9D%80%EC%83%9D%EA%B0%81 웹 패러다임을 바꾸는 위젯]〉, 《티스토리》, 2009-02-05</ref>
  
 
*'''웹 위젯'''
 
*'''웹 위젯'''
:
+
: 웹 위젯은 블로그와 카페 등 웹사이트에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위젯으로 위젯을 이용해 그동안 웹사이트가 갖지 못했던 기능들을 쉽게 보완할 수 있다.<ref name="들여다보기"></ref> 장점은 HTML 기반의 웹 페이지나 블로그,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가 웹에 있어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하지않고, 위젯이 설치된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어 '퍼가기' 기능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다.<ref name="맛있는 여행"></ref> HTML 기반의 웹페이지에서 단일 기능을 수행하는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며, 웹서비스로 연결통로 및 소비 채널 역할을 한다. 웹이 된다면 어느곳에서나 위젯의 사용이 가능하고 위젯 제작 도구를 제공하고 있어서 개인이 위젯을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위젯 배포사이트의 경우 보유한 위젯의 종류가 많고, 위젯의 수와 종류, 사용자 수 등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용량도 작고 가벼우며, 빠르기 때문에 모바일 시장에도 잘 어울리며 플랫폼 사이의 호환성 또한 좋다. 하지만 단점은 사용하는데 기능적인 제한이 있고, 속도가 느리며 시각적 요소가 떨어진다. 위젯이 통합적으로 제공되지않고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소수로 사용하면 느리지않지만 여러개를 한 페이지안에 넣게 되면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개발 도구를 제공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유형의 서비스가 위젯으로 만들어지기 때무넹 좋은 위젯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ref name="유씨씨모아"></ref> 대표적으로 해외에서는 클리어스피링과 위젯박스, 국내에서는 위자드 닷컴과 인사이트 미디어 등이 웹 위젯을 제공한다.<ref name="들여다보기"></ref> 데스크톱 위젯과 비교하여 이동이 가능한 위젯이라는 점과 사업자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위젯 에코시스템(widget ecosystem)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또는 전략적으로 웹 위젯 환경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기본적으로 웹페이지에서 제공이 가능한 콘텐츠의 제공이 모두 가능하다.<ref name="보박스"></ref>
  
 
*'''모바일 위젯'''
 
*'''모바일 위젯'''
:  
+
: 모바일 위젯은 모바일기기(휴대폰)에서 구현되는 위젯을 말한다. WAP 방식에서의 콘텐츠 제공방법은 모바일 전용 환경을 구축해야만 하며, 중간에 WAP 게이트웨이 서버가 필요하다. 장점으로는 WAP 브라우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대기화면에 위젯을 둠으로써 대기화면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풀 브라우징이 등장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게 되면서 모바일 위젯은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이는 콘텐츠 소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다.<ref name="보박스"></ref> 또한 LBS, MMS 연동 등 무선환경 인프라 및 서비스를 매시업할 수 있어 데스크탑, 웹위젯이 보여주지 못했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위젯은 과금체계가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유료화에도 가능성을 보인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웹 데스트탑 모바일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위젯이 등장하여 차별성이 떨어지며, 플랫폼 디바이스의 한계가 존재한다.<ref name="유씨씨모아"></ref> 대표적으로 아이폰, KTF Show 등을 예로 들수있다. 모바일 위젯은 웹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바일 위젯과 모바일 기기 자체기능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웹 기술로 만든 위젯으로 나뉜다.<ref name="보박스"></ref>
  
 
==특징==
 
==특징==
22번째 줄: 22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jdasan.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위젯(Widg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09-03-22
 
* 〈[https://jdasan.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위젯(Widg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09-03-22
*  
+
* 갈릭, 〈[https://m.blog.naver.com/yk60park/110170507837 위젯 widget 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3-06-20
 +
* 유씨씨모아, 〈[https://uccmoa.tistory.com/entry/%EC%9C%84%EC%A0%AFWidget-%EA%B5%AC%EB%B6%84-%EB%B0%8F-%ED%8A%B9%EC%A7%95-%EA%B3%BC-%EC%9B%BE%EC%9C%84%EC%A0%AF%EC%9D%98-%EC%9E%A5%EB%8B%A8%EC%A0%90 위젯(Widget) 구분 및 특징과 웹위젯의 장단점]〉, 《티스토리》, 2007-10-24
 +
* 보노리,〈[https://bonory.tistory.com/5?srchid=BR1http%3A%2F%2Fbonory.tistory.com%2F5%20[%EC%B6%9C%EC%B2%98]%20%EC%9C%84%EC%A0%AF%20&%20%EA%B0%80%EC%A0%AF%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E%91%EC%84%B1%EC%9E%90%20%EC%A2%8B%EC%9D%80%EC%83%9D%EA%B0%81 웹 패러다임을 바꾸는 위젯]〉, 《티스토리》, 2009-02-05
  
 
==같이보기==
 
==같이보기==
  
 
{{프로그래밍|검토 필요}}
 
{{프로그래밍|검토 필요}}

2020년 9월 17일 (목) 12:21 판

위젯(widget)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 달력, 계산기, 뉴스, 주식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 프로그램이다.

개요

구분

  • 데스크탑 위젯
데스크탑 위젯은 사용자의 PC에 위젯 엔진을 설치하고 구동시키는 형태로 컴퓨터의 바탕화면에서 작동한다. 장점은 리소스를 인터넷으로 공급받는 웹 위젯이나 모바일 위젯에 비해 파일 용량이 적다는 것이다.[1] 또한, 웹페이지 접속 없이 PC 구동과 함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2], 시각적 요소가 뛰어나고 기능이 좋다. 사용 속도도 빠르다. 하지만 단점은 설치기반이라 사용이 불편하고, 플랫폼에 종속적이다.[3] 서비스 제공자마다 고유의 위젯 엔진을 제공하기 때문에 위젯 상호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2] 대표적으로 애플의 대시보드, 윈도우 사이드바과 가젯, 구글의 데스크톱 가젯, 네이버 데스크톱이 있다. 웹 위젯과 기술적 차이는 별로 없으나 작동 플랫폼이 달라 패키지 형식을 갖고, 위젯 구성 문서(widget configuration document)를 포함하며, 공유버튼이 없다는 부분에서 웹 위젯과 차이가 있다.[4]
  • 웹 위젯
웹 위젯은 블로그와 카페 등 웹사이트에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위젯으로 위젯을 이용해 그동안 웹사이트가 갖지 못했던 기능들을 쉽게 보완할 수 있다.[1] 장점은 HTML 기반의 웹 페이지나 블로그,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가 웹에 있어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하지않고, 위젯이 설치된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어 '퍼가기' 기능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다.[2] HTML 기반의 웹페이지에서 단일 기능을 수행하는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며, 웹서비스로 연결통로 및 소비 채널 역할을 한다. 웹이 된다면 어느곳에서나 위젯의 사용이 가능하고 위젯 제작 도구를 제공하고 있어서 개인이 위젯을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위젯 배포사이트의 경우 보유한 위젯의 종류가 많고, 위젯의 수와 종류, 사용자 수 등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용량도 작고 가벼우며, 빠르기 때문에 모바일 시장에도 잘 어울리며 플랫폼 사이의 호환성 또한 좋다. 하지만 단점은 사용하는데 기능적인 제한이 있고, 속도가 느리며 시각적 요소가 떨어진다. 위젯이 통합적으로 제공되지않고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소수로 사용하면 느리지않지만 여러개를 한 페이지안에 넣게 되면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개발 도구를 제공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유형의 서비스가 위젯으로 만들어지기 때무넹 좋은 위젯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3] 대표적으로 해외에서는 클리어스피링과 위젯박스, 국내에서는 위자드 닷컴과 인사이트 미디어 등이 웹 위젯을 제공한다.[1] 데스크톱 위젯과 비교하여 이동이 가능한 위젯이라는 점과 사업자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위젯 에코시스템(widget ecosystem)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또는 전략적으로 웹 위젯 환경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기본적으로 웹페이지에서 제공이 가능한 콘텐츠의 제공이 모두 가능하다.[4]
  • 모바일 위젯
모바일 위젯은 모바일기기(휴대폰)에서 구현되는 위젯을 말한다. WAP 방식에서의 콘텐츠 제공방법은 모바일 전용 환경을 구축해야만 하며, 중간에 WAP 게이트웨이 서버가 필요하다. 장점으로는 WAP 브라우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대기화면에 위젯을 둠으로써 대기화면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풀 브라우징이 등장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게 되면서 모바일 위젯은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이는 콘텐츠 소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다.[4] 또한 LBS, MMS 연동 등 무선환경 인프라 및 서비스를 매시업할 수 있어 데스크탑, 웹위젯이 보여주지 못했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위젯은 과금체계가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유료화에도 가능성을 보인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웹 데스트탑 모바일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위젯이 등장하여 차별성이 떨어지며, 플랫폼 디바이스의 한계가 존재한다.[3] 대표적으로 아이폰, KTF Show 등을 예로 들수있다. 모바일 위젯은 웹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바일 위젯과 모바일 기기 자체기능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웹 기술로 만든 위젯으로 나뉜다.[4]

특징

종류

각주

  1. 1.0 1.1 1.2 위젯(Widget)이란 무엇인가?〉, 《티스토리》, 2009-03-22
  2. 2.0 2.1 2.2 갈릭, 〈위젯 widget 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3-06-20
  3. 3.0 3.1 3.2 유씨씨모아, 〈위젯(Widget) 구분 및 특징과 웹위젯의 장단점〉, 《티스토리》, 2007-10-24
  4. 4.0 4.1 4.2 4.3 보노리,〈[%EC%B6%9C%EC%B2%98%20%EC%9C%84%EC%A0%AF%20&%20%EA%B0%80%EC%A0%AF%EC%9D%B4%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EC%9E%91%EC%84%B1%EC%9E%90%20%EC%A2%8B%EC%9D%80%EC%83%9D%EA%B0%81 웹 패러다임을 바꾸는 위젯]〉, 《티스토리》, 2009-02-05

참고자료

같이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위젯 문서는 프로그래밍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