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체인

해시넷
218.146.11.241 (토론)님의 2018년 8월 8일 (수) 16:2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파일:시그마체인.png
시그마체인(Sigma Chain) 로고

시그마체인(Sigma Chain)은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싸이월드 개발책임자 출신인 곽진영(Go)와 노드제이에스(node.js)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했다. 시그마체인은 블록체인 운영체제(OS)를 지향한다. 시그마체인 플랫폼 위에 다양한 디앱(DApp) 서비스를 올릴 수 있다. ㈜시그마체인의 곽진영 대표이사는 2018년 연내에 시그마체인 기반의 SNS 서비스인 퓨처피아(Futurepia)를 개발하여 오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1] 퓨처피아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추천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퓨처피아코인을 제공할 계획이다.

역사

대한민국 최초 온라인 커뮤니티인 ‘싸이월드’를 개발한 곽진영 대표는 국내 최고의 SNS 정보 기술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촌끼리 정보를 공개하고, 비밀스러운 대화들이 주를 이루는 싸이월드는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커뮤니티를 구현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였다. 그 후, 2015년 곽진영은 싸이월드 개발을 발판삼아 개인별 서버를 활용해 다양한 내용물을 데이터 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공유할 수 있는 신개념 모바일 메신저 ‘깡통’을 개발했다. 또, 그는 SNS 솔루션 ‘터치’를 개발하기도 했다. 터치는 사이버 개인 공간인 싸이월드와 스마트폰 메신저 카카오톡의 장점에다 각종 부가기능을 더한 스마트폰용 메신저 SNS 서비스다. 즉, 일정과 기록, 나아가서는 서로가 지닌 정보와 자료, 인간관계, 취향까지도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싸이월드 이후에도 10여 년간 SNS를 연구개발하면서 드디어 2018년 블록체인 기반의 SNS 통합 서비스인 퓨처피아를 개발했다. 퓨처피아는 ㈜시그마체인의 브랜드로서, SNS 시장에서 서비스 적용 가능한 분산화 네트워크(Decentralized Networks)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다. 목표는 시그마체인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생태계가 확장될 수 있도록 각 서비스나 디앱에 메인넷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블록체인 기반 디앱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활용해 자체 코인도 발행할 수 있다.

DDPOS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의 상용화 서비스에 관하여 요즘 많은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속도와 보안이다. 지금까지의 합의 알고리즘의 발전 단계를 요약하자면, 채굴기의 해시파워를 이용하여 넌스값을 대입해 블록을 생성하는 PoW(Proof of work) 방식에서부터 지분증명을 통해 인증과 검증의 자격을 부여받는 PoS(Proof of stake) 방식, 여기에 대표 노드를 선출하여 합의를 도출해 내는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다양한 알고리즘 방식을 도입하여 속도와 보완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시그마체인이 개발한 DDPoS는 이오스나 스팀잇에서 사용중인 엔진에 비하여 보안성이 2배 뛰어나고,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시킨 합의 알고리즘이다. PoS방식을 개선한 DPoS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투표를 통해 선출된 일정수의 마스터 노드에 퓨처피아의 자체 알고리즘으로 선출한 시그마 노드를 랜덤하게 결합하여 대표 노드를 선출한 후 합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즉, DDPoS는 DPoS에 검증 절차를 한 단계 추가된 방식으로, 선출된 증인(마스터 노드) 외에도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임의의 노드(시그마 노드)가 교차 검증을 한다. DDPoS는 PoW방식의 단점인 트랜젝션 처리속도와 DPoS의 보안부분을 한층 강화한 암호화된 알고리즘으로, 현재 국제특허출원 중에 있다.[2]

블록생성 주기

현재 이더리움 15TPS, 퀀텀 100TPS, 네오 10,000TPS인 반면 시그마체인은 기존 블록체인의 단점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100,000TPS로 끌어 올렸다. 현존하는 타 프로토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전송 수수료도 무료이다. 또, 메인넷 자체를 각 디앱에 API 형태로 제공한다. 그래서 단일 메인넷을 여러 디앱이 공유하는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과 달리 과부하 우려가 적다.


각주

  1. 박정은 기자, 〈이오스 게 섯거라… 한국형 3세대 블록체인 '시그마체인' 등판〉, 《전자신문》, 2018-06-14
  2. Futurpia, FUTUREPIA_WhitePaper_ver.2.0_KO, 2018-07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