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테슬라 로드스터

해시넷
dltmf140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3일 (목) 14:1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로드스터(Roadster)
테슬라(Tesla)

로드스터(Roadster)는 2008년 3월 17일 출시된 테슬라(Tesla)의 첫 전기자동차이다. 로터스 엘리스를 기반으로 한 전기자동차로, 2차 전지를 이용해 최고 시속 209.3㎞를 낼 수 있는 후륜구동 스포츠카이다. 한번 충전으로 약 400Km를 달릴 수 있으며 배터리 교환주기는 10만 마일(약 16만Km)이다.

개요

로드스터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유형 중 하나이다. 1900년대 중반까지 로드스터는 앞유리나 문짝이 없는 차를 칭하는 것으로 Morgan 등이 이렇게 위로 타고 내려야 하는 차를 만들었다. 하지만 현대적으로 로드스터는 천장이 개방되는 2인승 차량을 말하며, 스포티한 핸들링과 비교적 작은 차체를 갖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로드스터란 이름도 어떤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다기보다 마케팅 측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2인승 차량에는 로드스터라는 이름을 붙인다. 로드스터는 일반적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용어고, 유럽에서는 주로 스파이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로드스터는 제임스 딘이 타고 가다 사망한 포르쉐 550 스파이더나 마쓰다 MX-5 등을 들 수 있다. 국산차로는 해외의 로드스터를 면허생산한 쌍용 칼리스타, 기아 엘란, 대우 G2X 등이 있다. 컨버터블과 로드스터를 구분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분해 사용되지 않고 로드스터가 컨버터블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 2인승이나 4인승 구분 없이 천장이 개방되는 차량은 북미에서는 컨버터블이라고 불리고, 유럽에서는 카브리올레 혹은 카브리오라고 불린다. 영국에서는 드롭헤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테슬라에서 출시될 스포츠카 로드스터는 기록적인 주행거리와 압도적인 가속력을 목표로 한다. 로드스터는 지붕의 중간 부분을 탈거하여 차 안의 전용 칸에 보관할 수 있는 오픈 톱 형태로 공개되었으며 2+2 좌석 배치를 가진 실내는 추후 공식 공개할 예정이다.


특징

테슬라는 2017년 11월 16일(한국 기준) 테슬라 세미트럭과 함께 테슬라 행사에서 공개 로드스터를 공개했다. 모델 S 및 모델 X와 같은 전지를 사용한다고 알려졌으며, 실내는 특이하게 계기판 없이 비행기 조종간 같이 생긴 핸들과 초대형 센터 스크린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무엇보다도 주목할만한 점은 스펙인데, 0 - 60mph 가속속도가 부가티 시론, 코닉세그 아제라 RS, 헤네시 베놈 F5과 GT를 능가하는 양산차 중에서 가장 빠른 '1.9초'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고 속도도 400km 이상으로 발표하며 한번 충전으로 '620마일 (약 997km)를 가는, 사실상 세계 첫번째의 양산 전기 하이퍼카가 된다.지붕의 경우 소프트탑이 아닌 하드탑이 채택되었다. 전동 개폐식이 아닌 파가니 와이라나 포르쉐 918 스파이더와 같은 수동 개폐식이다. 가격은 기본 트림이 200,000 달러 Founders Series는 USD 250,000이다.

장점

테슬라는 합리적인 비용의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모든 제품의 접근성과 가격 부담을 낮추는데 주력한다. 보다 많은 고객이 테슬라 차량을 구매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배출량 제로의 운송과 청정에너지 생산의 현실화를 앞당기는 것이라 믿고 있기 때문이다.전기자동차, 배터리, 재생 에너지 발전과 저장 등은 이미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분야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 부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더욱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테슬라가 꿈꾸는 비전이자 미래라 하겠다. 너트가 하나만 있는 휠은 센터락 방식의 휠을 말하는 것으로, 센터락 방식이란 원래 자동차 경주에서 신속한 타이어 교환을 위해 고안된 휠 잠금방식이다. 구조상 대형 캘리퍼와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센터락 방식이 적용된 휠은 주로 경주용 차량이나 슈퍼카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차량에는 4~5개의 너트가 들어가는 휠이 사용된다. 한번 충전으로 1000km를 주행하고, 제로백2.1초, 스페이스X의 자세제어용 로켓 분사 기술을 사용하여 다운포스 생성을 통한 타이어 그립 향상과 코ㄴ저링시 자세제어 기능 및 발진시 가속력을 더 해주는 등의 기능 또한 장점이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테슬라 로드스터 문서는 한국 자동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