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종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암호화폐 종류 대폭 추가)
잔글 (한국인이 만든 코인)
98번째 줄: 98번째 줄:
 
* '''[[애스톤]]'''(Aston) : [[㈜엑스블록시스템즈]]<!--엑스블록시스템즈, 엑스블록-->(XBlock Systems)가 만든 전자문서 인증 플랫폼을 위한 코인이다. 창시자는 ㈜엑스블록시스템즈의 [[김승기]] 대표이사이다.
 
* '''[[애스톤]]'''(Aston) : [[㈜엑스블록시스템즈]]<!--엑스블록시스템즈, 엑스블록-->(XBlock Systems)가 만든 전자문서 인증 플랫폼을 위한 코인이다. 창시자는 ㈜엑스블록시스템즈의 [[김승기]] 대표이사이다.
 
* '''[[모파스]]'''(MoFAS) : [[하이퍼 위임지분증명]](Hyper-DPoS)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이중화 체인 구조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해커스랩㈜]]의 [[김태순]] 대표이사와 [[김성기]] 기술이사가 개발했다.
 
* '''[[모파스]]'''(MoFAS) : [[하이퍼 위임지분증명]](Hyper-DPoS)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이중화 체인 구조로 만든 [[암호화폐]]이다. [[해커스랩㈜]]의 [[김태순]] 대표이사와 [[김성기]] 기술이사가 개발했다.
 +
* '''[[팝체인]]'''(Popchain) : [[콘텐츠]]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한국의 [[더이앤엠]](The E&M) 회사가 개발했다. [[빗썸]]에 상장하려고 했으나 [[스캠코인]]이라는 논란이 일자, 상장을 철회했다.
 
* '''[[인슈어리움]]'''(ISR) : 탈중앙화된 보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직토]]가 만든 [[암호화폐]]이다. 공동 창시자는 [[김경태]]와 [[서한석]]이다.
 
* '''[[인슈어리움]]'''(ISR) : 탈중앙화된 보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직토]]가 만든 [[암호화폐]]이다. 공동 창시자는 [[김경태]]와 [[서한석]]이다.
 
* '''[[인코디움]]'''(incodium) : [[암호화폐 거래소]]에 [[해킹]]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별로 보유한 코인량에 비례하여 피해액을 보상해 주는 코인이다. 이더리움 [[ERC 20]] 기반의 토큰이다.
 
* '''[[인코디움]]'''(incodium) : [[암호화폐 거래소]]에 [[해킹]]이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별로 보유한 코인량에 비례하여 피해액을 보상해 주는 코인이다. 이더리움 [[ERC 20]] 기반의 토큰이다.

2018년 9월 2일 (일) 16:02 판

2009년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창시된 이후 계속 새로운 암호화폐가 출현하였다. 주요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등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는 약 1,600종이 존재한다.

종류

비트코인 이전

비트코인 계열

이더리움 계열

리플 계열

익명성을 보장하는 어둠의 코인

플랫폼 코인

유틸리티 토큰

  • 스팀(steem) : 블록체인 기반의 SNS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코인이다.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사용한다.
  • 오미세고(OmiseGo) : 가게를 잇는 쇼핑 포인트 코인이다. 플라즈마 기술을 적용하여 빠른 처리 속도를 구현했다.
  • 시아(Sia) 또는 시아코인 : 분산형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 코인이다.
  • 골렘(Golem) :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자원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빌려줌으로써, 탈중앙 분산형 슈퍼컴퓨터(supercomputer)를 구현하기 위한 코인이다.
  • 파퓰러스(Populous) : 블록체인 기반의 송장 거래용 코인이다.
  • 파워레저(PowerLedger) :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코인이다.
  • 이머코인(Emercoin) : 블록체인 기반의 대학 졸업장 발급 코인이다.
  • 디지바이트(DigiByte) : 게임 관련 코인으로 시작했으나 디도스(DDoS) 공격으로 중단된 코인이다.
  • 시빅(Civic) :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신원확인 시스템을 위한 코인이다.
  • 기프토(Gifto) :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선물 전달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 어거(Augur) : 블록체인 기반의 예측 시장 베팅(betting) 플랫폼 코인이다.
  • 왁스(Wax) : 블록체인 기반 게임 아이템 거래용 코인이다. 창시자는 윌리엄 퀴글리(William Quigley) 오피스킨(OPSkins) 대표이사이다.
  • 체인링크(Chainlink) :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 결제, API 등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이다.
  • 트라도브(Tradove) : 기업들 간의 B2B 상거래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켄트 얀(Kent Yan) 트라도브 회장이다.
  • 에토스(Ethos) : 전문가와 초보자를 연결하여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포럼을 운영하기 위한 코인이다.

결제 코인

  • 모나코(Monaco) : 저렴한 수수료로 결제를 할 수 있는 코인이다. 모나코는 비자(VISA) 선불카드를 만들어, 전 세계 비자카드 가맹점에서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게 했다.
  • 텐엑스(TenX) : 환전 수수료가 없는 결제용 코인이다. 텐엑스는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등 주요 신용카드 회사와 제휴하여, 텐엑스 카드(TenX card)를 통해 일반 가맹점에서도 결제할 수 있게 했다.
  • 펀디엑스(Pundi X) : 각 상점에 설치된 포스 시스템(POS system)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결제용 코인이다.
  • 퓨즈엑스(FuzeX) : 여러 장의 신용카드멤버십카드 등을 퓨즈카드(Fuze Card)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결제용 코인이다.
  • 다빈치코인(Davinci Coin) : 다양한 회사와 제휴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인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다.
  • 노원화폐(Nowon Cash) : ㈜글로스퍼(Glosfer)가 만든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이다. 창시자는 글로스퍼의 김태원 대표이사이다.

중국인이 만든 코인

한국인이 만든 코인

일본인이 만든 코인

  • MUFG코인(MUFG Coin) : 일본 최대 은행인 MUFG가 만들고 있는 코인이다. 1초당 수백만 번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만든 코인

거래소가 만든 코인

국가가 만든 코인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