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산군 (황해북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지도)
잔글 (Asadal님이 연산군 문서를 연산군 (황해북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4년 5월 7일 (화) 02:48 판

북한 위치
황해북도 위치
연산군 위치

연산군(延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

연산군의 면적은 546.94km²이며 인구는 66,568명(2008)이다. 동쪽으로 신평군, 남쪽으로 수안군·연탄군, 서쪽으로 상원군, 북쪽으로 평양직할시 강동군·평안남도 회창군과 접한다. 남동~북서(대군리~송산리) 간의 길이는 44km이고, 남서~북동(도치리~대룡리) 간의 길이는 22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78%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14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연산읍이다.

연산군이라는 지명은 연산읍이 된 수안군 연암면의 '延' 자를 따오고 이 많다 하여 '山'을 붙여 만든 이름이라 한다.

참고로 조선의 제10대 왕인 연산군과는 이름만 같을 뿐 전혀 관계없다.[3]

자연환경

연산군은 언진산줄기(彦眞山-)와 멸악산줄기(滅惡山-) 그리고 지맥들로 하여 대부분 지역이 산지로 되어 있다. 해발 50~600m 되는 지역이 연산군 전체면적의 94.8%를 차지한다. 남부 수안군과의 경계지역으로 뻗은 언진산줄기에는 대각산(大角山, 1,278m), 언진산(彦眞山, 1,120m), 시루봉(880m)과 그 지맥에 있는 가덕산(可德山, 806m), 동산(東山, 601m)을 비롯한 해발 1,000m 안팎의 산들이, 서부 상원군과의 경계지역으로 뻗은 멸악산줄기에는 대청산(大靑山, 873m), 가련산(加連山, 666m) 등 산들이 솟아 있다.

지질은 평양융기대 양덕-수안돌출대의 남쪽부분에 해당되는 지역으로서 시생대 낭림층군암층과 상부원생대 상원계 퇴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원계 직현통은 상곡리, 대평리, 도치리 일대에, 사당우통과 묵천통 암층은 반천리, 생금리, 홀동노동자구 일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주요 지하자원으로는 금, 동, 납, 아연, 홀동석, 붕고회석, 흑납, 석면, 운모 등이 있다. 토양은 대각산, 언진산을 중심으로 해발 1,000m 이상 되는 일부 지역에는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그밖의 지역에는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바다의 영향을 거의 받지 못하여 대륙성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연평균기온은 9.1℃, 1월 평균기온은 -8.6℃, 8월 평균기온은 24.1℃, 최고극기온은 35.7℃(1970년 8월 12일), 최저극기온은 -29.6℃(1981년 1월 5일)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555℃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100mm이다.

첫서리는 10월 9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25일경에 내린다. 북서풍이 우세하며 봄과 가을에 비교적 세게 분다. 하천은 길이가 5km 이상의 하천이 15개 유입되어 있는데, 큰 하천은 남강과 그 지류인 배미천이다. 연산군 영역에서 남강의 길이는 57.2km, 배미천의 길이는 44.7km이다. 연산군은 북한 온대중부의 식물상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상이 비교적 다양하다.

산림은 연산군 전체면적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60%가 해발 200~500m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해발 200m 아래에 28%, 해발 500~1,200m 되는 지역에 12%가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소나무와 참나무가 기본 수종을 이루고 있다.

해발 300~400m 이하의 낮은 산지대에서는 소나무 · 떡갈나무 · 노간주나무 · 생강나무 · 다릅나무 · 창성잎갈나무 · 돌배나무 · 잡관목 등이, 해발 400~800m 되는 지역에서는 졸참나무 · 굴참나무 · 잣나무 · 사시나무 · 사스래나무 · 싸리나무 · 고로쇠나무 · 단풍나무 · 자작나무 · 노린재나무 · 박달나무 · 층층나무 등이, 해발 800m 이상 되는 지대에서는 신갈나무 · 피나무 · 전나무 · 가문비나무 · 달피나무 · 물푸레나무가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두릅, 만삼 등 경제식물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언진산 일대에는 노루, 부엉이, 꿩 등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4]

역사

연산군 지역은 대부분 지역이 수안군에 속해 있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황해도 수안군(遂安郡)의 도소면(道所面) · 수구면(水口面) · 연암면(延岩面) · 공포면(公浦面)의 전체 리와 대오면(大梧面)의 6개 리, 곡산군(谷山郡) 서촌면(西村面)의 1개 리를 통합하여 연산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수안군 연암면의 율리 · 연금리 · 소채리를 병합하여 연산읍(延山邑)으로, 도소면의 대두리와 용천리를 병합하여 대룡리(大龍里)로, 도소면의 옥검리와 흥덕리를 병합하여 옥덕리(玉德里)로, 도소면의 생검리와 금화리를 병합하여 생금리(生金里)로, 대오면의 원신리 · 낙현리와 동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락리(新樂里)로, 대오면의 경도리 · 시리원리 · 수치리를 병합하여 도치리(道峙里)로, 수구면의 석달리와 보광리를 병합하여 보석리(寶石里)로, 연암면의 양곡리 · 상대리 · 하대리를 병합하여 대평리(大坪里)로, 연암면의 상암리 · 보전리 · 봉곡리를 병합하여 상곡리(祥谷里)로, 공포면의 영천리와 하회리를 병합하여 공포리(公浦里)로, 공포면의 마산리와 대달리를 병합하여 대산리(大山里)로, 공포면의 방화리와 비정리를 병합하여 방정리(芳井里)로, 수구면의 사치리 · 석현리 · 신현리를 병합하여 신흥리(新興里)로, 수구면의 유현리 · 덕암리 · 임강리를 병합하여 유강리(楡江里)로, 수안군 수구면의 군치리 · 대강리와 곡산군 서촌면의 금성리를 병합하여 대군리(大軍里)로, 도소면의 송촌리와 용두리를 병합하여 송촌리(松村里)로, 공포면의 송산리와 송전리를 병합하여 송산리(松山里)로, 공포면의 육잠리 · 반천리 · 기내리를 병합하여 반천리(飯泉里)로 각각 개편하였다가, 얼마 후 보석리를 홀동노동자구(笏洞勞動者區)로 승격하여 1읍 1구 16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옥덕리 일부가 연산읍에 편입되었고, 유강리 일부를 분리하여 덕암리(德岩里)를 복귀하였으며,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북도 연산군으로 되었다. 1958년에 신흥리가 홀동노동자구와 덕암리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었고, 1973년에 상곡리 일부가 연산읍에 흡수되었으며, 1974년에 유강리가 대군리에, 덕암리가 홀동노동자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1986년에 상곡리 일부가 연산읍에, 신락리 일부가 수안읍에 편입되었고, 1995년에 송산리 일부가 평양시 상원군 은구리와 노동리에 편입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연산읍), 1구(홀동노동자구), 14리(공포리, 대군리, 대룡리, 대산리, 대평리, 도치리, 반천리, 방정리, 상곡리, 생금리, 송산리, 송촌리, 신락리, 옥덕리)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군 소재지는 연산읍이다.[5]

산업

연산군의 경제는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그리고 농산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공업에서 기본은 유색금속생산을 위한 채굴업이다. 연산군의 광석채굴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군의 동부에는 오랜 역사를 가진 홀동광산(笏洞鑛山)을 비롯한 여러 개의 광산들이 있으며 대평지구에는 대평광산(大坪鑛山)이 새로 개발되었다. 이 광산들에서는 유색금속광물과 흑연을 비롯한 중요한 지하자원을 채굴하고 있다.

지방원료 원천에 의거한 지방 공업은 식료품, 일용품, 피복 및 편직물, 화학, 종이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군의 지방공업에서는 이 지방에 풍부한 농산물, 산중부원 등을 기본 원료로 한 식료품공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가구류, 털가죽가공품, 부엌세간, 천과 옷, 종이류, 의약품들도 산출되고 있으며 시멘트, 소석회도 다량으로 생산된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논이 11%, 밭이 74%, 과수밭이 10%, 뽕밭이 4%를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 벼, 콩, 수수, 메밀, 담배, 들깨 등이 있다. 연산군에서는 채소전문작업반을 구성해 놓고 무, 배추, 양배추, 시금치, 고추 등 채소를 생산하여 군내 주민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사과와 배, 복숭아, 살구가 기본을 이루고 있으며 이밖에 포도, 자두, 살구, 대추, 단버찌, 딸기 등도 산출되고 있다. 특히 살구재배면적은 황해북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축산업에서는 소, 토끼, 염소, 양, 돼지, 닭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양잠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산 경사지와 빈 땅을 이용하여 뽕나무밭을 조성하고 누에고치 생산을 늘리고 있다.[6]

교통

서부로 평양~원산 관광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이 도로를 통하여 수안, 신평, 삼등, 상원과 연결된다. 이 밖에 북달, 공포, 연금, 아천, 금화(생금) 지역을 잇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광물을 운반하는 삭도도 있다. 연산~수안, 연산~상원, 연산~신평, 연산~홀동, 연산~삼등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평덕선의 삼등역까지는 24km, 수안읍까지는 7.8km, 신평읍까지는 72km, 황해북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까지는 89.6km, 평양까지는 75.2km이다.[7]

지도

동영상

각주

  1. 연산군 (황해북도)〉, 《위키백과》
  2. 연산군(북한)〉,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연산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연산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연산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연산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연산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산군 (황해북도)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