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유랩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Ubbey Network)
잔글 (같이 보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Ulabs.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유랩스(ULabs) 로고]]
+
[[파일:유랩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유랩스'''(ULabs) 로고]]
'''[[유랩스]] ULabs (Universal Labs)'''  
+
[[파일:유랩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유랩스'''(ULabs) 로고]]
  
=='''개요'''==
+
[[파일:Ulabs.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유랩스(ULabs)의 로고]]
[[파일:KedaChe Founder.jpeg|200픽셀|썸네일|오른쪽|파운더(Keda Che)]]
+
'''유랩스'''(ULabs) 또는 '''유니버셜 랩스'''(Universal Labs)는 가정용 소형 데이터 저장장치인 [[유비박스]](Ubbey Box)를 연결하여 만든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유토큰]]'''(YOU token)을 만든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케다 체]](Keda Che)이다.
2015년 블록체인 Ownership technology 개발을 시작하였고, 2018년 2월 ICO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다.
 
하버드대 소프트웨어 개발과 정보시스템 석사, 오하이오대 수학 및 경제학 박사 과정의 케다체는 2015년부터 블록체인 개발을 하는 YQTC를 설립하였고 글로벌 기업에 대한 블록체인 컨설팅을 진행해왔다. 공동창업자 사미 메하라는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링크드인과 허브스팟등 IT 대기업에서 일을 해 왔다. 
 
스탠포드대 물리학박사 라이언연, 칭화대 출신의 블록체인 개발자, 그 외 알리바바, 텐센트 출신의 디자이너, 싱가포르 난양대 출신 사업개발책임, 뉴캐슬대, 15년간 B2B 빅데이터 전문 개발자 등으로 팀이 구성되었다. 
 
 
=='''사업배경'''==
 
디지털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은 일반 기관이나 사람들이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이를 특허, 실용신안, PCT로 가는 과정은 너무 많은 돈과 시간이 든다.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는 대기업이 글로벌 기업이 비즈니스에 관한 모든 지재권을 가져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범용적 프로토콜이 없으며 자산의 정품 검증, 기존 클라우드 모델로는 한계를 가진다.
 
 
=='''Ubbey Network'''==
 
블록체인이 무엇보다도 먼저, 해결해야하는 문제는 엔진의 성능 즉, 트랜젝션과 확장성이다 그 이유는 트랜젝션과 확장성은 아직 아무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시한 Ubbey Network는 오너쉽 프로토콜이라는 하드웨어 기반의 개별 노드 중심에 확장성을 갖는다. 하드웨어 노드를 기반으로 디지털 및 물리적 자산의 소유권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러한 노드는 데이터의 클라우드 저장, 여러 개의 네트워크와 연결이 가능하며, PoS(Proof of Storage)합의 알고리즘으로 채굴을 할 수 있다.<ref>박수정기자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356328 유니버셜 랩스, 후오비 카니발 참가, ‘우베이 네트워크’ 선보여]>,⟪아시아뉴스통신⟫</ref>
 
  
==='''토큰이코노미'''===  
+
== 주요 인물 ==
개인저장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토큰(You코인)을 채굴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제공하여 보상을 받는다.  
+
[[파일:KedaChe Founder.jpeg|300픽셀|썸네일|오른쪽|유토큰의 창시자 '''[[케다 체]]'''(Keda Che)]]
==='''저장증명'''===
 
저장증명이란 증명인 A와 확인자 B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단계로 구분된 프로토콜이다. 단계의 초기에는 A는 사이즈가 N인 데이터 D를 저장하려고 하며, B는 반면에 B는 아주 적은 조각의 정보를 들고 있다. 그 후 나중에 B는 증명 집행 단계를 시작하고 마지막으로 B는 거절 또는 수용이라는 결과를 도출한다.
 
==='''You코인'''===
 
Ubbey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연산은 네트워크 악용을 방지하고 합의 알고리즘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수료를 받는다. 그러한 트랜잭션에 필요한 수수료는 yo라는 단위로 명시된다. yo는 OWP (소유프로토콜)상에서의 컨트랙트의 생성, 컨트랙트의 실행, 사생활이 보호되는 소유권 거래의 성사 등을 포함한 Ubbey 네트워크상에서의 모든 연산에 대한 수수료로 사용된다. 각 연산에 필요한 구체적인 yo의 양은 실행하려는 연 산의 종류와 필요로 하는 시스템 자원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YOU코인은 연산에 필요한 yo를 구입하는데 사용되며, yo의 가격은 YOU코인의 개수로 표시된다. yo의 가격은 사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과 네트워크상 의 트랜잭션의 양에 따라 유동적이다
 
==='''소유권 등록'''===: 소유권 등록을 위한 절차는 먼저, 자산이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한다. 다음으로 소유권이 소유자의 신원과 함께 확인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자산은 의심의 여지가 없어야 한다.
 
  
[[파일:UbbeyBox.png|300픽셀|썸네일|오른쪽|유비 박스(Ubbey Box)]]
+
=== 케다 체 ===
 +
유랩스의 대표이사 겸 [[유토큰]]의 창시자인 [[케다 체]](Keda Che)는 중국 [[홍콩]] 출신으로서,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수학 및 경제학 학사, [[하버드 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정보시스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케다 체는 2015년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오너십 테크놀로지]](Ownership Technology)를 창업했고, 2016년 공급망 관리 블록체인 솔루션 스타트업인 [[YQTC]]를 설립했다. YQTC는 중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가운데 16위에 오르기도 했다. 케다 체는 [[하버드 대학교]], [[피델리티]](Fidelity), [[시티]](Citi), [[나스닥]](Nasdaq) 등이 공동 후원하는 [[블록체인 리서치 랩]](Blockchain Research Lab)에서 근무했다. 또한 그는 [[알리바바]], [[바이두]] 등 [[포춘]] 500대 기업들에게 블록체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했다.<ref name="홈페이지">유랩스 공식 홈페이지 - http://ulabs.technology/</ref>
  
=='''Ubbey box'''==  
+
=== 새미 메흐라 ===
블록체인 노드로 채굴기, 데이터 저장, P2P 네트워크 공유 기능을 한다. 판매가격 USD199이다.
+
유랩스의 공동 창업자인 [[새미 메흐라]](Sammy Mehra)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를 받았다. 그는 [[링크드인]]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고, 케다 체와 함께 [[오너십 테크놀로지]]를 공동 창업했다. 새미 메흐라는 블록체인 개발 분야에서 다년간 근무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유토큰]]의 공동 창시자이다.<ref name="홈페이지"></ref>
저장 용량이 크고 많은 Ubbey box가 있으면 앉아서 돈을 벌 수도 있다는 상상을 할 수 있다.<ref>[http://ulabs.technology/?lang=en ULabs 홈페이지]</ref>  
 
  
=='''ICO 정보'''==  
+
=== 라이언 위안 ===
ULabs의 ICO는 2018년 1월 5일 시작하여, 5월 31일 종료하였고 하드캡 기준 300억원 가량을 투자 받았다.<ref>[https://www.icodata.io/coin/ulabs ICO데이터] </ref> (토큰가격 USD0.007) 이 때 텔레그램 유저는 32,737 트위터 6298, 페이스북 173, 알렉사 3,759,618명이었고 ICO 데이터 평가 점수 86/100<ref>[https://icomarks.com/ico/universal-labs ICO마크]</ref>  
+
유랩스의 수석 과학자인 [[라이언 위안]](Ryan Yuan)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석사 및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물리학]], [[수학]], [[빅데이터]], [[머신러닝]]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학회지와 잡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실었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라이언 위안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데이터 과학자,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머신러닝 과학자로 근무했다가 유랩스에 합류했다.<ref name="홈페이지"></ref>
  
=='''문제점'''==  
+
=== 방스 주 ===
하드웨어 기반은 미들웨어나 펌웨어 정보를 통해 카피 또는 업그레이드하여 우지한과 같은 거대한 집단이 네트워크를 장악할 수 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하드웨어 관점에서 생각했다는 것은 이 전과는 다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
유랩스의 핵심 [[블록체인]] 개발자인 [[방스 주]](Vence Zhou)는 중국 [[칭화대학]]을 졸업하고, [[텐센트]]에서 [[시스템 아키텍트]]로 근무했다. 그는 텐센트에서 [[웨이보]] 플랫폼, 모바일 [[큐큐]] 게임 플랫폼, 모바일 게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ref name="홈페이지"></ref>
  
 
{{각주}}
 
{{각주}}
  
 +
== 참고자료 ==
 +
* 유랩스 공식 홈페이지 - http://ulabs.technology/
 +
* 박수정 기자,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356328 유니버셜 랩스, 후오비 카니발 참가, ‘우베이 네트워크’ 선보여]〉, 《아시아뉴스통신》, 2018-08-14
 +
* Fox Business, "[https://www.youtube.com/watch?v=gak31SiQRNI Ubbey Box can kill Dropbox, Apple: Universal Labs founder]", ''Youtube'', 2018-05-18
  
== 참고자료 ==
+
== 같이 보기 ==
 +
* [[유토큰]]
 +
* [[유비박스]]
 +
* [[케다 체]]
  
* [http://ulabs.technology/?lang=en ULabs 홈페이지]
+
{{블록체인 개발업체|토막글}}
* [https://ulabs.tech/images/Universal-Labs-WhitePaper.pdf ULabs whitepaper]
 
* 박수정기자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356328 유니버셜 랩스, 후오비 카니발 참가, ‘우베이 네트워크’ 선보여]>,⟪아시아뉴스통신⟫
 
* [https://icomarks.com/ico/universal-labs ICO마크]
 
* [https://www.icodata.io/coin/ulabs ICO데이터]
 

2018년 12월 25일 (화) 21:03 기준 최신판

유랩스(ULabs) 로고
유랩스(ULabs) 로고
유랩스(ULabs)의 로고

유랩스(ULabs) 또는 유니버셜 랩스(Universal Labs)는 가정용 소형 데이터 저장장치인 유비박스(Ubbey Box)를 연결하여 만든 분산형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유토큰(YOU token)을 만든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케다 체(Keda Che)이다.

주요 인물[편집]

유토큰의 창시자 케다 체(Keda Che)

케다 체[편집]

유랩스의 대표이사 겸 유토큰의 창시자인 케다 체(Keda Che)는 중국 홍콩 출신으로서,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수학 및 경제학 학사, 하버드 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정보시스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케다 체는 2015년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오너십 테크놀로지(Ownership Technology)를 창업했고, 2016년 공급망 관리 블록체인 솔루션 스타트업인 YQTC를 설립했다. YQTC는 중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가운데 16위에 오르기도 했다. 케다 체는 하버드 대학교, 피델리티(Fidelity), 시티(Citi), 나스닥(Nasdaq) 등이 공동 후원하는 블록체인 리서치 랩(Blockchain Research Lab)에서 근무했다. 또한 그는 알리바바, 바이두포춘 500대 기업들에게 블록체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했다.[1]

새미 메흐라[편집]

유랩스의 공동 창업자인 새미 메흐라(Sammy Mehra)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를 받았다. 그는 링크드인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고, 케다 체와 함께 오너십 테크놀로지를 공동 창업했다. 새미 메흐라는 블록체인 개발 분야에서 다년간 근무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유토큰의 공동 창시자이다.[1]

라이언 위안[편집]

유랩스의 수석 과학자인 라이언 위안(Ryan Yuan)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석사 및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물리학, 수학, 빅데이터, 머신러닝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학회지와 잡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실었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라이언 위안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데이터 과학자,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머신러닝 과학자로 근무했다가 유랩스에 합류했다.[1]

방스 주[편집]

유랩스의 핵심 블록체인 개발자인 방스 주(Vence Zhou)는 중국 칭화대학을 졸업하고, 텐센트에서 시스템 아키텍트로 근무했다. 그는 텐센트에서 웨이보 플랫폼, 모바일 큐큐 게임 플랫폼, 모바일 게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1]

각주[편집]

  1. 1.0 1.1 1.2 1.3 유랩스 공식 홈페이지 - http://ulabs.technology/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유랩스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