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팍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이 보기)
3번째 줄: 3번째 줄:
 
글로벌 거래를 위해 '''[[다이]]'''(DAI)라는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를 만들었다.
 
글로벌 거래를 위해 '''[[다이]]'''(DAI)라는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를 만들었다.
  
 +
==개요==
 +
[[고팍스]](GOPAX)는 원화로 거래 가능한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2018년 8월 29일 거래 액수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5위, 세계에서 70위이다.<ref>〈[https://namu.wiki/w/%EA%B3%A0%ED%8C%8D%EC%8A%A4 고팍스]〉, 《나무위키》, 2018-08-29 </ref>
 +
'스트림와이어'라는 [[블록체인]] 송금서비스를 개발해 신한은행으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은 (주)스트리미가 개설했다.
 +
빗썸은 한국 원화를 입금하려면 농협이나 신한은행 계좌가 필요하고, 업 비트는 한국 원화를 입금하려면 기업은행 계좌가 필요한데, 고팍스의 경우 자신이 기존에 사용하던 은행 계좌를 이용해서 고팍스 법인계좌에 한국 원화를 보내면, 몇 분 뒤에 고팍스 한국 원화 지갑에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 신한, 기업은행의 계좌가 없는 사람들도 신규 계좌 개설 없이 암호 화폐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고팍스와 다른 거래소 간의 차이다.
 +
 +
==역사==
 +
2015년 6월~7월은 금융시장은 블록체인에 대하여 관심이 없었고 정보가 부족했던 시기이다. 소수의 몇몇 외국 금융기업만이 블록체인에 관심을 가졌고, 국내에서는 신한은행이 관심을 가지면서 인큐베이터 사업을 진행했다. 그 시기에 고팍스는 인큐베이터에 합격하여 사업에 같이 참여하게 되었고, 블록체인 부분에서 1등을 수료하여 블록체인 업체로서 발걸음을 내딛었다.
 +
그해 12월부터 본격적인 투자를 받기 시작했다. 신한은행과 관계기관에서 6억 원을 투자받았고, 텍스 운용회사인 블루 포인트라는 회사에서 1억 원을 투자받고 텍스 관련해서는 포인트로 투자받았다. 투자 받은 포인트는 외국 진출 자금으로 사용되어 해외 마케팅, 컨퍼런스 비용으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의 완샹그룹과 세계의 손꼽히는 블록체인 회사에 투자하는 기업인 미국의 디지털 프라이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
이렇게 고팍스가 여러 기업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투명성이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2015년~2016년 사이에 고팍스가 처음으로 진행한 사업은 외환 송금 모델이었다.
 +
이 모델의 핵심은 비투비(B to B)로 금융기관이나 은행에 코인 서비스를 하겠다는 것이였다.
 +
금융기관이나 은행이 KYC(Know Your Customer)한 물량을 받아서 비트코인을 구매하고, 라이선스와 협력자를 추가하여 이체하는 트레이딩 모델이다. 이 모델의 의미는 공정하고 투명한 비트코인을 시장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하여 이 모델의 가치를 알아본 여러 기업이 투자한 것이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선 라이선스와 기타 문제들로 출시는 실패하였지만 2017년 1월 홍콩에서 정식 라이선스로 채택 받아 모델사업을 시작했다. <ref> 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1/2018060102105.html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 국제 서비스 ‘고팍스닷컴’ 시작]〉, 《Chosun.com》, 2018-06-01 </ref>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6261558412091 고팍스 이준행 대표 “암호화폐 시장은 무법지대…규제 시급"(종합)]〉, 《파이낸셜뉴스》, 2018-06-27
 
* 김미희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6261558412091 고팍스 이준행 대표 “암호화폐 시장은 무법지대…규제 시급"(종합)]〉, 《파이낸셜뉴스》, 2018-06-27

2018년 9월 12일 (수) 16:40 판

고팍스(Gopax)는 신한은행의 투자를 받은 ㈜스트리미가 만든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대표이사는 이준행이다.

글로벌 거래를 위해 다이(DAI)라는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를 만들었다.

개요

고팍스(GOPAX)는 원화로 거래 가능한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2018년 8월 29일 거래 액수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5위, 세계에서 70위이다.[1] '스트림와이어'라는 블록체인 송금서비스를 개발해 신한은행으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은 (주)스트리미가 개설했다. 빗썸은 한국 원화를 입금하려면 농협이나 신한은행 계좌가 필요하고, 업 비트는 한국 원화를 입금하려면 기업은행 계좌가 필요한데, 고팍스의 경우 자신이 기존에 사용하던 은행 계좌를 이용해서 고팍스 법인계좌에 한국 원화를 보내면, 몇 분 뒤에 고팍스 한국 원화 지갑에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 신한, 기업은행의 계좌가 없는 사람들도 신규 계좌 개설 없이 암호 화폐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고팍스와 다른 거래소 간의 차이다.

역사

2015년 6월~7월은 금융시장은 블록체인에 대하여 관심이 없었고 정보가 부족했던 시기이다. 소수의 몇몇 외국 금융기업만이 블록체인에 관심을 가졌고, 국내에서는 신한은행이 관심을 가지면서 인큐베이터 사업을 진행했다. 그 시기에 고팍스는 인큐베이터에 합격하여 사업에 같이 참여하게 되었고, 블록체인 부분에서 1등을 수료하여 블록체인 업체로서 발걸음을 내딛었다. 그해 12월부터 본격적인 투자를 받기 시작했다. 신한은행과 관계기관에서 6억 원을 투자받았고, 텍스 운용회사인 블루 포인트라는 회사에서 1억 원을 투자받고 텍스 관련해서는 포인트로 투자받았다. 투자 받은 포인트는 외국 진출 자금으로 사용되어 해외 마케팅, 컨퍼런스 비용으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의 완샹그룹과 세계의 손꼽히는 블록체인 회사에 투자하는 기업인 미국의 디지털 프라이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이렇게 고팍스가 여러 기업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투명성이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2015년~2016년 사이에 고팍스가 처음으로 진행한 사업은 외환 송금 모델이었다. 이 모델의 핵심은 비투비(B to B)로 금융기관이나 은행에 코인 서비스를 하겠다는 것이였다. 금융기관이나 은행이 KYC(Know Your Customer)한 물량을 받아서 비트코인을 구매하고, 라이선스와 협력자를 추가하여 이체하는 트레이딩 모델이다. 이 모델의 의미는 공정하고 투명한 비트코인을 시장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하여 이 모델의 가치를 알아본 여러 기업이 투자한 것이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선 라이선스와 기타 문제들로 출시는 실패하였지만 2017년 1월 홍콩에서 정식 라이선스로 채택 받아 모델사업을 시작했다. [2]

참고자료

같이 보기


  1. 고팍스〉, 《나무위키》, 2018-08-29
  2. 박원익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 국제 서비스 ‘고팍스닷컴’ 시작〉, 《Chosun.com》, 2018-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