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글로벌 발표자)
(한국 발표자)
225번째 줄: 225번째 줄:
  
 
* '''[[송치형]]'''
 
* '''[[송치형]]'''
: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창업자 겸 최대 주주이자 이사회 의장이다. 송치형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고 경제학부를 부전공했다.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진학할 생각이었지만 정보기술([[IT]]) 기업 [[다날]]에서 병역특례로 병역의무를 대신해 휴대폰 결제 시스템 등을 만들게 됐다. 이때부터 송치형은 IT 개발자의 길로 들어섰다. 1990년대 후반 휴대폰 불법 결제 사건이 사회문제로 이슈였다. 다날에 근무할 당시 불법 결제 패턴을 찾아 방지하는 아이디어를 만들어 특허를 내 한국과 중국에 적용했다. 송치형은 IT 시스템 개발을 직업으로 삼을 생각은 해보지 않았지만, 3년 동안 꾸준히 하다 보니 일에 재미를 느껴 진로를 바꿨다. 병역 복무를 마치고 컨설팅 회사인 [[이노무브]]에 입사했다. IT 관련 개발 업무과 일반 기업의 새 수익모델을 찾는 일을 하며 개발자로 자리매김했다.<ref name="송치형">김정호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70612083627544 (아주초대석) 송치형 두나무 대표는 누구]〉, 《아주경제》, 2017-06-13</ref> 2012년 두나무㈜를 창업하여 [[SNS]]에서 인기 있는 기사를 모아 보여주는 뉴스메이트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3년 [[카카오]]의 자회사인 [[케이큐브벤처스]]와 카카오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으며, 카카오톡 증권 시세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증권 플러스 포 카카오'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향후 '카카오 증권'으로 발전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7년 9월 송치형은 미국 [[비트렉스]]와 제휴하여 업비트를 오픈했다. 업비트는 오픈 직후 [[빗썸]]을 누르고 한국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고, 한 때 거래금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송치형은 카카오 출신의 이석우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넘기고 회사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
: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고 경제학부를 부전공했다. 2017년 9월 그는 미국 [[비트렉스]]와 제휴하여 업비트를 오픈했다. 업비트는 오픈 직후 [[빗썸]]을 누르고 한국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고, 한 때 거래금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송치형은 카카오 출신의 이석우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넘기고 회사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 '''[[이석우 (1966년)|이석우]]'''
 
* '''[[이석우 (1966년)|이석우]]'''
: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대표이사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면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이석우]]는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하와이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중앙일보]]에 기자로 입사해 2년 동안 사회부, 국제부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기자 생활을 하면서 학업에 관한 부족함과 필요성을 느껴 다시 미국 루이스앤클라크 로스쿨로 유학을 떠났다. 로스쿨 졸업 후 미국 로펌에서 세법 전문 변호사로 일하기도 했다. 2년 동안 변호사로 일하다 1999년 한국 IBM 사내 변호사로 영입되어 귀국했다. 이후 2004년에는 NHN으로 자리를 옮겨 법무담당 이사와 경영정책 담담 이사를 거쳐 2010년에는 [[NHN]] 미국법인의 대표이사직을 지냈다. 그러던 중 NHN 당시 공동 대표이사였던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과의 인연으로 카카오에 영입 제의를 받아서 2011년에 [[카카오]]에 합류하게 된다. 카카오에서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로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하고 다음과의 합병에도 한 축을 담당하여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지내다가 2015년 다시 중앙일보의 디지털 사업부 총괄직을 맡게 된다. 그러던 중 카카오와의 두나무의 대표이사 자리를 제의 받아 현재 대표이사로 국내 블록체인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두나무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핀테크 전문기업이다.<ref>고진영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79301 Who is?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2018-04-16</ref>
+
: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대표이사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면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에서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로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하고 다음과의 합병에도 한 축을 담당하여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지내다가 두나무의 대표이사 자리를 제의 받아 현재 대표이사로 국내 블록체인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ref>고진영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79301 Who is?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2018-04-16</ref>
  
 
* '''[[박재현]]'''(Jay Park)
 
* '''[[박재현]]'''(Jay Park)
: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람다256]](lambda 256)의 대표이다. 그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전산을 공부했으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창업가, 벤처투자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이다. 2018년 5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2019년 3월 람다256 분사와 함께 세계 최초의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런칭했다. [[현대전자]] S/W 연구소에서 [[ODBMS]], [[OLTP]] 등을 개발했고 [[코어 자바]](Core Java), [[코어 코바]](Core Corba) 등 다수의 책을 집필, 번역했다. 2017년 [[이더리움]] 연구회를 설립,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에서 [[삼성페이]]와 [[삼성챗온]] 메시지 서비스 등을 개발했다. [[SK텔레콤]]에서는 티벨리 서비스 부문 전무 이사로 재직 중 프리랜서를 위한 공유경제 플랫폼 히든 개발을 주도했다.
+
: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람다256]](lambda 256)의 대표이다. 그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전산을 공부했으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창업가, 벤처투자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이다. 2018년 5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2019년 3월 람다256 분사와 함께 세계 최초의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런칭했다.
  
 
* '''[[정현우]]'''(Brian Cheong)
 
* '''[[정현우]]'''(Brian Cheong)
: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티티씨]]'''(TTC)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정현우는 [[소프트뱅크 벤처스]]에서 인턴을 마치고 복학해 ‘혁신과 창업’이라는 수업을 들었다. 여기서 공동창업자를 만났다. BBS를 이용해 사람을 모았고 카페에 1주일에 두세 번씩 모여 창업을 시작했다. 첫 서비스인 타타유에프오를 웹으로 만들었다. 이때의 [[타타유에프오]] 서비스는 소셜 미팅 서비스였다. 학교를 졸업한 후에 공동창업자 6명 중 4명이 떠났고 부모님께 받은 100만 원으로 직접 사무실을 차려 본격적으로 사업을 운영했다. 현 타타오에프오는 50명 규모의 회사이자 중국 내에서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앱이다. 마케팅 비용으로 100억 원 이상 투자했고, 그 결과 1,100만 명의 가입자, 매일 280만 명이 접속해 8천만 건의 메시지가 오간다. 정현우는 새로운 사람들과 소통하고 실제로 관계를 맺어가며 더 다채롭고 재미있는 문화를 만들고 싶은 마음으로 타타유에프오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에서 9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위챗]]은 젊은 층 중심이었으나 50대 이상 가입자가 늘어났다. 타타유에프오는 틈새시장을 노렸다. 20~30대 사용자가 부모 세대의 간섭 없이 그들만의 문화를 공유하는 수요를 파악하고 위챗보다 고화질 사진과 동영상을 지원해 젊은 층을 사로잡고 있다.<ref name="생애">ICOBANKS, 〈[http://icobanks.kr/2018/09/07/TTCprotocoltataufoC/ TTC protocol, tataufo CEO 정현우 대표 인터뷰]〉, 《아이씨오뱅크스》, 2018-09-07</ref>
+
: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티티씨]]'''(TTC)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1,500만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중국내 SNS인 tataUFO의 대표 및 창업자이기도 하다.
  
 
* '''[[최재승]]'''(Richard Choi)
 
* '''[[최재승]]'''(Richard Choi)
: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의 공동창업자 및 공동대표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바이오메티컬공학을 전공했으며 코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SK케미칼]] 생명과학사업부 R&D연구원으로 근무한 뒤, 2011년 태블릿 기반의 고객용 로열티 프로그램인 도도 포인트(Dodo Point)를 운영하는 스포카(Spoqa)를 창업했다. 오프라인 매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구매 데이터 선순환 플랫폼을 지향하는 캐리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
: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의 공동창업자 및 공동대표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바이오메디컬공학을 전공했으며 코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프라인 매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구매 데이터 선순환 플랫폼을 지향하는 캐리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 '''[[한재선]]'''
 
* '''[[한재선]]'''
: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계열사 [[그라운드X]]의 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분산시스템과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카이스트에서 P2P로 박사 학위를 받고, 2007년 [[넥스알]](NexR)을 창업해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사업을 해왔다. 이후 2011년 [[KT]]가 넥스알을 인수, KT에서 클라우드웨어 CTO와 넥스알의 CEO를 역임해왔다. 2014년 기술 스타트업 투자사인 [[퓨쳐플레이]](FuturePlay)에서 CTO로 합류하여 기술 기업 육성에 집중해왔다. 현재는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
: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계열사 [[그라운드X]]의 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분산시스템과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 '''[[장용숙]]'''
 
* '''[[장용숙]]'''
: [[슈퍼블록]](superbloke)의 대표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 [[LG전자]], [[브라더게임즈]]에서 10년 이상 검색·추천·게임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CTO 출신 대표이다. 스스로가 열렬한 스포츠 팬으로, 팬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오랜기간 고민했고, 그 결과 축구 스타 토큰을 수집하고 성장시켜 디지털 자산화 할 수 있는 축구 수집 [[디앱]]인 [[FC 슈퍼스타즈]]를 론칭했다.
+
: [[슈퍼블록]](superbloke)의 대표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 [[LG전자]], [[브라더게임즈]]에서 10년 이상 검색·추천·게임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CTO 출신 대표이다. 축구 스타 토큰을 수집하고 성장시켜 디지털 자산화 할 수 있는 축구 수집 [[디앱]]인 [[FC 슈퍼스타즈]]를 론칭했다.
  
 
* '''[[정순형]]'''
 
* '''[[정순형]]'''
252번째 줄: 252번째 줄:
  
 
* '''[[김도형]]'''
 
* '''[[김도형]]'''
: 블록체인 기반 투자은행 플랫폼인 [[핀헤이븐]](Finhaven)의 대표이사이다. 김도형은 [[암호원장]]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증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핀헤이븐 인프라를 통해 세계 자본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김도형 대표의 최대 관심사이다. 2008년 광산회사인 [[엔엠씨 리소스]](NMC RESOURCE)를 설립하여 현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동원]] 부사장을 역임했다. 메릴린치(Merrill Lynch) 뉴욕 본사에서 근무했으며 [[콜롬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및 [[고려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
: 블록체인 기반 투자은행 플랫폼인 [[핀헤이븐]](Finhaven)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암호원장]]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증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핀헤이븐 인프라를 통해 세계 자본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김도형 대표의 최대 관심사이다.
  
 
* '''[[김국현]]'''(Alex Kim)
 
* '''[[김국현]]'''(Alex Kim)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거래소 사업을 추진하는 [[업비트 APAC]]의 최고 경영자이다. 김국현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이후, 2006년 [[아서디리틀]](Arthur D. Little)에 입사하여 경영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네이버]] 검색 전략 팀장직을 맡았으며, 2013년 카카오에 입사했다. 그는 카카오 글로벌 비즈니스 디렉터(2013년 ~ 2014년), 카카오 인도네시아 대표(2014년 ~ 2017년)로 근무하며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2016년에는 [[패스모바일]](Pass mobile) 인도네시아 대표와 패스모바일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이렇게 카카오에서 동남아 사업을 맡으며 6년 간 현장을 누빈 결과, 김국현은 2017년 2월 설립된 업비트 APAC 및 업비트 싱가폴르의 대표로 취임했다.
+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거래소 사업을 추진하는 [[업비트 APAC]]의 최고 경영자이다. 김국현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카카오 글로벌 비즈니스 디렉터(2013년 ~ 2014년), 카카오 인도네시아 대표(2014년 ~ 2017년)로 근무하며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카카오에서 동남아 사업을 맡으며 6년 간 현장을 누빈 결과, 김국현은 2017년 2월 설립된 업비트 APAC 및 업비트 싱가폴르의 대표로 취임했다.
  
 
* '''[[이홍규]]'''
 
* '''[[이홍규]]'''
: 라인과 아이콘이 합작하여 설립한 조인트 벤처법인인 [[언체인]](Unchain)의 대표이자 [[라인]](LINE)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2011년 [[유캠프]]를 공동 창업하고 최고기술경영자를 역임했다. 2017년에는 노매드커넥션(Nomad Connection)의 최고정보관리책임자 및 [[데일리인텔리전스]]의 이사로 근무했다. 2018년 5월 [[아이콘루프]](ICONLOOP)의 이사직을 맡았으며, 동시에 아이콘 파운데이션의 기술이사로 취임했다. 이때 다양한 지원과 투자를 검토하는 업무를 도맡았는데, 주요 [[ICO]]나 [[디앱]]들에 대한 기술 검증 및 콜라보레이션, 투자 게약과 컨설팅, 기술 지원, 마케팅 지원, 아이콘과의 협력 지원 등 아이콘 디앱의 성공을 위해 일했다. 2018년 6월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 지휘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블록체인 자회사인 언체인의 대표를 맡았다. 언체인은 라인과 아이콘의 자회사로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체인링크]](Chain LINK)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링크(LINK)는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한 라인의 암호화폐 에코 시스템으로 라인에서 출시될 콘텐츠, 커머스, 소셜, 게임, 암호화폐 거래소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지불과 보상수단으로 사용된다.
+
: 라인과 아이콘이 합작하여 설립한 조인트 벤처법인인 [[언체인]](Unchain)의 대표이자 [[라인]](LINE)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2018년 6월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 지휘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블록체인 자회사인 언체인의 대표를 맡았다. 언체인은 라인과 아이콘의 자회사로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체인링크]](Chain LINK)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링크(LINK)는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한 라인의 암호화폐 에코 시스템으로 라인에서 출시될 다양한 서비스에서 지불과 보상수단으로 사용된다.
  
 
* '''[[신현성]]'''(Daniel Shin)
 
* '''[[신현성]]'''(Daniel Shin)
: 2018년 4월 [[테라]](Terra)를 공동 창립하고 테라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테라 창립 전에는 사무공간 공유 플랫폼 [[패스트 파이브]](Fast Five)를 비롯해 여러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스타트업 지주회사 [[패스트 트랙 아시아]](Fast Track Asia)를 공동 창립하고 현재까지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패스트 트랙 아시아 이전에는 국내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TMON)의 최고경영자로서 이커머스에 대한 폭 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맥킨지 앤 컴퍼니]](McKinsey & Company), 인터넷 광고 기업에서 각각 비즈니스 애널리스트 및 비즈니스 총괄로 근무하며 경여에 대한 감각을 키웠다. 그는 와튼 스쿨에서 경제학 학사를 취득했다.
+
: 2018년 4월 [[테라]](Terra)를 공동 창립하고 테라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테라 창립 전에는 사무공간 공유 플랫폼 [[패스트 파이브]](Fast Five)를 비롯해 여러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스타트업 지주회사 [[패스트 트랙 아시아]](Fast Track Asia)를 공동 창립하고 현재까지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패스트 트랙 아시아 이전에는 국내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TMON)의 최고경영자로서 이커머스에 대한 폭 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 '''[[손우람]]'''
 
* '''[[손우람]]'''

2019년 7월 29일 (월) 17:19 판

업비트(upbit) 거래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또는 간략히 UDC(Upbit Developer Conference)는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지식 공유와 자유로운 토론, 다양한 네트워킹, 예비 개발자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개발자 중심의 콘퍼런스이다. 업비트(Upbit) 거래소를 운영하는 두나무㈜ 회사가 주최하는 행사이다. 제1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8년 제주도에서 개최되었다. 제2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9년 9월 04일(수) ~ 5일(목)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번길 208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에서 진행된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pn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개요

Concept 1.jpeg
Concept 2.jpeg
Concept 3.jpeg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는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지식 공유와 자유로운 토론, 네트워킹을 위한 개발자 중심의 콘퍼런스이다. 글로벌 표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블록체인 생태계에 기여하고자 2018년 9월에 제주도에서 첫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블록체인 개발자 중심의 콘퍼런스로는 아마도 세계 최초의 콘퍼런스일 것이다. 해당 콘퍼런스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 관심있는 개발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주요 기술 혁신과 흐름을 깊이 있게 이야기함으로써, 진정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이끌어가는 데 씨앗이 되는 영감을 주고받으며 나아가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로 블록체인이 꿈꾸는 세상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18년 첫 시작은 'Proof of Developer(개발자 증명)'라는 슬로건으로 진행했다. 이는 새로운 블록에 작업을 완료했음을 증명하듯이, 개발자들은 블록체인 생태계에 새로운 작업 완료를 증명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처음으로 개발자 위주의 콘퍼런스가 개최돼서인지 참여한 개발자들, 여러 연사들 모두 매우 의미있고 개발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행사라고 평가했다.

이에 이어 두나무는 2019년 9월에 제2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를 개최한다. 그동안 블록체인의 가치와 비전을 나눴다면, UDC 2019에서는 각 프로젝트들이 가치와 비전을 어떻게 현실 세계와 접목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며 편리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지를 나누고자 한다. 그래서 UDC는 2019년에 서비스에 주목한다. UDC 2019는 'Proof of Services(서비스 증명)'이라는 주제로 블록체인 기술이 실제 적용된 '서비스'를 대거 소개해 블록체인 기술의 효용성을 증명할 계획이다. 개발자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작업 완료를 증명했다. 이제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수많은 사용자와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증명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UDC 2019에서 만날 수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개발자들과의 지식교류, 블록체인에 대한 통찰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그램, 미래 블록체인 개발자를 꿈꾸는 예비 개발자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까지, UDC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개발자들과 만난다.

UDC 2019는 세 가지 컨셉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컨셉은 개발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다. 글로벌 최고 수준 연사들의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인사이트와 신기술 시연, 트랜드 공유 등 개발자들만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네트워킹 공간을 통해 개발 지식을 공유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컨셉은 심도 있는 지식의 공유이다. UDC 2019는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콘텐츠를 준비했으며 다채로운 패널 세션을 통해서 심도 있는 개발 지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세 번째 컨셉은 함께하는 즐거운 자리다. UDC 2019는 개발자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네트워킹을 강화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또한 다른 콘퍼런스들과 차별화된 이벤트, 액티비티 등 즐길 수 있는 콘퍼런스를 기획했다. 다음은 UDC 2019의 행사개요다.[1]

  • 일시 : 2019년 9월 4일(수) ~ 5일(목)
  • 장소 : 그랜드 하얏트 인천
  • 주제 : 서비스 증명(Proof of Services)
  • 주최 : 두나무㈜
  • 대상 : 개발자,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 있는 누구나
  • 언어 : 한국어, 영어 (영-한 동시통역 제공)
  • 신청 : UDC 등록 페이지(udc.upbit.com/registration)를 통해 6월 24일(월)부터 8월 9일(일)까지 신청
  • 티켓 : 컨퍼런스 전 기간 참가권, 핸즈온 세션(선착순 마감), 네트워킹 라운지 및 현장 이벤트 참가권, 점심 2회 제공, 커피브레이크 제공, 네트워킹 디너 1회 제공, 무선 인터넷, 등록 기념품, 전시 관람권 포함
  1. 블라인드 티켓 : 2019.05.13 (월) ~ 2019.05.24 (금) - 140,000원, 6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능(UDC 2018 참석자 대상)
  2. 얼리버드 티켓 : 2019.05.27 (월) ~ 2019.06.23 (일) - 200,000원, 5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능
  3. 스탠다드 티켓 : 2019.06.24 (월) ~ 2019.08.09 (금) - 300,000원, 2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능
  4. 스튜던트 티켓 : 2019.05.27 (월) ~ 2019.08.09 (금) - 100,000원, 75%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능(선착순 100명 대상. 단 학생증 및 재학증명서 첨부 필수)
  5. 온사이트 티켓 : 2019.09.04 (수) ~ 2019.09.05 (목) - 400,000원, 현장에서 티켓 구매가능

참여 업체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 또는 간략히 헤데라는 해시그래프 합의 알고리즘 기반의 플랫폼을 만든 미국의 기업이다. 대표이사는 맨스 하몬(Mance Harmon)이고 기술이사(CTO)는 리몬 베어드(Leemon Baird)이다.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는 스월즈(Swirlds)사가 만든 해시그래프(Hashgraph) 기술 기반의 새로운 플랫폼이다. 비트코인의 탄생은 어느덧 10년이 지났지만, 블록체인이 내포한 한계에 부딪혀 상용화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젝트들이 확장성, 보안, 분산화 분야에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특정 분야의 솔루션에 그치고 있다. ​해시그래프는 현재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겨냥하는 것처럼 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비트코인의 탄생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다. 엄밀하게 구분하면 해시그래프는 블록체인이 아닌 새로운 기술이며 ‘차세대 블록체인' 혹은 ‘블록체인 2.0’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티티씨(TTC)
티티씨(TTC)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창시자는 정현우 대표이사이다. 티티씨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디앱에 사용자들이 만든 다양한 콘텐츠와 동영상을 올리고 기여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티티씨 플랫폼 기반의 디앱(DApp)으로 중국의 타타유에프오(tataUFO), 얼라이브(ALIVE), 깃닷에코(git.eco) 등이 있다. 티티씨는 2018년 ICO를 끝내고 백서 1.0 버전을 완성하였다. 티티씨 프로토콜은 멀티 레벨 비잔틴 장애 허용(BFT) 및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모델을 사용한다. 티티씨에 투자한 기업으로 한국의 해시드, ㈜네오플라이 등이 있다.[2] 티티씨의 시가 총액은 2018년 10월 기준으로 2,250만 달러(약 247억원)으로서, 시가 총액 198위의 암호화폐이다.[3]
티티씨(TTC)는 기존 소셜 네트워크를 혁신적으로 탈바꿈시킬 탈중앙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지향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이다. 콘텐츠의 가치는 커뮤니티에 의해 결정되며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인센티브 시스템을 통해 그에 합당한 보상을 사용자들에게 돌려준다. 티티씨는 이더리움 ERC-20 토큰 표준에 따라 총 10억 개의 토큰이 발행되고, 토큰 판매, TReE, 에코시스템 구축, 티티씨재단, 팀원, 기존 유저 및 바운티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TReE 엔진은 매일 티티씨를 발행하여 티티씨 프로토콜 에코시스템에 기여하는 모든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티티씨재단(TTC Foundation)은 티티씨 프로토콜의 에코시스템을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리프로토콜(Carry Protocol)
캐리프로토콜(Carry Protocol)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점과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암호화폐이다. 간략히 캐리(Carry)라고도 한다. 캐리의 화폐 단위는 CRE이다. 캐리프로토콜의 공동 대표이사는 최재승, 손성훈이다. 어드바이저로는 해시드김서준 대표 등이 있다. 현재 '온라인 상업'과 '모바일 상업'의 상당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은 여전히 ‘오프라인 상업’을 더 선호하고 있다. 전체 소매 지출의 90%가 오프라인 소매업을 통해 발생하고 있지만 기술적으로 낙후된 상업 시장에는 세 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점마다 고객 정보를 따로 관리하거나 전혀 관리하지 못하고 있어 고객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둘째,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결제 데이터를 통제하지 못한다. 셋째, 오프라인 커머스 광고는 기술적으로 매우 낙후되어 있어 불투명하고 광고 효과에 대한 추적도 어렵다. 캐리프로토콜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가지 해답을 가지고 있다. 상점이 고객을 이해하고 그들과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소비자가 자신의 결제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이를 수익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신뢰할 수 있고, 높은 광고 효율의 새로운 광고 수단을 제공한다. 캐리는 위 3가지 미션을 실현하기 위해 ‘도토 포인트’를 운영하는 스포카와 파트너쉽을 맺고 있다. 이미 7년간 스포카를 운영하며 10,000여 개의 상점과 1,500만 명의 소비자를 확보했을 뿐 아니라, 현재 연간 약 2조원 규모의 결제 데이터를 트랙킹하고 있을 정도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4] 캐리의 토큰 공급량은 약 100억개이며 현재 토큰 판매량은 약 40억개이다.[5]
그라운드엑스(Ground X)
그라운드엑스(Ground X)는 2018년 3월에 일본에서 설립되었다.[6] 한국 최대 모바일 플랫폼인 ㈜카카오블록체인 자회사로, 실용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갖춘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Klaytn)을 개발하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이다. 클레이튼 플랫폼 위에 다양한 디앱(DApp·분산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다. 그라운드엑스의 대표이사는 한재선이다.
그라운드엑스는 자유롭게 개발자들이 들어와 고민하고 연구하는 가능성이 열린 플레이 그라운드, 오픈 그라운드라는 방향성을 가진 '그라운드(Ground)' 와 실험적인(eXperimental), 경험(eXperience)이란 단어에서 X란 알파벳을 도출해 만들어졌다. '세상에 없던 미지의 공간', '무한히 상승하는 성장 가능성', '새로운 시도의 시작' 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라운드엑스는 블록체인의 가능성과 탈중앙화 된 미래를 믿으며 이를 산업화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은 그 가능성에 비해 현실 세계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하며 블록체인이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확장성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필요하고, 그 위에서 카카오 수준의 의미 있는 디앱(DApp)이 나와줘야 하는데, Ground X는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여 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한다.[7]
보어 슈투트가르트(Boerse Stuttgart)
보어 슈투트가르트(Boerse Stuttgart)는 독일의 증권 거래소이다. 보어 슈투르가르트는 유럽의 최대 증권 거래소 중 하나로 2018년 09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을 시작했다. 대표이사는 알렉산더 홉트너(Alexander Höptner)이다. 보어 슈투트가르트는 2018년 09월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슨(BISON)을 출시했다. 바이슨은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라이트코인 등 총 4개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며, 이후 다양한 암호화폐도 지원할 예정이다. 바이슨은 보어 슈투트가르트의 핀테크 자회사인 소와 랩스(Sowa Labs)에서 자체 개발했으며 거래 수수료가 없다는 강점을 내세웠다. 앱을 통해 무료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고 사용자 보안에 대한 기술과 거래 간편성을 강화했다. 기존에는 거래 계정 등록에 며칠이 걸렸지만, 바이슨에서는 몇 분 만에 계정 등록이 가능하다. 보어 슈투트가르트는 기존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좀 더 쉽게 접근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8]
보어 슈투트가르트는 자체 암호화폐 거래 어플 바이슨을 개발한 데 이어 ICO 플랫폼을 출시하였다. 대표이사인 알렉산더 홉트너는 플랫폼을 통해 발행된 거래소 토큰은 중개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다며, 이것이 곧 ICO의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고 동시에 소매 및 기관 투자가의 안정적인 환경에 대한 수요 대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금융감독원과 협력하여 금융시장과 금융상품의 디지털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ICO 플랫폼은 표준화되고 투명한 프로세스을 제공하여 토큰 판매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다중이해자 관점에서 기록하는 앤드투앤드(end-to-end) 인프라를 갖춘다.[9]
슈퍼블록(Superbloke)
슈퍼블록(Superbloke)은 블록체인 기반의 축구 게임 슈퍼스타즈를 만들고 있는 업체다. 대표는 장용숙이다. 슈퍼블록은 블록체인 기반의 축구 게임 슈퍼스타즈를 만들고 있는 업체이다.[10] 슈퍼블록은 '축구에 대한 열정을 갖고 블록체인 기술은 축구팬들에게 어떤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도전하는 IT 및 마케팅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슈퍼블록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정형화된 축구 게임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만들고, 이를 통해 축구팬과 블록체인, 축구를 하나로 연결하고자 한다. 또한 유럽 유명 축구 클럽 및 리그와 IP 라이선스 계약을 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스타트업으로, 선수들의 실제 모습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온더(Onther)가 만든 이더리움 플라즈마 개발 프로젝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플라즈마EVM(Plasma EVM) 기술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탈중앙화되고 튜링완전플라즈마 블록체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2019년 3월 28일에 열린 온더콘2에서 온더가 6개월 동안 연구해온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인 토카막 네트워크를 공개하게 되었다.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스펙의 사이드체인으로 퍼블릭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그대로 옮길 수 있고, 기존 이더리움 개발자 커뮤니티를 그대로 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그리고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수준의 탈중앙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체인 구축 플랫폼이다. zk-DEX를 목표로 하며 기존의 OTC마켓을 블록체인화한 것이다. 악의적인 자금세탁이용경로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암호화폐 거래를 목적으로 한다.
리퀴드 거래소(Liquid)
리퀴드(Liquid) 또는 리퀴드닷컴(liquid.com)은 일본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예전에 쿠오인(Quoin) 거래소라고 부르다가 리퀴드 거래소로 이름을 변경했다. 리퀴드는 거래소 자체 코인으로 리퀴드코인(Liquid Coin)을 발행했다. 리퀴드코인도 예전에는 캐시코인(QASH) 또는 퀘시코인이라고 부르다가, 거래소 이름을 쿠오인에서 리퀴드로 바꾸면서 코인명도 리퀴드코인(LQC)으로 변경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마이크 카야모리(Mike Kayamori)이다.
리퀴드(Liquid)는 암호화폐의 통합적인 금융 서비스 제공을 추구하며 암호화폐 거래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개선한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글로벌 핀테크(FinTech)업체인 쿠오인(Quoine)이 운영하는 리퀴드 거래소는 유동성을 높여 이용자들의 경험을 최적화한 원스톱 거래소로 잘 알려져 있다. 연간 500억 달러에 달하는 거래량을 유치한 쿠오인은 2017년 11월 크라우드 세일을 통해 약 1억 달러가 넘는 자금을 모금했다. 성공적인 세일로 인해 리퀴드 플랫폼 개발을 시작했고 리퀴드는 현재 쿠오인의 축적된 경험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리퀴드 플랫폼은 출시된 상태이며 리퀴드는 다중 거래를 통한 암호화폐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안전성을 제고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미 잘 알려진 프로젝트인 브릴라이트(Bryllite)를 포함하여 여러 과정을 겪어 한국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지원해온 쿠오인은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여 2018년 10월, 리퀴드 거래소의 한국어 지원을 시작하였다. 한국 시장의 진출을 위해 한국 홍보대사 모집과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구축 및 지원도 하고 있다.
메디블록(Medibloc)
메디블록(Medi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통합관리 플랫폼이다. 메디블록 기반으로 작동하는 암호화폐를 메디토큰(Medi Token)이라고 부른다. 현직 의사 출신인 이은솔[11]고우균[12]이 공동 창시했다. 2017년 11월 메디블록 ICO를 진행하여 약 300억원의 투자자금을 확보했다.[13][14] 처음에는 중국의 큐텀(Qtum) 기반의 QRC-20 토큰으로 개발을 시작했으나, 이후 큐텀 플랫폼에서 벗어나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변경했다. 메디블록은 당분간 큐텀 QRC-20 기반의 MED와 이더리움 ERC-20 기반의 MEDX 토큰 두 가지를 병행하여 사용 중이지만, 조만간 메디블록 자체 메인넷을 개발하여 하나로 통합할 예정이다.
메디블록(MediBloc)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이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현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는 각 개인의 의료정보가 개별 의료기관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이 각 의료기관마다 의료 데이터를 따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검사나 진료를 반복하게 되어 매번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다른 분야와 달리 의료 분야는 개인정보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자세히 명시되어 있고 데이터들이 디지털화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런 점들로 인해 의료정보 교환 및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메디블록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여 환자 개인이 주체가 되어 의료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즉,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의료정보 시스템을 환자 중심의 의료정보 시스템으로 전환시키고 개인정보탈중앙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디블록의 공동 창립자인 고우균, 이은솔 대표는 서울과학고 출신으로 특이하게 의사와 컴퓨터공학이라는 두 가지의 이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2017년 12월 15일에 메디블록 ICO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300억원의 투자 자금을 조달했다. 2018년 9월 20일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메디블록의 이더리움 기반 토큰인 MEDX(ERC-20)의 시가총액은 약 1,345만 달러(150억 원)로 254위이고, 큐텀 기반의 MED(QRC-20) 토큰의 시가총액은 966만 달러(108억 원)로, 346위를 차지하고 있다.[15] 메디블록 백서를 발표할 당시, 합의 알고리즘으로 큐텀지분증명(PoS) 방식을 채택했으나, 이후 메디블록 자체 메인넷을 만들기로 결정하면서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으로 변경하였다.[16]
두나무㈜
두나무㈜는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창업자인 송치형이 대표이사를 맡아 회사를 이끌다가, 2018년 1월 이사회 의장으로 옮기고, 후임 대표이사를 이석우가 맡고 있다. 2017년 9월경 글로벌 화폐 거래소인 비트렉스(Bittrex)와 독점 제휴하며 대한민국에 암호화폐거래소인 업비트를 출시하였다. 타 암호화폐 거레소에서는 거래가능한 코인이 10~30종이 전부였지만 비트렉스와 제휴를 한 업비트는 출시시작부터 155개의 코인과 해당 코인을 구매할수 있는 마켓을 171개를 지닌채로 출시했다. 100종이상의 암호화폐를 복잡한 과정없이 거래할수있는점에 큰 인기를 끌었다. 카카오톡계정을 이용해 손쉽게 계좌 개설과 로그인을 할수있는것도 큰 장점이다.카카오의 두나무의 지분율은 8.8%이다. 또 카카오케이큐브벤처스 두나무의 지분 13.3%를 보유하고 있으며,카카오 청년 창업펀드도 약 3.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PC,모바일 앱을 통해 24시간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계좌를 모니터링하고 거래할수있도록 락스크린, 실시간 알림등 모바일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지원한다.
쎄타랩스(Theta Labs)
쎄타랩스(Theta Labs)는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쎄타(Theta)를 만든 회사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동영상 서비스 회사인 슬리버티비(Sliver.tv)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쎄타랩스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CEO)는 미치 류(Mitch Liu)이고, 공동창업자 겸 기술이사(CTO)는 지에이 롱(Jieyi Long)이다. 쎄타랩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쎄타(Theta)를 만든 회사이다. 쎄타 네트워크는 기존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전산망 부족 현상, 네트워크 구축 비용 문제, 그리고 투명성이 결여된 비효율적인 동영상 에코시스템 등 현재 동영상 스트리밍 업계가 직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동영상 서비스 회사인 슬리버티비(Sliver.tv)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블록스트림(Blockstream)
블록스트림(Blockstream)은 비트코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블록체인 개발 회사이다. 2014년 아담 백(Adam Back) 등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들이 모여서 만들었다. 블록스트림은 비트코인의 처리 속도를 향상하기 위한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암호화폐 거래소의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한 리퀴드 솔루션(Liquid Solution)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린지갑(Green Wallet)이라는 비트코인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이 없이도 비트코인 블록체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공위성을 띄우는 블록체인 새틀라이트(blockchain satellite) 서비스를 시작했다. 블록스트림의 주요 인물로 대표이사(CEO)인 아담 백과 최고전략책임자(CSO)인 샘슨 모우(Samson Mow) 등이 있다.
람다256(lambda 256)
람다256(lambda 256)은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다. 연구소장은 박재현이다. 람다256 연구소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다. 람다256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로 잘 알려진 두나무가 단순 수수료 사업을 넘어 블록체인 기술저변확대 및 생태계조성을 목표로 2018년 05월에 설립한 것이며 연구소장은 전 SK텔레콤 박재현 전무가 영입되여 맡는 것으로 하였다.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을 집중하기 위해 2019년 03월에 본사 두나무와 독립 법인으로 분사를 하였고 신임대표는 박재현 전 람다256연구소장이 맡았다. 생태계 조성의 실천으로 람다256은 첫 프로젝트를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플랫폼 루니버스로 하였고 2019년 03월 19일 정식 출시 시켰다. 루니버스 생태계에서 사용 할 토큰 '루크(LUK)'도 발행예정이다. 플랫폼 얼라이언스에 현재까지(공개된)7개 업체가 가담되여 있다.[17]
테라(Terra)
테라(Terra, 大地币)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을 다양한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제공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이다. 테라 프로토콜에는 다른 암호화폐들과 달리 가격 변동이 없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테라'와 가격 안정화를 위한 마이닝 토큰 '루나'가 있다. 가격이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테라'가 국경 없는 디지털 화폐로 사용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한국의 티몬과 배달의민족, 야놀자, 글로벌 쇼핑 플랫폼 큐텐(Qoo10), 동남아 최대 중고거래 사이트 캐러셀 (Carousell), 베트남의티키(TIKI) 등 아시아 25개 이커머스 플랫폼이 참여한 테라 얼라이언스를 통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티켓몬스터(약칭 '티몬')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인 신현성이 공동 창립한 테라(Terra)는 '땅' 또는 '지구'라는 뜻으로서, 땅처럼 안정적인 가치를 가지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18] 테라는 업비트, 바이낸스, 해시드 등으로부터 360억원의 투자 자금을 받았다. 테라에 투자한 업체는 바이낸스랩, 오케이엑스, 후오비캐피탈, 두나무, 폴리체인캐피탈, 에프비지캐피탈, 해시드, 1kx, 케네틱캐피탈, 애링턴XRP캐피탈, 네오플라이 등 다양하다.[19] 테라는 2019년 6월,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간편결제 솔루션 차이(CHAI)를 출시했으며, 현재 티켓몬스터, IDUS에서 사용 가능하다.
테라는 불필요한 중개인이 많은 금융 인프라를 블록체인 기술로 간편화하겠다는 포부로 탄생한 차세대 핀테크 기업이다. 그러기 위한 첫 단추로 스테이블코인 '테라'가 최대한 많은 곳에서 다양한 쓰임새를 가질 수 있도록 결제 서비스를 내놓았다. 신현성 의장은 "블록체인이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려면, 가격 변동이 없어야 한다"면서 "테라는 가격이 오르지 않도록 코인 발행량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20] 더 나아가, 신현성 대표는 대중에겐 기존 은행 시스템과 결제 수단이 익숙하다며 새로 등장하는 디지털 화폐가 성공하려면 기존 결제 수단을 바꿀만한 명확한 혜택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서 테라는 스테이블코인 경제 규모가 성장하면 발생하는 이윤을 소비자 할인으로 환원해 매 결제 시 5-10% 할인을 제공한다.
모스랜드(Mossland)
모스랜드(Mossland)는 현실 세계의 랜드마크들을 소재로 하는 가상 부동산 중심의 게임 플랫폼이다. 모스랜드 게임 경제는 ERC-20 기반의 암호화폐모스코인(Mosscoin)을 화폐로 사용한다. 모스랜드는 2015년 리얼리티 리플렉션(Reality Reflection) 사가 개발했으며, 손우람 대표이사와 노정석 이사가 공동 설립했다. 사용자는 모스랜드 플랫폼을 통해 가상 부동산을 매매할 수 있으며, 경매에 참여하거나 ERC-721 토큰 형식의 액세서리를 거래할 수 있다. 이들이 가상 부동산에 들이는 가상 랜드마크의 업그레이드, 액세서리 추가, 사용자 체크인 늘리기 등의 노력 또한 ERC-721 혹은 더 발전된 형태의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된다. 사용자는 모스랜드 플랫폼에 속한 모든 서비스에서 자신이 소유한 가상 부동산 혹은 액세서리의 동시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게임 개발자들은 가상 자산 거래 시스템을 새로 구축할 필요 없이 모스랜드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가상 부동산과 소유권을 가진 게임 환경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모스랜드 출시 이후에도 보다 높은 기술력과 낮은 거래 수수료를 지불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나온다면, 모스랜드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 될 것이며 모스랜드 내의 자산들은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게 될 것이다.[21]
두나무㈜
두나무㈜는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창업자인 송치형이 대표이사를 맡아 회사를 이끌다가, 2018년 1월 이사회 의장으로 옮기고, 후임 대표이사를 이석우가 맡고 있다. 2017년 9월경 글로벌 화폐 거래소인 비트렉스(Bittrex)와 독점 제휴하며 대한민국에 암호화폐거래소인 업비트를 출시하였다. 타 암호화폐 거레소에서는 거래가능한 코인이 10~30종이 전부였지만 비트렉스와 제휴를 한 업비트는 출시시작부터 155개의 코인과 해당 코인을 구매할수 있는 마켓을 171개를 지닌채로 출시했다. 100종이상의 암호화폐를 복잡한 과정없이 거래할수있는점에 큰 인기를 끌었다. 카카오톡계정을 이용해 손쉽게 계좌 개설과 로그인을 할수있는것도 큰 장점이다.카카오의 두나무의 지분율은 8.8%이다. 또 카카오케이큐브벤처스 두나무의 지분 13.3%를 보유하고 있으며,카카오 청년 창업펀드도 약 3.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PC,모바일 앱을 통해 24시간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계좌를 모니터링하고 거래할수있도록 락스크린, 실시간 알림등 모바일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지원한다.
파워렛저(PowerLedger)
파워렛저(PowerLedger)는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파워레저라고도 한다. 파워렛저는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포함한 블록체인 기반 시장관리/가격책정 등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을 지향한다. 파워레저의 화폐 단위는 POWR이다. 파워렛저의 공동 창시자 겸 회장은 호주의 제마 그린(Jemma Green) 박사이다. 파워렛저는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유도하며, 개인 간 에너지 거래가 가능하게 한 블록체인 기술이다. 즉,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고,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안전성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이 원활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에너지 소비자와 기업 사이에 중개자 없이 태양광 에너지를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파워렛저는 상장 전에 이미 뉴질랜드 최대 에너지 인프라 회사 Vector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토큰 심볼은 POWR이다. 시가총액은 2018년 10월 16일 기준, 753억이며 총 발행량은 10억개이다. ICO는 2017년 9월 8일부터 10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22]
콘텐츠프로토콜토큰(ontents Protocol Token)
콘텐츠프로토콜토큰(Contents Protocol Token)은 영화, 동영상, 음악, 글 등 콘텐츠에 대한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스(Frograms) 회사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화폐 단위는 CPT(씨피티)이다. 주요 인물은 박태훈(Park Taehoon) 대표이사(CEO), 원지현(Alex Jihyun Won) 최고운영책임자(COO), 테디 리(Teddy Lee) 기술이사(CTO) 등이다. 콘텐츠 프로토콜은 건강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해 인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인 왓챠(Watcha)팀이 개발한 토큰 프로젝트이다. 콘텐츠 공급자에게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투명하게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나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더 적극적인 소비자가 될 수 있도록 장려한다.[23] 사용자의 더 적극적인 활동을 위해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CPT를 제공한다. 또한 이용자가 더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CPT를 제공한다.[24]
아바랩스(AVA Labs)
아바랩스(AVA Labs)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 코넬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들과 에민 건 시러(Emin Gün Sirer) 교수가 운영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이다. 아바랩스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 에민 건 시러 교수가 코넬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들과 운영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이다. 아바랩스는 자체 암호화폐아바토큰아발란체(Avalanche)라는 블록체인을 개발하였다. 아바랩스는 눈사태를 뜻하는 영어단어로 산 꼭대기에서 굴러간 눈송이가 점점 커지듯 네트워크에서 합의에 이르는 과정도 진행됨에 따라 신속하고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아발란체 블록체인은 초당 6,000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블록 생성 시간은 1초 정도로 거래 처리속도로만 보면 비자카드보다 두 배 빠르다. 한편, 아바랩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기존의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이 아닌 1970년대 등장한 알고리즘인 비잔틴 장애 허용(PBFT)에 토대를 두고 있다.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은 합의의 과정에서 비잔틴 노드가 제출한 악의적인 메시지를 다수의 선한 노드가 제출한 값으로 수정해 합의를 진행한다.[25] 아바랩스는 2019년 2월, 앤드리슨 호로위츠, 폴리체인 메타스테이블 등으로부터 600만 달러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광고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베이직어텐션토큰(BAT; Basic Attention Token)을 만든 회사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웹브라우저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를 만들었다. 브레이브소프트웨어는 브렌든 아이크(Brendan Eich)가 파이어폭스(FireFox)에서 나온 후, 브라이언 본디(Brian Bondy)와 함께 2015년 5월 28일에 설립한 광고 기술 플랫폼 개발 업체이다. 브레이브소프트웨어는 자바스크립트 창시자이자 모질라재단 CTO였던 브랜든 아이크가 설립했다고 하여 설립 초기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2015년 11월에는 ICO를 통해 25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는 데도 성공했다.[26] 브레이브 소프트웨어의 목표는 광고와 보안에 있어서 웹 생태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다. 사측은 현재 디지털 광고 시장의 구조는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디지털 광고 시장에 만연한 미들맨(middlemen), 트래커(trackers) 그리고 각종 사기로부터 벗어나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원치 않는 광고로 인해 모바일 브라우징 시 5초 이상을 허비하고, 배터리 수명이 21%가량 줄어들며, 무엇보다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는 멀웨어(malware)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27]
퍼블리셔는 구글페이스북이 전체 광고비의 73%가량을 쓸어가며 급격한 매출 하락을 겪고 있으며, 봇(bot)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기 피해가 연간 72억 달러에 달하는 등 고초를 겪고 있다. 즉 퍼블리셔가 부가가치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로 내몰리고 있다. 현행 구조에서는 광고주 역시 손해를 보고 있다. 광고주는 자신이 지불하는 돈이 무엇에 쓰이는지 제대로 된 정보를 얻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타겟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고객들이 무조건 광고를 회피 수단으로 여기는 분위기에 피해를 보고 있다. 브레이브 소프트웨어는 소비자에게 광고 선택권을 돌려줌으로써 소비자, 광고주, 퍼블리셔 모두 승자가 되는 구조로 디지털 광고 시장을 재편하고자 한다. 또한 광고에 따른 수익은 콘텐츠 공급자와 광고 대행사는 물론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공유되도록 할 예정이다.[27]
브레이브 소프트웨어가 개발한 이더리움 기반의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은 퍼블리셔, 광고주 그리고 사용자들 간에 거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브 소프트웨어는 자체 브라우저인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를 개발하여 브라우저 관리 권한을 사용자가 더 가져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기업이 함부로 개인 정보와 쿠기 데이터를 추적하지 못하도록 만든 것이다. 해당 브라우저는 지나치게 가독성을 해치는 광고는 제거하고 제한된 공간에서만 광고를 보여준다. 또한 악성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광고를 차단해 보안성을 높여 사용자는 더 빠르고 안전한 웹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27]

주요 인물

글로벌 발표자

리몬 베어드(Leemon Baird)
해시그래프 창시자
케빈 아보시(Kevin Abosch)
예술가. 아이엠어 코인 발행자
마이크 카야모리
(Mike Kayamori)
리퀴드 거래소 대표
비노드 티와리(Vinod Tiwari)
파워렛저 실장
미치 류
쎄타(Theta) 대표
테드 인(Ted Yin)
아바랩스(ABA Labs) 공동창업자
얀 주(Yan Zhu)
베이직어텐션토큰(BAT) 이사
  • 케빈 아보쉬(Kevin Abosch) : 스튜디오 케빈 아보쉬(Studio Kevin Abosch)의 작가로서, 아이엠어(IAMA) 코인을 발행했다. 그는 정체성과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개념 예술가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존재론적 질문을 다루고 사회적 딜레마에 대응해오고 있다.
  • 리몬 베어드(Leemon Baird) : 블록체인 기술을 뛰어넘는 차세대 알고리즘인 해시그래프(Hashgraph)의 창시자 겸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의 공동 창업자 겸 기술이사(CTO)이다. 동료인 맨스 하몬(Mance Harmon)과 함께 헤데라 해시그래프 회사를 공동 창업했으며 20년 이상 기술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미국 공군사관학교의 컴퓨터과학부 교수와 함께 여러 연구소의 선임 과학자로 활동한 바 있다.
  • 알렉산더 홉트너(Alexander Höptner) : 독일에서 두 번재로 큰 증권 거래소 보어 슈투트가르트(Boerse Stuttgart)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2017년 1월 1일 보여 슈투트가르트 경영 이사회에 선임되었으며 프라이머리 마켓,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디지털라이제이션 등의 사업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 마이크 카야모리(Mike Kayamori) :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리퀴드(Liquid, 구 쿠오인)의 공동 설립자 겸 CEO이다. 그는 디지털 화페와 블록체인의 혁신적인 변화에 영감을 얻어 2014년 마리오 고메즈 로사다(Mario Gomez Lozada)와 함께 쿠오인(Quoine)을 공동 설립했으며 22년 넘게 일본, 미국, 이도, 동남아시아를 넘나들며 투자, 경영, IT, 벤처캐피탈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확보해 왔다.
  • 샘슨 모우(Samson Mow) : 비트코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보안담당 최고 책임자(CSO)이다. 분산화의 중요성과 프로토콜 개발 시 보안 우선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에서 주요 개발자로 자리잡았다.
  • 비노드 티와리(Vinod Tiwari) :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인 파워렛저(PowerLedger)의 사업총괄 실장으로서, 회사에서 비즈니스 개발과 판매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퍼스 에너지, 퓨처 이펙트, 레건 파워 등에서 수년간 에너지 사업 분야를 담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플랫폼, 신재생 에너지 인증서 거래 및 자산 금융 등 파워렛저의 블록체인 기술을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 확산해 나가고 있다.
  • 미치 류(Mitch Liu) :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쎄타(Theta)를 개발한 쎄타랩스(Theta Labs)와 그 모회사인 슬리버 티비(SLIVER.tv)의 공동 설립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2010년 게임뷰스튜디오(Gameview Studios) 설립 후 모바일 게임 탭피쉬(Tap Fish)를 크게 성공시키며 단 6개월만에 일본 대표 게임회사인 디나(DeNA)에 인수되었다.
  • 테드 인(Ted Yin ) :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인 아바랩스(Abalabs)의 수석 프로토콜 아키텍트 겸 공동설립자이다. 그는 코넬대학교에서 에민 귄 시러(Emin Gün Sirer)교수와 로버트 반 레네세(Robbert van Renesse) 교수의 지도하에 컴퓨터 박사과정 3년차를 밟고 있으며 달리아 말키(Dahlia Malkhi) 박사와 긴밀한 협력체제 하에 일하고 있다. 디자인과 실용적 분산시스템 구축이 관심사로 최근에는 내결함성 문제, 합의 프로토콜, P2P 시스템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업적으로는 스노우(Snow) 및 아발란치 프로토콜(avalanche protocol)과 핫스터프 프로토콜(hotstuff protocol) 등이 있다.

한국 발표자

이석우
업비트 거래소 대표
박재현(Jay Park)
람다256 대표
김국현(Alex Kim)
업비트 APAC 대표
정현우(Brian Cheong)
티티씨(TTC) 대표
김도형
핀헤이븐(Finhaven) 대표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고 경제학부를 부전공했다. 2017년 9월 그는 미국 비트렉스와 제휴하여 업비트를 오픈했다. 업비트는 오픈 직후 빗썸을 누르고 한국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고, 한 때 거래금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송치형은 카카오 출신의 이석우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넘기고 회사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대표이사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면서 암호화폐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에서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로 만드는데 큰 기여를 하고 다음과의 합병에도 한 축을 담당하여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지내다가 두나무의 대표이사 자리를 제의 받아 현재 대표이사로 국내 블록체인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28]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람다256(lambda 256)의 대표이다. 그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전산을 공부했으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창업가, 벤처투자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이다. 2018년 5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2019년 3월 람다256 분사와 함께 세계 최초의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런칭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티티씨(TTC)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1,500만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중국내 SNS인 tataUFO의 대표 및 창업자이기도 하다.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의 공동창업자 및 공동대표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바이오메디컬공학을 전공했으며 코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프라인 매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구매 데이터 선순환 플랫폼을 지향하는 캐리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계열사 그라운드X의 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분산시스템과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슈퍼블록(superbloke)의 대표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 LG전자, 브라더게임즈에서 10년 이상 검색·추천·게임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CTO 출신 대표이다. 축구 스타 토큰을 수집하고 성장시켜 디지털 자산화 할 수 있는 축구 수집 디앱FC 슈퍼스타즈를 론칭했다.
㈜온더의 CEO이자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의 대표로서, 토카막 네트워크의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중 한 명이며 플라즈마 EVM(Plasma EVM), 이더리움 재단으로부터 장려금(Grants)을 수여받았다.
메디블록(Medibloc)의 공동대표로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의 치과의사이다. 카이스트와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삼성전자 갤럭시S 제품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다 치과의사가 되었다. 진료실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정보의 활용을 통해 환자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고자 메디블록을 설립했다.
블록체인 기반 투자은행 플랫폼인 핀헤이븐(Finhaven)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암호원장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증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핀헤이븐 인프라를 통해 세계 자본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김도형 대표의 최대 관심사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거래소 사업을 추진하는 업비트 APAC의 최고 경영자이다. 김국현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카카오 글로벌 비즈니스 디렉터(2013년 ~ 2014년), 카카오 인도네시아 대표(2014년 ~ 2017년)로 근무하며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카카오에서 동남아 사업을 맡으며 6년 간 현장을 누빈 결과, 김국현은 2017년 2월 설립된 업비트 APAC 및 업비트 싱가폴르의 대표로 취임했다.
라인과 아이콘이 합작하여 설립한 조인트 벤처법인인 언체인(Unchain)의 대표이자 라인(LINE)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2018년 6월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 지휘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블록체인 자회사인 언체인의 대표를 맡았다. 언체인은 라인과 아이콘의 자회사로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체인링크(Chain LINK)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링크(LINK)는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한 라인의 암호화폐 에코 시스템으로 라인에서 출시될 다양한 서비스에서 지불과 보상수단으로 사용된다.
2018년 4월 테라(Terra)를 공동 창립하고 테라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테라 창립 전에는 사무공간 공유 플랫폼 패스트 파이브(Fast Five)를 비롯해 여러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스타트업 지주회사 패스트 트랙 아시아(Fast Track Asia)를 공동 창립하고 현재까지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패스트 트랙 아시아 이전에는 국내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TMON)의 최고경영자로서 이커머스에 대한 폭 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모스랜드(Mossland)의 대표이다. 그는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와 삼성전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15년 리얼리티리플랙션과 2018년 모스랜드를 창립했다. 컴퓨터공학과 영상처리를 전문으로 공부하고 삼성전자에서 이미지프로세싱을 연구하며 3D기술력과 전문성을 갖춰왔다. 현재 모스랜드를 통해 가상세계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가상 부동산 생태계를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다.
웨이투빗(Way2Bit)의 대표이다. 그는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지난 20년간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플랫폼을 개발하며 플랫폼 사업을 이끌었다. 삼성전자 서버 시스템 개발과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거쳐, NHN에서 본격적으로 게임 플랫폼을 개발한 그는 게임 퍼블리싱 서비스 플렛폼 퍼플(PURPLE) 개발 총괄 및 NHN USA 게임 플랫폼 개발 총괄, 스마일게이트(Smilegate) 모바일 게임 서비스 플랫폼 스토브(STOVE) 개발과 사업 및 제작을 총괄하였다. 또한 모바일 게인 퍼블리셔인 팜플(Palmple)의 초기 구성원으로 활동하며 게임 서비스 사업을 이끌기도 했다.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을 만든 왓챠의 공동설립자 겸 공동대표이다. 그는 왓챠 및 왓챠플레이의 제품 및 사업 총과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중퇴했다.

스페셜 이벤트

UDC 2019 스페셜 이벤트에서는 블록체인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과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전시, 핸즈온, 해커톤, 무료 강좌를 만날 수 있다. 두나무 관계자는 "UDC 2019를 통해 전 세계 블록체인 전문가들의 발표는 물론,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경험을 만끽할 수 있는 다양한 스페셜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전 세계가 주목하는 블록체인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29]

  • 전시 : UDC 2019가 열리는 9월 4일(수)부터 5일(목)까지 블록체인이 적용된 실제 서비스를 한발 앞서 만나볼 수 있는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UDC를 통해 블록체인과 관련된 서비스를 선보이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전시 부스와 함께 30분 프레젠테이션의 기회를 무료로 제공하며 오는 7월 12일(금)까지 신청 가능하다. 참가 신청은 UDC 2019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준비사무국 이메일(udc_program@upbit.com)로 제출하면 된다. 참가 확정 여부는 별도의 심사를 거쳐 개별 공지될 예정이다.
  • 핸즈온 : UDC 참가자들이 직접 디앱(DApp)을 개발해 보면서 실제 블록체인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핸즈온’ 프로그램이 행사 기간 동안 총 3회에 걸쳐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8월 12일(월)부터 8월 23일(금)까지 UDC 유료 참가자에 한해 무료로 신청 가능하며, 각 세션 당 선착순 40명을 모집한다. 최종 참가자들은 개인 노트북을 지참해 핸즈온에 참석할 수 있다.
  • 해커톤 : ‘루니버스와 함께하는 UDC 해커톤’ 행사도 진행된다. 해커톤이란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주어진 시간 동안 이나 웹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하는 행사를 말한다. UDC 해커톤은 블록체인 디앱을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를 이용하여 디앱 개발에 도전해 볼 수 있다. 해커톤에 관심있는 개인이나 팀은 오는 7월 1일(월)부터 7월 21일(일)까지 UDC 홈페이지에서 무료 신청할 수 있고 ‘루니버스를 이용한 디앱 개발’을 주제로 과제를 제출하면 된다. 8월 2일(금)에 발표되는 본선 진출자를 대상으로 8월 23일(금) 두나무 본사 2층 업비트 라운지에서 사전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본선은 UDC가 열리는 9월 4일(수) 낮 12시부터 5일(목) 오전 10시까지 무박 2일동안 진행된다. 총 상금 규모는 5000만원으로 1등에게 3000만원(1팀), 2등에게 1000만원(1팀), 3등 500만원(2팀) 인기상 1팀에게는 100만원 상당의 기념품이 제공된다.
  • 무료 강좌 : 블록체인 산업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블록체인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무료 강좌’도 업비트 라운지에서 개최된다. 8월 6일(화), 13일(화), 20일(화)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진행되며, 매 회마다 1부 ‘블록체인의 개념과 역사,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2부 ‘블록체인이 가져올 생활의 변화, 산업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다. 강연자로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노상규 교수, 중앙일보의 블록체인 전문미디어 ‘조인디’의 고란 콘텐츠 책임자(CCO), ‘넥스트 머니’를 집필한 이용재 작가가 참여한다. 7월 22일(월)부터 7월 31일(수)까지 UDC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무료 신청 가능하다.

지도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행사가 열리는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 있다. 주소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번길 208 이다.

각주

  1. 2019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udc.upbit.com/about/2019
  2. 주승호 기자, 〈티티씨프로토콜, 네오플라이로부터 투자 유치〉, 《벤처스퀘어》, 2018-04-30
  3. TTC, 〈TTC프로토콜: 탈중앙화된 인센티브 기반 소셜 네트워크 프로토콜〉 V1.0, 티티씨 백서
  4. 임유경 기자,〈블록체인 캐리프로토콜, 언블락 벤처스 투자 유치〉, 《ZD net Korea》,2018-11-07
  5. "캐리 WHITE PAPER"
  6. 이안나 기자 , 〈[뉴투분석 카카오가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 일본에 설립한 2가지 이유]〉, 《뉴스투데이》, 2018-03-28
  7. 편집국 , 〈카카오 블록체인이 만들어갈 미래〉, 《브런치》, 2018-04-17
  8. 이지영 기자,〈유럽 최대 증권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소 차린다〉, 《뉴스》, 2018-05-17
  9. 신은동 기자,〈독일 2위 증권거래소, ICO 플랫폼 개발 박차〉, 《서울경제》, 2018-08-03
  10. 슈퍼블록 개요, 〈슈퍼블록, “스포츠팬 위한 블록체인 컬렉션 게임 개발”〉, 《팍스넷뉴스》, 2019-02-12
  11. 김남규 기자, 〈(인터뷰) 이은솔 메디블록 대표 "의사 대신 사업가...블록체인 성장성에 끌렸다"〉, 《IT조선》, 2018-03-13
  12. 오동현 기자, 〈(주목! 이 사람)고우균 메디블록 대표 "블록체인으로 개인 맞춤 의료 구현"〉, 《뉴시스》, 2018-03-21
  13. 명순영 기자, 〈(People) 해외서 ICO 성공 고우균·이은솔 메디블록 공동대표 | 개인 의료정보 공유 모델로 300억 유치〉, 《매경이코노미》, 2018-03-12
  14. 임유경 기자,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찾아서)③메디블록 : 두 젊은 의사의 꿈, 블록체인 타고 날다〉, 《지디넷코리아》, 2018-02-22
  15. "MediBloc (QRC20)", CoinMarketCap
  16. MediBloc, 〈(공지) 메디블록 SDK v0.1 공개〉, 《브런치》, 2018-05-25
  17. 이덕희, 〈“블록체인계 ‘아마존’ 되겠다”…람다256 ‘루니버스’ 출범〉, 《블로터》, 2019-03-20
  18. 블록인프레스, 〈테라 신현성 대표가 말하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모든 것! All about Terra, Interview with Daniel Shin〉, 《유튜버》, 2018-10-31
  19. 김가현 기자, 〈테라, 바이낸스·FBG 등 360억원 투자 유치…티몬·배민과의 시너지 기대돼〉, 《블록인프레스》, 2018-08-30
  20. 이수호 기자, 〈코인 펌핑없는 티몬 '테라'…"카드결제보다 10% 저렴"〉, 《뉴스1》, 2018-09-14
  21. MOSSLAND Ver 2.1〉, 《모스랜드 공식 홈페이지》, 2018-11-13
  22. 파워렛저 백서
  23. 영보스, 〈콘텐츠 프로토콜(CPT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9-01-22
  24. 패치주스, 〈12월 11일 오후 9시!! 코박에서 콘텐츠 프로토콜 퍼블릭세일이 진행되었답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2-11
  25. 강민승 기자,〈페이스북 투자자 참여한 블록체인 아발란체, 아바 토큰 공개 예정〉, 《매일경제》, 2019-07-11
  26. 이지현 기자, 〈자바스크립트 창시자가 만든 모바일 웹브라우저 '브레이브'〉, 《블로터》, 2016-01-22
  27. 27.0 27.1 27.2 이성주 기자, 〈광고 방지 웹 브라우저 브레이브, 30초만에 392억원 조달〉, 《토큰포스트》, 2017-06-01
  28. 고진영 기자, 〈Who is?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2018-04-16
  29. (뉴스)두나무, 'UDC 2019 스페셜 이벤트' 공개〉, 《업비트 공식 홈페이지》, 2019-06-14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문서는 행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