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조선일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사)
83번째 줄: 83번째 줄:
 
== 관계사 ==
 
== 관계사 ==
 
=== 조선방송 ===
 
=== 조선방송 ===
TV조선은 2011년 12월 1일 개국된 종합편성 방송 채널이다. 조선일보의 의지를 그대로 담아 빠르고 쉽고 공정한 언론, 건강하고 유익한 방송을 추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시청자의 공감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한민국 대표 방송을 지향한다.
+
'''[[TV조선]]'''은 2011년 12월 1일 개국된 종합편성 방송 채널이다. 조선일보의 의지를 그대로 담아 빠르고 쉽고 공정한 언론, 건강하고 유익한 방송을 추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시청자의 공감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한민국 대표 방송을 지향한다.
 
=== 디지틀조선일보 ===
 
=== 디지틀조선일보 ===
 
1995년 10월, 조선일보의 뉴미디어 계열사로 등장한 디지틀조선일보는 시야 밖에 있었던 CTS/SI 및 온·오프라인 교육(캐나다 문화 어학원/취업교육센터/국제 교육센터), 토플 TPO(ETS TOEFL Practice Online), 시티비전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며 종합 미디어그룹으로서의 비전을 실현했다.
 
1995년 10월, 조선일보의 뉴미디어 계열사로 등장한 디지틀조선일보는 시야 밖에 있었던 CTS/SI 및 온·오프라인 교육(캐나다 문화 어학원/취업교육센터/국제 교육센터), 토플 TPO(ETS TOEFL Practice Online), 시티비전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며 종합 미디어그룹으로서의 비전을 실현했다.
 
=== 조선비즈 ===
 
=== 조선비즈 ===
2010년 5월 10일, 조선일보에서는 고급 경제 경영 뉴스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온라인 경제 매체인 조선비즈를 선보였다. 증권사 HTS, 대형 포털,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등 각종 뉴스 플랫폼을 통해 고급 경제 콘텐츠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찬찬히 입지를 다져 프리미엄 경제 매체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2018년 1월에는 조선일보와의 협력으로 디지털 편집국으로 거듭나면서 기존의 경제·경영 뉴스 외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온라인과 모바일에 특화 한 고품격 기사를 제공하는 종합 매체로 자리 잡았다.
+
2010년 5월 10일, 조선일보에서는 고급 경제 경영 뉴스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온라인 경제 매체인 '''[[조선비즈]]'''를 선보였다. 증권사 HTS, 대형 [[포털]],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등 각종 뉴스 [[플랫폼]]을 통해 고급 경제 콘텐츠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찬찬히 입지를 다져 프리미엄 경제 매체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2018년 1월에는 조선일보와의 협력으로 디지털 편집국으로 거듭나면서 기존의 경제·경영 뉴스 외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온라인과 [[모바일]]에 특화 한 고품격 기사를 제공하는 종합 매체로 자리 잡았다.
 
=== 스포츠조선 ===
 
=== 스포츠조선 ===
 
젊은 층과 스포츠 마니아를 주요 타깃으로 잡았다. 그 결과, 국내 1위의 스포츠신문이 될 수 있었다. 인터넷 사이트인 [http://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닷컴]에서도 기사를 접할 수 있다.
 
젊은 층과 스포츠 마니아를 주요 타깃으로 잡았다. 그 결과, 국내 1위의 스포츠신문이 될 수 있었다. 인터넷 사이트인 [http://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닷컴]에서도 기사를 접할 수 있다.
 
=== 조선뉴스프레스 ===
 
=== 조선뉴스프레스 ===
2010년 1월, 월간조선사와 주간조선이 하나가 돼 출범한 시사 미디어 기업이다. 특종·심층보도로 언론계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대표 시사월간지인 '월간조건',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정통 시사주간지인 '주간조선', 사회 각 분야 트렌드 리더들의 성공 과정을 품격 있게 담아낸 인물 잡지인 'TOP Class', 한국 ABC 인증 유가 판매 1위 여성 종합지인 '여성조선', 한국 최초의 등산 전문지인 '월간산' 등을 발행하고 있다.
+
2010년 1월, 월간조선사와 주간조선이 하나가 돼 출범한 시사 [[미디어]] 기업이다. 특종·심층보도로 언론계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대표 시사월간지인 '월간조건',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정통 시사주간지인 '주간조선', 사회 각 분야 트렌드 리더들의 성공 과정을 품격 있게 담아낸 인물 잡지인 'TOP Class', 한국 [[ABC]] 인증 유가 판매 1위 여성 종합지인 '여성조선', 한국 최초의 등산 전문지인 '월간산' 등을 발행하고 있다.
 
=== CS M&E ===
 
=== CS M&E ===
2007년 7월 설립된 CS M&E는 조선일보 교육문화 법인으로 교육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하고 깊이 있는 기사와 콘텐츠를 만든다. 조선일보 교육섹션 맛있는공부, 소년조선일보, 국내 최초 프리미엄 온라인 교육미디어인 조선에듀 등을 제작, 발행하며 전시, 공연, 문화이벤트 등의 문화 사업도 활발히 전개해 나가고 있다. CS M&E는 빠른 변화 속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어른, 아이 가릴 것 없이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격체로서 삶을 보다 윤택하고 행복하게 사는데 동행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
2007년 7월 설립된 CS M&E는 조선일보 교육문화 법인으로 교육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하고 깊이 있는 기사와 콘텐츠를 만든다. 조선일보 교육섹션 맛있는공부, 소년조선일보, 국내 최초 프리미엄 온라인 교육미디어인 조선에듀 등을 제작, 발행하며 전시, 공연, 문화이벤트 등의 문화 [[사업]]도 활발히 전개해 나가고 있다. CS M&E는 빠른 변화 속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어른, 아이 가릴 것 없이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격체로서 삶을 보다 윤택하고 행복하게 사는데 동행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 헬스조선 ===
 
=== 헬스조선 ===
2005년 12월 설립된 의료건강 부문의 자회사이다. 조선일보 건강 섹션인 'Health'와 월간 매거진인 '월간헬스조선', 인터넷뉴스(헬스조선닷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또, 의료·생활건강·교양·인문 분야의 다양한 서적 출판으로 병원·제약 홍보마케팅, 힐링여행,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도·소매, 유통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
2005년 12월 설립된 의료건강 부문의 자회사이다. 조선일보 건강 섹션인 'Health'와 월간 매거진인 '월간헬스조선', 인터넷뉴스(헬스조선닷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또, 의료·생활건강·교양·인문 분야의 다양한 서적 출판으로 병원·제약 홍보마케팅, 힐링여행,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도·소매, 유통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 조선아이에스 ===
 
=== 조선아이에스 ===
1997년 설립된 조선아이에스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직결돼 신속한 매출 신장 효과를 가져오는 전단 광고지를 조선일보에 삽지해 배포하는 국내 최대의 전단 광고 대행사이다. 설립 이래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해 전단 광고는 물론 조선일보 지면 광고, DM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였고, 조선일보 독자서비스 및 다양한 신문 판촉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조선아이에스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직결돼 신속한 매출 신장 효과를 가져오는 전단 광고지를 조선일보에 삽지해 배포하는 국내 최대의 전단 광고 대행사이다. 설립 이래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해 전단 광고는 물론 조선일보 지면 광고, [[DM]]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였고, 조선일보 독자서비스 및 다양한 [[신문]] 판촉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 방일영문화재단 ===
 
=== 방일영문화재단 ===
방일영문화재단은 조선일보사 회장과 사장을 지낸 방일영, 방우영 형제가 출연한 조선일보 주식을 기금으로 발족됐다.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에서 우수한 대학생, 탈북 대학생을 선정해 등록금 전액과 생활보조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학생 외에도 언론인과 언론학자를 대상으로  저술, 출판을 지원한다. 방일영문화재단은 국악계와 교육계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국악의 전승과 보급에 크게 기여한 우수 국악인을 선정해 방일영국악상을 수여하고 전국의 유치원, 초, 중, 고에서 크게 헌신하는 우수 교사를 선정해 올해의 스승상을 수여한다.
+
방일영문화재단은 조선일보사 회장과 사장을 지낸 [[방일영]], [[방우영]] 형제가 출연한 조선일보 주식을 기금으로 발족됐다.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에서 우수한 대학생, 탈북 대학생을 선정해 등록금 전액과 생활보조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학생 외에도 언론인과 언론학자를 대상으로  저술, 출판을 지원한다. 방일영문화재단은 국악계와 교육계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국악의 전승과 보급에 크게 기여한 우수 국악인을 선정해 방일영국악상을 수여하고 전국의 유치원, 초, 중, 고에서 크게 헌신하는 우수 교사를 선정해 올해의 스승상을 수여한다.
 
===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 ===
 
===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 ===
 
2003년 10월 설립된 비영리 공익 연구재단인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는 미디어 학계와 업계에 도움이 될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미디어와 연관 있는 연구, 저술, 포럼, 세미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언론 교육 사업 및 언론인을 대상으로 국내외 연수도 지원한다.<ref name = "공홈" ></ref>
 
2003년 10월 설립된 비영리 공익 연구재단인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는 미디어 학계와 업계에 도움이 될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미디어와 연관 있는 연구, 저술, 포럼, 세미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언론 교육 사업 및 언론인을 대상으로 국내외 연수도 지원한다.<ref name = "공홈" ></ref>

2019년 7월 18일 (목) 14:29 판

조선일보(朝鮮日報)

조선일보(朝鮮日報)는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언론기관이다. 영어로는 The Chosun Ilbo이다.

개요

연혁

  • 1919년 09월 : 조선일보사 창립 ('조선일보설립 발기인조합' 결성)
  • 1919년 10월 09일 : 조선일보창간취지 '신문명진보의 주의' 선언
  • 1920년 03월 05일 : 조선일보 창간, 초대 사장 조진태(趙鎭泰)
  • 1920년 04월 28일 : 영친왕 – 日 왕족 방자의 강압적 결혼을 비판해 창간 4호만에 첫 압수
  • 1920년 08월 15일 : 유문환(劉文煥) 사장 취임
  • 1920년 08월 27일 : 일본 경찰의 민족 탄압 비난, 민간지 중 첫 정간(1차)
  • 1920년 09월 05일 : 정간 풀린 지 3일 만에 총독부의 정간 조치 비난, 무기 정간(2차)
  • 1921년 04월 09일 : 남궁훈(南宮薰) 사장 취임
  • 1922년 12월 01일 : 조선 민립대학 설립 운동
  • 1923년 06월 28일 : 조선일보 '사설(社設)' 등장
  • 1924년 09월 13일 : 신석우(申錫雨) 조선일보 인수, 이상재(李商在) 사장 취임
  • 1924년 09월 13일 : 국내 신문 최초 연재만화 '멍텅구리' 게재 시작
  • 1924년 11월 23일 : 국내 최초 조·석간 신문 발행
  • 1925년 02월 21일 : 첫 해외 특파원, 모스크바 특파
  • 1925년 09월 08일 : 일제 비판 사설 게재해 무기 정간(3차)
  • 1927년 02월 15일 : 항일 민족단일전선 신간회新幹會) 창립, 악법철폐 운동 전개
  • 1927년 03월 25일 : 신석우(申錫雨) 사장 취임
  • 1927년 12월 01일 : 조선일보 첫 신춘문예 사고(社告)
  • 1928년 05월 09일 : 일본군 출병 비난 사설로 133일간 정간(4차)
  • 1929년 07월 14일 : 문자보급 운동 시작('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구호)
  • 1931년 07월 25일 : 안재홍(安在鴻) 사장 취임
  • 1932년 02월 22일 : 유진태(兪鎭泰) 사장 취임
  • 1932년 11월 23일 : 조만식(曺晩植) 사장 취임
  • 1933년 04월 : '정의옹호·문화건설·산업발전·불편부당' 사시(社是) 제정
  • 1933년 07월 19일 : 방응모(方應謨) 사장 취임
  • 1935년 01월 10일 : 한국 언론 최초 취재용 항공기 도입
  • 1935년 06월 10일 : 조선일보 태평로 사옥 신축
  • 1935년 12월 21일 : 일제의 한글교육 폐지 움직임에 저항, 전국에 한글 교재 10만부 배포
  • 1936년 08월 08일 : 한국 언론 최초 국제전화 취재(손기정 베를린마라톤 출전)
  • 1937년 01월 10일 : '소년조선일보' 창간
  • 1938년 03월 05일 : 조선향토문화조사 실시
  • 1938년 11월 26일 : 조선일보, 한국 최초 영화제 개최('제1회 영화제')
  • 1940년 08월 10일 : 일제에 의해 조선일보 폐간(지령 6923호)
  • 1945년 08월 : '주식회사 조선일보사 재창립위원회' 구성
  • 1945년 11월 23일 : 폐간 5년3개월 만에 조선일보 복간(지령 6924호)
  • 1947년 02월 23일 : 주식회사 조선일보사 창립주주총회(방응모 사장 선임)
  • 1950년 06월 27일 : 6.25전쟁 발발로 일시 제작 중단
  • 1950년 07월 06일 : 방응모(方應謨) 사장 강제 연행, 납북
  • 1950년 10월 23일 : 조선일보 속간
  • 1952년 04월 28일 : 장기영(張基榮) 사장 취임
  • 1954년 04월 30일 : 방일영(方一榮) 발행인 겸 편집인 취임
  • 1954년 06월 09일 : 제1기 수습기자 공개채용 시험
  • 1955년 03월 23일 : 조선일보, 한국 언론 사상 첫 지령(紙齡) 1만호 발간
  • 1964년 06월 25일 : 납북인사 송환 100만인 서명운동 전개
  • 1964년 08월 : 납북인사 송환 100만인 서명운동 전개
  • 1964년 11월 14일 : 방일영 회장, 방우영(方又榮) 대표이사 전무 취임
  • 1968년 10월 20일 : '주간조선' 창간
  • 1970년 02월 02일 : 방우영 사장 취임
  • 1971년 04월 17일 : 정부의 언론탄압에 항의, '언론 자유 선언문' 채택
  • 1979년 02월 27일 : 조선일보 100만부 발행 돌파
  • 1980년 03월 15일 : 조선일보 지령 2만호 발간
  • 1984년 02월 01일 : 조선일보 미주판 창간
  • 1986년 04월 04일 : '월간조선' 창간
  • 1990년 03월 21일 : '스포츠조선' 창간
  • 1992년 03월 21일 : 신문사 최초 전국 동시인쇄망 완성
  • 1993년 03월 10일 : 방우영 회장, 방상훈(方相勳) 사장 취임
  • 1993년 03월 20일 : 국내 언론 최초 옴부즈맨 제도 조입
  • 1993년 04월 28일 : 기사 실명제 최초 실시
  • 1993년 11월 20일 : 방일영문화재단 발족
  • 1994년 06월 03일 : 조선일보, UN환경상(글로벌500) 수상
  • 1998년 04월 24일 : 한국 언론 최초 이메일 실명제 실시
  • 1999년 03월 02일 : 가로쓰기 단행
  • 2003년 03월 26일 : 인터넷뉴스부 신설, 자체 인처넷 속보체제 가동
  • 2003년 03월 26일 : 방우영 명예회장 취임
  • 2003년 10월 08일 : 국내 최초 36면 컬러 동시 인쇄
  • 2005년 03월 03일 : '아시안 리더십 콘퍼런스' 첫 개최
  • 2009년 02월 13일 : '글로벌 챌린지 프로그램(GCP)' 도입
  • 2010년 03월 05일 : 창간 90주년 기념 '타임캡슐 봉인식'(창간 100주년 개봉)
  • 2010년 05월 10일 : 온라인 경제매체 '조선경제아이' 창간
  • 2011년 12월 01일 : 종합편성채널 'TV조선' 개국
  • 2013년 03월 05일 : 복합미디어 체험관 '조선일보 뉴지엄' 개관(서울 흑석동)
  • 2015년 05월 26일 : 재단법인 '통일과 나눔' 설립
  • 2017년 06월 24일 : 조선일보 지령 3만호 발간[1]

주요 인물

관계사

조선방송

TV조선은 2011년 12월 1일 개국된 종합편성 방송 채널이다. 조선일보의 의지를 그대로 담아 빠르고 쉽고 공정한 언론, 건강하고 유익한 방송을 추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시청자의 공감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한민국 대표 방송을 지향한다.

디지틀조선일보

1995년 10월, 조선일보의 뉴미디어 계열사로 등장한 디지틀조선일보는 시야 밖에 있었던 CTS/SI 및 온·오프라인 교육(캐나다 문화 어학원/취업교육센터/국제 교육센터), 토플 TPO(ETS TOEFL Practice Online), 시티비전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며 종합 미디어그룹으로서의 비전을 실현했다.

조선비즈

2010년 5월 10일, 조선일보에서는 고급 경제 경영 뉴스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온라인 경제 매체인 조선비즈를 선보였다. 증권사 HTS, 대형 포털,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등 각종 뉴스 플랫폼을 통해 고급 경제 콘텐츠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찬찬히 입지를 다져 프리미엄 경제 매체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2018년 1월에는 조선일보와의 협력으로 디지털 편집국으로 거듭나면서 기존의 경제·경영 뉴스 외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온라인과 모바일에 특화 한 고품격 기사를 제공하는 종합 매체로 자리 잡았다.

스포츠조선

젊은 층과 스포츠 마니아를 주요 타깃으로 잡았다. 그 결과, 국내 1위의 스포츠신문이 될 수 있었다. 인터넷 사이트인 스포츠조선닷컴에서도 기사를 접할 수 있다.

조선뉴스프레스

2010년 1월, 월간조선사와 주간조선이 하나가 돼 출범한 시사 미디어 기업이다. 특종·심층보도로 언론계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대표 시사월간지인 '월간조건',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정통 시사주간지인 '주간조선', 사회 각 분야 트렌드 리더들의 성공 과정을 품격 있게 담아낸 인물 잡지인 'TOP Class', 한국 ABC 인증 유가 판매 1위 여성 종합지인 '여성조선', 한국 최초의 등산 전문지인 '월간산' 등을 발행하고 있다.

CS M&E

2007년 7월 설립된 CS M&E는 조선일보 교육문화 법인으로 교육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하고 깊이 있는 기사와 콘텐츠를 만든다. 조선일보 교육섹션 맛있는공부, 소년조선일보, 국내 최초 프리미엄 온라인 교육미디어인 조선에듀 등을 제작, 발행하며 전시, 공연, 문화이벤트 등의 문화 사업도 활발히 전개해 나가고 있다. CS M&E는 빠른 변화 속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어른, 아이 가릴 것 없이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격체로서 삶을 보다 윤택하고 행복하게 사는데 동행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헬스조선

2005년 12월 설립된 의료건강 부문의 자회사이다. 조선일보 건강 섹션인 'Health'와 월간 매거진인 '월간헬스조선', 인터넷뉴스(헬스조선닷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또, 의료·생활건강·교양·인문 분야의 다양한 서적 출판으로 병원·제약 홍보마케팅, 힐링여행,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도·소매, 유통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조선아이에스

1997년 설립된 조선아이에스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직결돼 신속한 매출 신장 효과를 가져오는 전단 광고지를 조선일보에 삽지해 배포하는 국내 최대의 전단 광고 대행사이다. 설립 이래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해 전단 광고는 물론 조선일보 지면 광고, DM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였고, 조선일보 독자서비스 및 다양한 신문 판촉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방일영문화재단

방일영문화재단은 조선일보사 회장과 사장을 지낸 방일영, 방우영 형제가 출연한 조선일보 주식을 기금으로 발족됐다. 국가와 사회에 공헌할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에서 우수한 대학생, 탈북 대학생을 선정해 등록금 전액과 생활보조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학생 외에도 언론인과 언론학자를 대상으로 저술, 출판을 지원한다. 방일영문화재단은 국악계와 교육계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국악의 전승과 보급에 크게 기여한 우수 국악인을 선정해 방일영국악상을 수여하고 전국의 유치원, 초, 중, 고에서 크게 헌신하는 우수 교사를 선정해 올해의 스승상을 수여한다.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

2003년 10월 설립된 비영리 공익 연구재단인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는 미디어 학계와 업계에 도움이 될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미디어와 연관 있는 연구, 저술, 포럼, 세미나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언론 교육 사업 및 언론인을 대상으로 국내외 연수도 지원한다.[1]

로드맵

각주

  1. 1.0 1.1 출처 : 조선일보 공식 홈페이지 - http://www.chosun.com/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조선일보 문서는 블록체인 미디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