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블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위블락 로고.jpg|썸네일|200픽셀|'''위블락'''(WeBloc) 로고]]
 
[[파일:위블락 로고.jpg|썸네일|200픽셀|'''위블락'''(WeBloc) 로고]]
  
'''위블락'''<!--위블록-->(We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대행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위블락은 [[아이콘]](ICON)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이다. 창시자는 [[애드포스인사이트]][[홍준]] 대표이사이다.
+
'''위블락'''<!--위블록-->(We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대행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
==소개==
 +
위블락은 아이콘(ICON)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이다. 창시자는 애드포스인사이트의 홍준 대표이사이다. 검색 및 모바일 광고에서 광고주가 아니라 사용자가 주도권을 행사하는 데이터 주권을 위한 광고 제휴 프로토콜이다.<ref>ICO 전문가 시니, 〈[https://blog.naver.com/coinselek/221352216033 들어 보셨습니까 ? 핫하다 뜨겁다 <위블락 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9-4</ref>
 +
 
 +
==창시자==
 +
위블락의 창시자는 홍준 대표이다. 그는 네이버에 재직시절 경험했던 인터넷 성장을 떠올리며  4차산업혁명의 중심에서 블록체인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기술이라고 판단했고, 그가 운영중이던 모바일 광고 기업인 포커스엠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켜 위블락을 창시했다. <ref>weBloc 블록체인플젝(official_webloc), 〈[https://blog.naver.com/official_webloc/221351597408 [공지] [weBloc 알아가기] 위블락의 시작?]〉, 《네이버 블로그》,  2018-9-3</ref>
 +
 
 +
==등장배경==
 +
위블락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AD4TH Insight의 전신인 포커스엠은 꾸준히 영업이익을 내던 모바일 광고 기업이었다. 그러나, 사업을 진행하면서, 한국의 모바일 광고 시장은 이미 네이버와 구글 등의 대기업이 장악하였기에 멀리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
 
 +
그 때 ‘한국판 이더리움’으로 유명해진 아이콘재단의 이경준 의장이 저희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몇 개월의 고민 끝에 포커스엠이 갖고 있던 광고 노하우에 블록체인을 접목하기로 결정하였고, 사명을 포커스앰에서 애드포스인사이트(AD4TH Insight)로 변경하였다.
 +
 
 +
위블락은 아이콘 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아이콘루프로부터 기술지원을 받으며 위블락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
블록체인 시스템 위에서 일어나는 거래는 투명하다는 점과 모든 참여자들이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장기간 광고 업계에서 일하며 쌓아온 노하우/네트워크 및 아이콘의 전략적 파트너라는 장점을 위블락에 적용하였다.
 +
 
 +
블록체인 상의 거래를 통해,
 +
*광고주는 광고를 하기위해 지불한 비용을 오픈한다.
 +
*미들맨의 명확한 롤과 비용이 파악된다.
 +
*소비자는 광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한다.
 +
 
 +
즉, 이런 과정을 거쳐, 위블락 플랫폼 안에서 토큰을 서로 소비하며 선순환고리가 형성되는 생태계의 구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
아이콘의 프로토콜의 확장을 목표로 잡고 아이콘 기반의 디앱(DAPP)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고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세계 최초로 TGE를 ICX로만 진행하기로 했다.
 +
플랫폼에서 모든 참여자가 의미를 가지고 윈-윈하는 구조의 광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아이콘 기반으로 ICO를 진행한 업체들과의 사전 협약 진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의 대형 광고 에이전시 / 중개사업자들과 사전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토큰을 거래하는 형태를 협의 하고 있다.
 +
<ref>weBloc 블록체인플젝(official_webloc), 〈[https://blog.naver.com/official_webloc/221351597408 [공지] [weBloc 알아가기] 위블락의 시작?]〉, 《네이버 블로그》,  2018-9-3</ref>
 +
 
 +
==서비스 정의==
 +
위블락 서비스는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무게중심을 광고주가 아닌 사용자로 이동시켜 수평 한 양방향 관계의 디지털 광고 생태계를 만들어 서비스 이다.
 +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상품, 서비스에 대한 필요 의도를 쉽게 노출하고 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참여로 형성되는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경제 가치에 대해 보상받을 수 있는 이코노미도 구현되어야 한다고 한다.
 +
 
 +
그러기 위해 기존 생태계를 토큰 이코노미 생태계로 이동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디지털 광고 시장에 제공하여 토큰화된 광고 동맹을 만들어 나간다.
 +
광고주는 토큰을 통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사용자는 참여 가치가 투명하게 평가되고 직접적인 경제 가치로 보상받을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
전략적 파트너의 지속적인 확장과 함께 보상받은 토큰은 다시 광고 집행을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선순환을 제공하여 토큰의 가치를 지속 상승시켜 나갈 수 있다.
 +
 
 +
위블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1차적으로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사용자의 가치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에서 시작하지만 결국 사용자의 의도를 직접 표현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디지털 광고 이코노미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광고에 참여 여부를 판단하여 참여 가치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한편 위블락 생태계에 직접적인 필요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을 수 있고 이 역시 광고 참여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
즉, 하는일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자면,
 +
*사용자 참여에 대한 경제적 가치: 광고 참여자가 클릭당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중개 사업자의 역할 정비: 중개업자는 광고 유통을 통해 합리적인 유통 구조를 창출한다.
 +
*중심에서 비용 목적 중심의 생태계 구축
 +
 
 +
위와 같다. 또 위블락이 지향하는 목표는 토큰화 된 광고 제휴 프로토콜이다.
 +
 
 +
 
 +
 
 +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2018년 9월 21일 (금) 15:38 판

위블락(WeBloc) 로고

위블락(We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대행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소개

위블락은 아이콘(ICON)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이다. 창시자는 애드포스인사이트의 홍준 대표이사이다. 검색 및 모바일 광고에서 광고주가 아니라 사용자가 주도권을 행사하는 데이터 주권을 위한 광고 제휴 프로토콜이다.[1]

창시자

위블락의 창시자는 홍준 대표이다. 그는 네이버에 재직시절 경험했던 인터넷 성장을 떠올리며 4차산업혁명의 중심에서 블록체인이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기술이라고 판단했고, 그가 운영중이던 모바일 광고 기업인 포커스엠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켜 위블락을 창시했다. [2]

등장배경

위블락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AD4TH Insight의 전신인 포커스엠은 꾸준히 영업이익을 내던 모바일 광고 기업이었다. 그러나, 사업을 진행하면서, 한국의 모바일 광고 시장은 이미 네이버와 구글 등의 대기업이 장악하였기에 멀리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 때 ‘한국판 이더리움’으로 유명해진 아이콘재단의 이경준 의장이 저희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몇 개월의 고민 끝에 포커스엠이 갖고 있던 광고 노하우에 블록체인을 접목하기로 결정하였고, 사명을 포커스앰에서 애드포스인사이트(AD4TH Insight)로 변경하였다.

위블락은 아이콘 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아이콘루프로부터 기술지원을 받으며 위블락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블록체인 시스템 위에서 일어나는 거래는 투명하다는 점과 모든 참여자들이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장기간 광고 업계에서 일하며 쌓아온 노하우/네트워크 및 아이콘의 전략적 파트너라는 장점을 위블락에 적용하였다.

블록체인 상의 거래를 통해,

  • 광고주는 광고를 하기위해 지불한 비용을 오픈한다.
  • 미들맨의 명확한 롤과 비용이 파악된다.
  • 소비자는 광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한다.

즉, 이런 과정을 거쳐, 위블락 플랫폼 안에서 토큰을 서로 소비하며 선순환고리가 형성되는 생태계의 구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아이콘의 프로토콜의 확장을 목표로 잡고 아이콘 기반의 디앱(DAPP)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고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세계 최초로 TGE를 ICX로만 진행하기로 했다. 플랫폼에서 모든 참여자가 의미를 가지고 윈-윈하는 구조의 광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아이콘 기반으로 ICO를 진행한 업체들과의 사전 협약 진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의 대형 광고 에이전시 / 중개사업자들과 사전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수단으로 토큰을 거래하는 형태를 협의 하고 있다. [3]

서비스 정의

위블락 서비스는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무게중심을 광고주가 아닌 사용자로 이동시켜 수평 한 양방향 관계의 디지털 광고 생태계를 만들어 서비스 이다.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상품, 서비스에 대한 필요 의도를 쉽게 노출하고 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참여로 형성되는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경제 가치에 대해 보상받을 수 있는 이코노미도 구현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 기존 생태계를 토큰 이코노미 생태계로 이동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디지털 광고 시장에 제공하여 토큰화된 광고 동맹을 만들어 나간다. 광고주는 토큰을 통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사용자는 참여 가치가 투명하게 평가되고 직접적인 경제 가치로 보상받을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전략적 파트너의 지속적인 확장과 함께 보상받은 토큰은 다시 광고 집행을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선순환을 제공하여 토큰의 가치를 지속 상승시켜 나갈 수 있다.

위블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1차적으로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사용자의 가치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에서 시작하지만 결국 사용자의 의도를 직접 표현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디지털 광고 이코노미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광고에 참여 여부를 판단하여 참여 가치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한편 위블락 생태계에 직접적인 필요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을 수 있고 이 역시 광고 참여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즉, 하는일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자면,

  • 사용자 참여에 대한 경제적 가치: 광고 참여자가 클릭당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중개 사업자의 역할 정비: 중개업자는 광고 유통을 통해 합리적인 유통 구조를 창출한다.
  • 중심에서 비용 목적 중심의 생태계 구축

위와 같다. 또 위블락이 지향하는 목표는 토큰화 된 광고 제휴 프로토콜이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1. ICO 전문가 시니, 〈들어 보셨습니까 ? 핫하다 뜨겁다 <위블락 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9-4
  2. weBloc 블록체인플젝(official_webloc), 〈[공지 [weBloc 알아가기] 위블락의 시작?]〉, 《네이버 블로그》, 2018-9-3
  3. weBloc 블록체인플젝(official_webloc), 〈[공지 [weBloc 알아가기] 위블락의 시작?]〉, 《네이버 블로그》, 201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