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해시넷
Liqingli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25일 (목) 16:36 판 (역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시청은 중리동에 있고, 2읍 8면 4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개요

  • 행정 단위: 대한민국 경기도 도시
  • 면적: 497.9km²
  • 인구: 218,388명 (2020년)
  • 시청 소재지: 경기도 이천시 부악로 40
  • 시장: 엄태준(더불어민주당)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s:https://www.icheon.go.kr/portal/index.do

지도

역사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제20대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의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제23대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제34대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제 3대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

  • 1914년 4월 1일 음죽군을 이천군에 통폐합하였다.
  •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
  • 1966년 4월 21일 대월면에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4월 1일 부발면을 부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
  • 1996년 5월 1일 대월면 가운데 초지출장소가 관리하지 않는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였다.
  • 2003년 2월 10일 창전동에서 증포동을 분동하였다.
  •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다.

지리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가 27km, 남북간 거리가 36km로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에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음으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과 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로써 좋은 산업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행정 구역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부발읍(夫鉢邑)
  • 장호원읍(長湖院邑)
  • 대월면(大月面)
  • 마장면(麻長面)
  • 백사면(栢沙面)
  • 신둔면(新屯面)
  • 설성면(雪星面)
  • 호법면(戶法面)
  • 모가면(暮加面)
  • 율면(栗 面)
  • 관고동(官庫洞)
  • 중리동(中里洞)
  • 증포동(增浦洞)
  • 창전동(倉前洞)

참고자료

같이 보기

  1. 넘겨주기 틀:한국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