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화웨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표)
30번째 줄: 30번째 줄:
  
 
== 대표 ==
 
== 대표 ==
 +
화웨이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는 런정페이(Ren Zhengfei)이다. 1944년 구이저우성 안순이라는 산골 마을에서 런정페이는 2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67년 충칭건축공정학원(현 충칭대 공대)을 졸업한 그는 건설회사 엔지니어로 일하다 1974년 공병으로 인민해방군에 입대했다. 랴오닝성 랴오양의 화학섬유공장 건설 및 비행기 제작 공장에서 ‘011’이라는 암호가 붙은 군사통신 시스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통신연구소 부소장(기술직 부연대장급, 계급은 소령)으로 승진했다. 1982년 열린 중국공산당 제12차 전국대표대회에 인민해방군 소속 당대표로 참가하기도 했다. 1983년 대규모 감군 당시 그는 군복을 벗고 광둥성 선전에 있는 국영 석유기업에 배치됐다. 4년 뒤인 1987년 광둥성 선전에서 자본금 2만1000위안(약 362만 원)으로 중국 우전부(郵傳部·한국의 옛 정보통신부) 소속 정보통신연구소 연구원 5명과 함께 화웨이를 창업했다. 당시 화웨이는 홍콩으로부터 소형 교환기를 수입해 판매했다. 1992년 독자적으로 개발한 전자식 교환기를 쓰촨성 부성장을 지낸 장인의 도움으로 국영기업 등에 대거 납품하면서 성장가도를 달렸다. 1990년대 후반에는 중국 메이저 통신장비업체로 부상했으며, 특히 인민해방군의 프로젝트를 독점 수주해왔다.
 +
2004년 글로벌시장 진출 당시엔 중국 국가개발은행으로부터 100억 달러(약 11조7150억 원)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 2012년 이후 매년 30% 이익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170개국에 통신장비를 판매하는 등 통신장비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31%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5세대(5G) 통신 분야에서도 선두주자다. 글로벌 통신기업 40개 업체와 5G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고, 설치된 기지국 수도 7만 곳에 이른다. 스마트폰 부문에서도 미국 애플을 제치고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 소개 ==
 
== 소개 ==
 
  
 
== 특징 ==
 
== 특징 ==
42번째 줄: 43번째 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화웨이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huawei.com/en/
 
* 화웨이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huawei.com/en/
 +
* 이장훈, 〈[http://weekly.donga.com/3/all/11/1725794/1 화웨이는 중국 국영기업?]〉,《주간동아》, 2019. 05. 13
 +
 +
 +
〈[]〉,《조선비즈》, 2018. 11. 2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5월 13일 (월) 14:15 판

화웨이(Huawei)는 정보 통신 기술 (ICT) 인프라 및 스마트 장치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선두 업체이다. 텔레콤 네트워크, IT, 스마트 장치 및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은 4 가지 핵심 영역에 걸친 통합 솔루션을 가진다. 화웨이의 혁신은 고객의 니즈에 중점을 두고, 세계를 발전시키는 기술 혁신에 집중하여 기초 연구에 크게 투자한다. 화웨이는 180,000 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170 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987년 런정페이(Ren Zhengfei)가 화웨이를 설립하였다.

연혁

  • 1987년 : 중국 신전(Sgenzhen)에 PBX(Private Branch Exchange) 스위치를 생산하는 홍콩 회사의 판매 대리점으로 설립
  • 1990년 : 호텔 및 소기업을 대상으로하는 PBX 기술의 독립적인 연구 및 상용화에 착수
  • 1992년 : 연구 개발 및 시골지역 디지털 전환 솔루션 출시
  • 1995년 : 주로 중국의 시골 시장으로부터 RMB15억의 매출을 창출
  • 1997년 : 무선 GSM 기반 솔루션 출시, 1998년 대도시 지역으로 확장
  • 1999년 : 인도 방갈로르에 R & D 센터 설립. 2001년 CMM 레벨4 인증 획득, 2003년 CMM 레벨5 인증 획득
  • 2000년 : 스톡홀름, 스웨덴에 R & D 센터 설립, 국제 시장에서 1 억 달러를 창출
  • 2001년 : 비핵심 자회사 Avansys를 에머슨(Emerson)과 7억5천만 달러에 분할, 미국에 4개의 연구개발센터 설립 , 국제 전기통신연합(ITU)에 가입
  • 2002년 : 국제 시장 판매액 5억 5200만 달러
  • 2003년 :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네트워킹 솔루션에 중점을 둔 3Com과의 합작 투자 설립
  • 2004년 : Siemens와 TD-SCDMA 솔루션 개발을 위한 합작 투자 설립
  • 2005년 : 국제 계약 주문이 국내 판매를 초과함, 영국 텔레콤(British Telecom)의 21CN(21Century Network)공급 업체로 선정되어 멀티 서비스 네트워크 액세스 구성 요소 및 광 전송 장비제공
  • 2006년 : 모토로라(Motorola)와 상하이에 기반을 둔 R & D 센터 설립으로 UMTS 기술 개발
  • 2007년 : 시만텍과 합작 투자하여 스토리지 및 보안 장비 개발, 2007년 말 유럽의 모든 최고 경영자와 파트너십 체결
  • 2008년 : 비지니스 윅(Business Week)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회사 중 하나로 인정, 2천만대 이상 출하된 모바일 광대역 장치에서 ABI의 1위
  • 2009년 : 무선 접속 장비의 세계 시장 점유율 2위
  • 2010년 : 이코노미스트가 2010년 "혁신 기업상" 수상
  • 2011년 : 약 2천만 대의 스마트폰 출하, 최고 6개의 LTE 어워드 수상
  • 2012년 : 클라우드 컴퓨팅 33 개국의 고객과 협력하여 매일 약 70,000명의 직원이 사용하는 세계 최대의 데스크톱 클라우드를 구축
  • 2013년 : 글로벌 금융 위험을 관리하고 재무 운영이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런던에 Financial Risk Control Center (FRCC)를 설립하고, 유럽 ​​물류 센터는 유럽, 중앙 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 전역의 국가를 대상으로 헝가리에서 공식 운영
  • 2014년 : 9개국에 5세대 기술 연구소 설립, 7 천 5 백만 개 이상의 스마트 폰을 출하
  • 2015년 : 세계 지적 재산권기구 (WIPA) 통계에 따르면 2 년 연속 3,898 건의 출원을 통해 최고 특허 출원자, SDN 기반 민첩 IoT 솔루션을 출시
  • 2016년 : 화웨이는 170 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1,500 개가 넘는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여 전 세계 인구의 3 분의 1 이상을 지원
  • 2017년 : 클라우드 비즈니스 유닛 (BU)을 설립, 화웨이(Huawei)의 클라우드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14 개 주요 범주에 걸쳐 99 개의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또한 제조, 의료, 전자 상거래, 연결된 차량, SAP, HPC 및 IoT 애플리케이션을위한 50 개 이상의 솔루션을 출시
  • 2018년 : 중국의 유일한 기업으로 84억달러의 브랜드 가치를 기록하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는 포보스(Forbes)의 2018년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Most Valuable Brands 2018)로 선정
  • 2019년 : 화웨이(HUAWEI)는 5G 멀티 모드 칩셋인 Balong 5000과 이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상용 5G 기기인 HUAWEI 5G CPE Pro를 출시

대표

화웨이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는 런정페이(Ren Zhengfei)이다. 1944년 구이저우성 안순이라는 산골 마을에서 런정페이는 2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67년 충칭건축공정학원(현 충칭대 공대)을 졸업한 그는 건설회사 엔지니어로 일하다 1974년 공병으로 인민해방군에 입대했다. 랴오닝성 랴오양의 화학섬유공장 건설 및 비행기 제작 공장에서 ‘011’이라는 암호가 붙은 군사통신 시스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통신연구소 부소장(기술직 부연대장급, 계급은 소령)으로 승진했다. 1982년 열린 중국공산당 제12차 전국대표대회에 인민해방군 소속 당대표로 참가하기도 했다. 1983년 대규모 감군 당시 그는 군복을 벗고 광둥성 선전에 있는 국영 석유기업에 배치됐다. 4년 뒤인 1987년 광둥성 선전에서 자본금 2만1000위안(약 362만 원)으로 중국 우전부(郵傳部·한국의 옛 정보통신부) 소속 정보통신연구소 연구원 5명과 함께 화웨이를 창업했다. 당시 화웨이는 홍콩으로부터 소형 교환기를 수입해 판매했다. 1992년 독자적으로 개발한 전자식 교환기를 쓰촨성 부성장을 지낸 장인의 도움으로 국영기업 등에 대거 납품하면서 성장가도를 달렸다. 1990년대 후반에는 중국 메이저 통신장비업체로 부상했으며, 특히 인민해방군의 프로젝트를 독점 수주해왔다. 2004년 글로벌시장 진출 당시엔 중국 국가개발은행으로부터 100억 달러(약 11조7150억 원)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 2012년 이후 매년 30% 이익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170개국에 통신장비를 판매하는 등 통신장비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31%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5세대(5G) 통신 분야에서도 선두주자다. 글로벌 통신기업 40개 업체와 5G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고, 설치된 기지국 수도 7만 곳에 이른다. 스마트폰 부문에서도 미국 애플을 제치고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소개

특징

사건 사고

각주

참고 자료


〈[]〉,《조선비즈》, 2018. 11. 26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가 필요합니다.  

  의견.png 이 화웨이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