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테슬라 로드스터

해시넷
dltmf140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3일 (목) 17:1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로드스터(Roadster)
테슬라(Tesla)

로드스터(Roadster)는 2008년 3월 17일 출시된 테슬라(Tesla)의 첫 전기자동차이다. 로터스 엘리스를 기반으로 한 전기자동차로, 2차 전지를 이용해 최고 시속 209.3㎞를 낼 수 있는 후륜구동 스포츠카이다. 한번 충전으로 약 400Km를 달릴 수 있으며 배터리 교환주기는 10만 마일(약 16만Km)이다. 2020년 후속작으로 로드스터 2세대가 출시 될 예정이다.

개요

로드스터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유형 중 하나이다. 1900년대 중반까지 로드스터는 앞유리나 문짝이 없는 차를 칭하는 것으로 Morgan 등이 이렇게 위로 타고 내려야 하는 차를 만들었다. 하지만 현대적으로 로드스터는 천장이 개방되는 2인승 차량을 말하며, 스포티한 핸들링과 비교적 작은 차체를 갖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로드스터란 이름도 어떤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다기보다 마케팅 측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2인승 차량에는 로드스터라는 이름을 붙인다. 로드스터는 일반적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용어고, 유럽에서는 주로 스파이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로드스터는 제임스 딘이 타고 가다 사망한 포르쉐 550 스파이더나 마쓰다 MX-5 등을 들 수 있다. 국산차로는 해외의 로드스터를 면허생산한 쌍용 칼리스타, 기아 엘란, 대우 G2X 등이 있다. 컨버터블과 로드스터를 구분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분해 사용되지 않고 로드스터가 컨버터블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 2인승이나 4인승 구분 없이 천장이 개방되는 차량은 북미에서는 컨버터블이라고 불리고, 유럽에서는 카브리올레 혹은 카브리오라고 불린다. 영국에서는 드롭헤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2008 로더스터는 테슬라의 첫 자동차이며 로터스 엘리스를 기반으로 한 전기자동차로, 이차 전지를 이용해 최고 시속 209.3㎞를 낼 수 있는 후륜구동 스포츠카이다. 한번 충전으로 약 400Km를 달릴 수 있으며 배터리 교환주기는 10만 마일(약 16만Km)이다. 2차 전지는 특이하게도 전기자동차용 대형전지가 아닌 노트북 등에 많이 쓰이는 18650 리튬이온 배터리 6,800개 이상을 사용한다. 일론 머스크가 이미 전기차 구상단계에서부터 전기차 전용 리튬폴리머 전지가 별다른 기술적 장점 없이 생산성을 끌어내리고 비용만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용 전지 대신 소형범용전지를 병렬로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2020 테슬라에서 출시될 스포츠카 로드스터는 기록적인 주행거리와 압도적인 가속력을 목표로 한다. 로드스터는 지붕의 중간 부분을 탈거하여 차 안의 전용 칸에 보관할 수 있는 오픈 톱 형태로 공개되었으며 2+2 좌석 배치를 가진 실내는 추후 공식 공개할 예정이다. [1][2]


https://namu.wiki/w/%ED%85%8C%EC%8A%AC%EB%9D%BC%20%EB%A1%9C%EB%93%9C%EC%8A%A4%ED%84%B0 .[3]

특징

테슬라는 2017년 11월 16일(한국 기준) 테슬라 세미트럭과 함께 테슬라 행사에서 공개 로드스터를 공개했다. 모델 S 및 모델 X와 같은 전지를 사용한다고 알려졌으며, 실내는 특이하게 계기판 없이 비행기 조종간 같이 생긴 핸들과 초대형 센터 스크린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무엇보다도 주목할만한 점은 스펙인데, 0 - 60mph 가속속도가 부가티 시론, 코닉세그 아제라 RS, 헤네시 베놈 F5과 GT를 능가하는 양산차 중에서 가장 빠른 '1.9초'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고 속도도 400km 이상으로 발표하며 한번 충전으로 '620마일 (약 997km)를 가는, 사실상 세계 첫번째의 양산 전기 하이퍼카가 된다.지붕의 경우 소프트탑이 아닌 하드탑이 채택되었다. 전동 개폐식이 아닌 파가니 와이라나 포르쉐 918 스파이더와 같은 수동 개폐식이다. 가격은 기본 트림이 200,000 달러 Founders Series는 USD 250,000이다.

  • 공기역학적 효율과 성능을 모두 고려한 디자인: 순수 전기 구동 수퍼카인 Roadster는 공기역학 엔지니어링의 잠재력을 극대화함으로써 기록적인 성능과 효율성을 실현한다.
  • 인테리어 : 성능에 관한 모든 기록을 경신한 최초의 4인승 슈퍼카이다.
  • 글라스 루프 : 가볍고 트렁크에 보관 가능한 탈착식 글래스 루프를 통해 탁월한 개방감과 컨버터블 드라이빙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

장단점

2008년 당시 로드스터는 최고속도가 250km, 최대 주행거리는 500km, 가속력 기준인 0-100km/h 은 2.8초 였다. 2020년 출시 예정인 로드스터는 최고 속도는 400km 이상이며 정지에서 시속 96km까지 단 1.9초에 도달할 것이라고 테슬라 측은 밝혔다. 1.9초는 기존 내연기관 스포츠카까지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록이다. 한번 충전으로 '620마일 (약 997km)를 가는,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스포츠카가 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2020 로드스터는 너트가 하나만 있는 휠을 활용한다. 너트가 하나만 있는 휠은 센터락 방식의 휠을 말하는 것으로, 센터락 방식이란 원래 자동차 경주에서 신속한 타이어 교환을 위해 고안된 휠 잠금방식이다. 구조상 대형 캘리퍼와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센터락 방식이 적용된 휠은 주로 경주용 차량이나 슈퍼카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차량에는 4~5개의 너트가 들어가는 휠이 사용된다. 전력은 200kWh 배터리 팩에서 생성되며 현재 다른 전기차 배터리보다 거의 두 배나 큰 용량이다. 세 개의 전기 모터는 리어 휠에 두개, 프론트 휠에 하나 장착되어 4륜 구동 방식을 갖춘다. 또한 로드스터는 제로백2.1초, 스페이스X의 자세제어용 로켓 분사 기술을 사용하여 다운포스 생성을 통한 타이어 그립 향상과 코너링시 자세제어 기능 및 발진시 가속력을 더 해주는 등의 기능 또한 장점이다. http://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32427 지피코리아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0082112305753889a1f309431_1/article.html?md=20200824091221_R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982022&memberNo=45854895&vType=VERTICAL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key=201604111549475181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가격이 대량생산 자동차 모델로는 흔치 않은 고가이다. 출시 예정인 로드스터는 20만 달러(2억4천만원)으로, 구매예약을 위해서는 보증금 5만 달러(5천 500만원)를 내야하며, 첫 생산분 1천대 중 1대를 사려면 25만 달러(2억 7천만원)를 선불로 내야한다. 또 다른 단점은 무거운 배터리 팩이다. 전기차의 경우에는 배터리 팩의 뮤게중심이 매우 중요한데, 로드스터는 엔진 무게보다 배터리 팩이 더 무겁기 때문에 가솔린차에 비해 무게가 더 나간다. https://blog.naver.com/chase65/221143479821

긴 주행거리

이전 2008년의 로드스터의 주행거리 또한 다른 전기차가 감히 도전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처음 로드스터가 공개되었을 때, 테슬라의 CEO 엘론 머스크(Elon Musk)는 “이 차량은 620마일(약 998km)을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차량의 기록은 오늘날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스크는 최근 자신의 트위터에서 이 수치를 다시 언급했다. 그는 ‘새로운 로드스터는 1,000km 이상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신형 로드스터가 포뮬러 경주용 자동차를 상대로 경주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물론 CGI(Computer-Generated Imagery) 세계에선 무엇이든 가능한 시뮬레이션이긴 하지만, 이를 충분히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있다. 2017년 11월에 최초로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휠 최대 토크가 1,022.2kg·m나 되며, 0-60mph(약 96.6km/h)와 0-100mph(약 161km/h) 가속 시간은 각각 1.9초, 4.2초다. 또한 0-400m까지 도달 시간은 8.8초다. http://www.motorian.kr/?p=85483 처음 테슬라 로드스터의 값은 8만 달러부터 시작했다. 비슷한 개념과 성능의 내연기관 스포츠카에 비하면 비쌌지만, 환경보호에 관한 관심을 등에 업고 주로 부유한 얼리 어답터에게 인기를 얻었다. 2008 테슬라 로드스터는 생산 기간 중 여러 차례 업그레이드되며 2012년까지 2400대 이상 생산되었다. 생산대수는 많지 않았지만, 테슬라 로드스터는 전기차에서 리튬이온 배터리의 가능성과 더불어 현실적인 주행가능 거리를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며 전기차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오토파일럿(Autopilot)

2019년 3월이후 부터는 테슬라 자동차에는 다음의 ADAS 기능이 추가 비용없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 8개의 서라운드 카메라는 차량을 중심으로 최대 250미터 범위까지 360도 시야를 보여주고, 12개의 업그레이드된 초음파 센서를 통해 보완된 시야로, 이전 시스템에 비해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처리 성능이 향상된 전방 레이더는 폭우, 안개, 흙먼지와 심지어 앞에 있는 차량까지 관통할 수 있는 중복 파장으로 주변 상황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이전 세대보다 40배 이상 빠른 연산력을 제공하는 새로운 온보드 컴퓨터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Tesla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새로운 시야 확보용 신경 회로망과 음파 및 레이더 처리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이 시스템은 운전자가 보지 못하는 상황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며, 모든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고,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파장까지도 모두 확인한다.오토파일럿 첨단 안전 및 편의 기술은 주행 시에 가장 부담스러울 있는 부분을 돕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오토파일럿은 Tesla 차량을 더욱 안전하고 스마트하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기존의 기능을 개선합니다. 또한 오토파일럿은 차선 내에서 차량을 자동으로 조향하거나 가속 및 제동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안전도

2008 로드스터는 당시에 최고 등급 안전도 수준인 5-Star 등급을 받았다. 그 당시에는 마술과도 같은 일이였다. 이에 이어서 2020 출시 예정인 로드스터 역시 측면 충돌 경고를 통해 자동차 측면에 있는 물체와 예상되는 충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자동차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동장치가 작동하도록 고안되어 있어 안전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저속 또는 정지한 자동차와 곧 발생할 충돌을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https://www.tesla.com/ko_KR/autopilot

파워트레인 & 배터리

이번 새로운 로드스터는 앞쪽에 하나, 뒤쪽에 두개를 포함 총 세 개의 전기 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모터들을 통해 앞바퀴 굴림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총 200킬로와트의 배터리가 제공된다. 로드스터라는 이름에 맞게 지붕 개폐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로드스터는 2인승이지만, 테슬라의 로드스터는 실용성을 강조해 4인승이 될 것으로 보인다. http://auto.danawa.com/news/index.php?Work=detail&no=4035702

동영상

제원정보

https://www.tesla.com/ko_KR/roadster

기본사양 -
0-100 km/h 도달시간 2.1초
1/4 마일 도달시간 8.8초
최고속도 400 km/h 이상
휠 토크 10,000 Nm
주행 가능 거리 1000 km
좌석수 4
드라이브 AWD
기본 예약가 ₩55,600,000
Founders Series 예약가 ₩277,800,000

서비스

  • 고장

기계 및 제조상의 결함으로 인한 차량 운행 불능일시

-보증 범위: 가장 가까운 서비스 센터 차량을 견인해 준다.
  • 타이어 펑크

주행 위험을 유발하는 휠 또는 타이어 손상일시

-보증 범위: 타이어 펑크의 경우 최대 80km까지 견인 가능하다.
  • 차량 잠김

차량, 키 및 앱의 오작동으로 차량이 정상적으로 잠금 해제되지 않는 경우

-보증 범위: Tesla 고객 지원팀이 온라인으로 차량 잠금 해제를 도와드립니다. 필요한 경우 견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 배터리 방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소까지 이동할 수 없거나 차량이 매우 오랫동안 충전되지 않은 경우

-보증 범위: Tesla에서 유상으로 도움을 준다.

https://www.tesla.com/ko_KR/support


{각주}}

참고자료

로드스터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93%9C%EC%8A%A4%ED%84%B0 로드스터 namuwiki -https://namu.wiki/w/%ED%85%8C%EC%8A%AC%EB%9D%BC%20%EB%A1%9C%EB%93%9C%EC%8A%A4%ED%84%B0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테슬라 로드스터 문서는 한국 자동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로드스터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93%9C%EC%8A%A4%ED%84%B0
  2. 로드스터 namuwiki -https://namu.wiki/w/%ED%85%8C%EC%8A%AC%EB%9D%BC%20%EB%A1%9C%EB%93%9C%EC%8A%A4%ED%84%B0
  3. 글쓴이, 〈[URL^제목]〉, 《출처》, 년-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