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지엑스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8번째 줄: 18번째 줄:
  
 
더불어 GEMMA의 기술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더불어 GEMMA의 기술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1) 친환경적이고 독자적인 GPOS 합의 메커니즘 활용
+
(1) 친환경적이고 독자적인 GPOS 합의 메커니즘 활용
(2) GPOS에 의한 노드 확장성과 보안성 확보
+
(2) GPOS에 의한 노드 확장성과 보안성 확보
(3) 멀티체인 기술로 높은 트랜잭션 속도 구현
+
(3) 멀티체인 기술로 높은 트랜잭션 속도 구현
(4) 탈중앙 NFT 지원으로 탈중앙 환경에 보다 근접
+
(4) 탈중앙 NFT 지원으로 탈중앙 환경에 보다 근접
(5) 양도 불가능 NFT 지원을 통한 NFT 시장 확대
+
(5) 양도 불가능 NFT 지원을 통한 NFT 시장 확대
(6) 메타데이터 저장 및 조회가 가능한 LEMMA Chain을 통한 WEB 3.0 지원
+
(6) 메타데이터 저장 및 조회가 가능한 LEMMA Chain을 통한 WEB 3.0 지원
(7) 낮은 수수료 환경 지원
+
(7) 낮은 수수료 환경 지원
(8) 영지식 증명 방식을 통해 정보 보안성 제공
+
(8) 영지식 증명 방식을 통해 정보 보안성 제공
(9)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브릿지 환경 조성
+
(9)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브릿지 환경 조성
(10) 자체 설명 인터페이스와 50개의 다국어 사용자 가이드 제공 (오픈소스)
+
(10) 자체 설명 인터페이스와 50개의 다국어 사용자 가이드 제공 (오픈소스)
 
 
  
 
==역사==
 
==역사==

2022년 4월 26일 (화) 17:43 판

GXT(Gemma Extending Tech)
GEMMA(Gemma Extending Tech)


개요

GEMMA EXTENDING TECH는 2019년에 처음 시작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초기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플랫폼 생태계를 구현해왔으나, 2022년 상반기에 리뉴얼을 거치며 자체 메인넷 GEMMA Network를 개발하였다. GEMMA Network는 Tier 1과 Tier2로 구성되며, 확장성, 탈중앙성, 그리고 보안성을 갖는다. GXT는 GEMMA Network의 네이티브 토큰이다. GEMMA는 안정적인 GEMMA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GEMMA 플랫폼의 확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EMMA Network는 퍼블릭 블록체인인 GEMMA Blockchain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LEMMA Chain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이다. GEMMA blockchain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LEMMA chain은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고 상호작용한다. 또한 GEMMA Network는 GPoS알고리즘을 자체 제작하였다.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구성요소인 확장성, 탈중앙성, 보안성은 아래와 같이 해결되었다.

확장성: 높은 TPS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무한히 확장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속도가 높으면 상호작용하는 유저의 수와 유치할 수 있는 dApp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탈중앙성: GEMMA DEX와 GEMMA Network의 자체 거버넌스 토큰이 지닌 독자적인 특징으로, DAO 체계의 탈중앙성을 확보하였다. 더불어 GEMMA의 탈중앙 거래소는 GEMMA 블록체인을 바탕으로 하며 스왑, 리퀴디티, 일딩, 그리고 파밍이 가능하다.

보안성: 퍼블릭 블록체인의 장점인 탈중앙 합의 방식을 유지함으로써 수많은 노드가 합의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GEMMA는 단일 장애 지점을 해결하기 위해 앱 서버를 추가하였다. 로드밸런서는 라운드 로빈 접근법을 사용해 트래픽을 라우팅 할 앱 서버를 결정한다. 이 때 만약 특정 서버가 다운될 경우, 다른 서버가 요청에 따라 작동한다. 앱 서버는 기본 데이터베이 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데이터베이스가 예비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기본 데이터베이스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보조 데이터베이스가 작업을 인계받을 수 있도록 두 데이터베이스가 동기화되는 것이다.

더불어 GEMMA의 기술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

(1) 친환경적이고 독자적인 GPOS 합의 메커니즘 활용
(2) GPOS에 의한 노드 확장성과 보안성 확보
(3) 멀티체인 기술로 높은 트랜잭션 속도 구현
(4) 탈중앙 NFT 지원으로 탈중앙 환경에 보다 근접
(5) 양도 불가능 NFT 지원을 통한 NFT 시장 확대
(6) 메타데이터 저장 및 조회가 가능한 LEMMA Chain을 통한 WEB 3.0 지원
(7) 낮은 수수료 환경 지원
(8) 영지식 증명 방식을 통해 정보 보안성 제공
(9)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브릿지 환경 조성
(10) 자체 설명 인터페이스와 50개의 다국어 사용자 가이드 제공 (오픈소스)

역사

GXT2.0 (2019 ~ 2021)

GXT3.0 (2022 ~ )

주요인물

비전

기술

GEMMA NETWORK

GEMMA Blockchain

노드

SPOF

Transaction Per Second (TPS)

스마트 컨트랙트

ZK-SNARK

GEMMA Explorer

GEMMA Blockchain 토큰

GPOS

LEMMA Chain

하이퍼레저 패브릭

LEMMA 업로더

LEMMA 익스플로러

NFT Minting

TAG Explorer

GEMMA 지원도구

GEMMA 탈중앙 거래소

Liquidity Pool

GEMMA Pool

GEMMA 스와핑 플랫폼

GEMMA 파밍 플랫폼

GEMMA 복권 플랫폼

GEMMA 모바일 지갑

GEMMA 브릿지

스테이킹 플랫폼

GEMMA 플래닛

콜럼버스(Columbus)

마이닝 헌터

크립토 스톤

로드맵

파트너사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지엑스티 문서는 암호화폐 종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