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코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코스모스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
[[파일:로커스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로커스체인'''(Locus Chain)]]
[[파일:코스모스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
[[파일:로커스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로커스체인'''(Locus Chain)]]
[[파일:텐더민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텐더민트]]'''(Tendermint)]]
 
  
'''코스모스코인'''<!--코스모스 코인-->(Cosmos Coin, 宇宙币) 또는 간략히 '''코스모스'''(Cosmos)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코스모스체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블록체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해 마치 블록체인 인터넷(internet of blockchain)처럼 상호 연계되어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코스모스 네트워크는 [[존]](zone)이라고 불리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병렬 블록체인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존은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TBFT; Tendermint Byzantine Fault Tolerant) 합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고, 코스모스 허브는 각각의 존들을 연결하는 기간망으로 작동한다.<ref>강석오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567 보스코인·코스모스, ‘블록체인 인터넷’ 구축 협력]〉, 《데이터넷》, 2017-05-10</ref> 코스모스체인을 개발한 회사는 '''[[텐더민트]]'''(Tendermint)이고, 창시자는 한국계 미국인인 '''[[재 권]]'''<!--재권-->(Jae Kwon, 권용재)이다.
+
[[파일:블룸테크놀로지 글자.png|썸네일|300픽셀|'''[[블룸테크놀로지]]'''(Bloom Technology)]]
 +
[[파일:이상윤.jpg|썸네일|200픽셀|'''[[이상윤]]''' 대표이사]]
 +
[[파일:김세정.jpg|썸네일|200픽셀|'''[[김세정]]''' 공동창업자]]
  
==개요==
+
'''로커스체인'''<!--로커스 체인|로커스체인|Locus Chain-->(Locus Chain)은 PC 및 휴대폰 등 널리 보급된 일반적인 디바이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초당 수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 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로커스체인의 슬로건은 "실제 사용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로커스체인의 창시자는 [[블룸테크놀로지]] 회사의 '''[[이상윤]]'''이다.
코스모스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분야 프로젝트다. 독립 블록체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의 인터넷’을 표방한다. 반면 지금 대부분의 블록체인들은 상호운용성 없이 별개로 존재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비트코인을 쓸 수 없는 것도 상호운용성이 없어서다. 또한,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경우, [[PoW]] 방식의 에너지 비효율, 거래량 처리 등 확장성의 한계, 미성숙한 [[거버넌스]] 등의 결함이 지적되어 왔다. 이외에도 암호화폐의 상호운용을 위해 제 3자인 [[거래소]]에서 거래를 승인받고 거래가 완료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거래소의 보안이 취약한 문제도 있다.<ref>Ash Han 한승환, 〈[https://brunch.co.kr/@ashhan/32 코스모스와 아톰 – Cosmos&Atom Token]〉, 《브런치》, 2016-12-24</ref> 가장 이상적인 해결책은 수천 개의 블록체인을 확장성과 보안성이 보장된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스모스는 허브와 존(Hubs and Zones)이라는 두 종류의 블록체인 구조를 만들었다. 존은 서로 다른 각각의 블록체인이며 허브는 존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블록체인이다.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허브와 존들은 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통신한다. 토큰들은 존들 간 거래소의 유동성 없이 허브를 통과하여 하나의 존에서 다른 존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전송될 수 있다. 코스모스 허브는 각 존이 보유한 토큰 총액을 추적하며, 누구든지 코스모스 허브에 새로운 존을 연결할 수 있어 새로운 블록체인과도 호환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코스모스는 블록체인을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텐더민트 코어와 코스모스 SDK로 블록체인을 강력하고 쉽게 개발할 수 있게 했다. 그리고 IBC 프로토콜과 페그존을 통해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들이 서로 가치(토큰)와 데이터를 거래하는 동시에 자체 블록체인의 권한을 유지하도록 했다. 또, 코스모스는 수평적 및 수직적 확장성 솔루션을 통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이 수백만 명의 사용자로 확장될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 코스모스는 제품이 아니라 모듈형, 적응형, 상호교환이 가능한 도구 세트를 기반으로 구성된 생태계다. 2017년 4월 코스모스코인은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원]](Coinone)을 통하여 [[ICO]]를 진행하여, 불과 1분 만에 펀딩 목표 금액인 1,000만 달러(약 110억원)를 투자 자금으로 모금 완료했다.<ref name="강희영">강희영 기자, 〈[http://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674 코인원, 전 세계 최초 ‘코스모스 블록체인’ 아톰(ATOM) 상장]〉, 《CBC뉴스》, 2019-02-19</ref>
 
  
==주요 인물==
+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적인 문제점은 [[네트워크]] 전송량과 [[트랜잭션]] 계산량이다. 로커스체인에서는 네트워크 전송량과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샤딩]]을 통한 서브네트워크 구성 및 분산처리를 채택하고 있다. [[샤드]] [[합의 알고리즘]]은 [[비잔틴 장애 허용]](BFT) 계열을 응용하여 트랜잭션 확정까지의 시간을 단축한다. 원장 구조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계열 데이터 구조를 채택하여 리얼타임 동적 샤딩 및 [[프루닝]]을 구현하고 있다.
[[파일:재 권.jpg|썸네일|200픽셀|'''[[재 권]]'''<!--재권-->(Jae Kwon, 권용재) 코스모스코인 창시자]]
 
* [[재 권]] :  재 권(Jae Kwon)코스모스코인(Cosmos Coin)의 창시자이다. 한국계 미국인으로, 한국식 이름은 권용재이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그는, 작업증명방식(PoW)의 결점인 나씽 앳 스테이크(Nothing at Stake)를 악용한 공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텐더민트(Tendermint) 합의 알고리즘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블록체인 업계의 유명 인사로 떠올랐다. 그는 지금도 텐더민트를 개선하고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개발과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그는 스위스 추크의 인터체인 재단(Interchain Foundation)에서 이사직을 맡아 코스모스(Cosmos)의 비전을 홍보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의 상호 운용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등장배경==
+
로커스체인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인 [[로커스]](LOCUS)를 발행했으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레이드]], [[라토큰]]에 상장되었고 추후 메인넷이 발표되면 로커스 코인으로 [[아토믹스왑]](atomic swap)을 지원할 예정이다.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2세대 [[이더리움]], 3세대 [[이오스]], [[카르다노|카르다노(에이다)]], [[테조스]], [[네오]] [[퍼블릭 블록체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은 2008년에 만들어진 [[P2P]] (peer-to-peer) 디지털 통화이다. [[PoW]]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블록체인 상에서 운영되는 최초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이었다. 당시 이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코드베이스를 포킹하거나 그 위에 바로 구축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그러나 비트코인 코드베이스는 매우 단일화되어 있었고, 네트워킹, 합의 및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세 가지 층 모두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비트코인 스크립팅 언어는 제한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이지도 않았다.  
 
  
2014년 [[비탈릭 부테린]]은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해 비트코인과는 차별화된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단일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을 내놓았다. 이더리움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이라는 가상 머신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를 달성했다. 이 가상 머신은 개발자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배포할 있는 [[스마트 계약]]을 처리 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접근법으로 인해 수천 명의 개발자가 [[디앱]]을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접근법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번째는 확장성이다. 이더리움 위에 구축된 디앱의 [[TPS]]는 15건이다. 이것은 PoW 사용과 이더리움 디앱들이 단일 블록체인의 제한된 리소스를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생긴 문제이다. 두 번째는 사용성이다. EVM은 모든 사용 사례를 수용해야 하는 샌드박스이기 때문에 평균 사용 사례에 대해 최적화돼 있다. 이는 개발자가 디앱의 설계와 효율성을 절충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보다도 몇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로 제한되어 있어 코드 자동 실행을 구현할 수 없다. 마지막은 권한의 문제다. 각각의 디앱이 모두 동일한 기본 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에 주권에 제한이 있다.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은 디앱 계층과 기본 환경 계층이라는 두 개의 관리 계층을 만든다. 전자는 후자에 의해 제한된다. 디앱에 버그가 있는 경우, 이더리움 플랫폼 자체의 거버넌스에 의해 승인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수행 할 수 없다. EVM에 새로운 기능이 필요한 디앱의 경우 이더리움 플랫폼의 거버넌스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 즉,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사용자 맞춤형 로직을 배포할 수 있는 가상 머신 블록체인을 제공하여 디앱 개발을 단순화했다. 그러나 블록체인 자체 개발을 단순화한 것은 아니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이더리움은 포크하기가 어렵고,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모놀리식 기술 스택으로 남아 있다.  
+
== 개요 ==
 +
'''로커스체인'''(Locus Chain)은 '''탈중앙화'''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성능''' 및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먼저 로커스체인은 탈중앙화의 중요한 요소로서 누구나 쉽고 공정하게 참여할 있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일반적인 PC와 휴대폰 및 IoT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성능, 저장 공간, CPU속도 및 계산량의 한계를 이해하고, 이 위에서 무리 없이 동작하는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를 개발하여 이를 로커스체인 전체 시스템으로서 구현해 나가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더리움의 문제점은 이더리움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사용 사례에 맞는 단일 플랫폼을 만들려고 한는 모든 블록체인에 적용된다. 즉, 현재 블록체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블록체인이 기존 블록체인과 상호 운용이 불가능하며, 심지어 암호화폐들 자체 간에도 상호 운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각 화폐는 자체 블록체인과 자체 커뮤니티를 가지면서 지나치게 독립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스모스가 탄생한 것이다. 코스모스의 비전은 개발자들이 서로 소통을 할 수 있는 환경에서 블록체인을 만듦으로 블록체인 간의 장벽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최종 목표는 분산된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블록체인의 인터넷’을 만드는 것이다. 코스모스를 이용하면 블록체인들은 자신의 블록체인에 대한 권한을 가질 수 있고, 트랜잭션을 신속하게 처리하며 생태계의 다른 블록체인과 통신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사례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스모스는 [[텐더민트]], 코스모스SDK 및 IBC 프로토콜과 같은 오픈 소스 도구 세트를 통해 사람들이 맞춤식, 안전성, 확장성 및 상호 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디앱을 신속하게 구축 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코스모스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cosmos.network/intro</ref>
+
먼저, 원장 구조로서 처리 성능을 담보하기 어려운 선형구조 대신 비선형구조인 '''DAG(Directed Acyclic Graph)'''를 채용하였다. 로커스체인의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구조는 어카운트/유저를 중심으로 트랜잭션 그래프를 구성하여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DAG구조이다. 각 트랜잭션의 전후 관계와 다른 트랜잭션들과의 관계가 그래프상에 직접 배치됨으로 고속 참조가 가능하면서도, 어카운트 단위로 정보를 총합 관리함으로써 샤드간 이동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특징==
+
다음, 로커스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은 PoS(Proof-of-Stake)를 기반으로 하는 '''BFT합의'''를 채택하고 있다. PoW(Proof-of-Work)와  Nakamoto합의가 가지는 비효율적인 CPU계산량 소모와 불확정성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다. BFT합의의 고속화를 위해, 로커스체인은 전체 네트워크 노드 중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를 공정한 방법으로 랜덤하게 샘플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랜덤 선출에는 각 노드의 로커스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여러 가지 기여도가 반영된다. PoS를 통해 코인의 지분 소유량이 반영될 수 있고, 노드의 온라인 시간 등 코인량 이외의 내용도 반영이 가능하다.
[[파일:텐더민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TBFT)]]
 
  
=== 텐더민트 코어===
+
그리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다이내믹 샤딩(Dynamic Sharding)'''도입되어 있다.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BFT합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하나의 어카운트는 한번에 단 하나의 샤드에서만 처리된다. 따라서 로커스체인에서는 노드 숫자가 늘어나면 이에 비례하여 트랜잭션 처리량이 늘어난다.
[[파일:코스모스 구조.jpg|썸네일|500픽셀|코스모스 블록체인 구조]]
 
최근까지 블록체인을 구축하려면 처음부터 3개의 층(P2P 네트워킹 층, 합의 층, 애플리케이션 층)을 모두 구축해야 했다. 텐더민트 코어는 3개의 층 중에서 P2P 네트워킹 층과 합의 층을 일반 엔진으로 묶어 개발자가 복잡한 기본 프로토콜이 아닌 디앱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즉, 텐더민트 코어는 두 개의 층, 즉 합의 층과 P2P 네트워킹 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결과적으로 텐더민트는 수백 시간의 개발 시간을 절약하게 한다. 텐더민트의 유용함은 사용자보다는 디앱 개발자에게 작용한다. 또, 텐더민트는 텐더민트 코어 엔진 내에서 사용되는 비잔틴 장애 허용(BFT) 합의 알고리즘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텐더민트 코어 엔진은 ABCI(Application Blockchain Interface)라는 프로토콜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층에 연결된다. 이 프로토콜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래핑할 수 있으며, 개발자들이 그들의 필요에 맞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게 끝이 아니다. 텐더민트 코어를 최첨단 블록체인 엔진으로 만드는 속성은 다음과 같다.
 
  
* '''퍼블릭/프라이빗 블록체인''' : 텐더민트 코어는 블록체인의 P2P 네트워킹 층과 합의 층만 처리하는데, 이는 노드들이 트랜잭션을 전파하고, 검증자들이 블록체인에 추가하기 위한 일련의 트랜잭션 합의를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검증자들을 선출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층의 역할이다. 따라서 개발자는 텐더민트 코어 엔진 위에 퍼블릭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모두 구축할 수 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 층이 얼마나 많은 토큰을 보유하고 있느냐를 기준으로 검증자를 선출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경우, 이 블록체인은 PoS(Proof-of-Stake)로 특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 층에서 사전에 승인된 제한된 세트만 검증자가 될 수 있다고 정의하면, 블록체인은 허가형 또는 프라이빗으로 특성화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개발자는 블록체인의 검증자 선출 방식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
또한, 각 노드가 꼭 저장하여아만 하는 원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프루닝(pruning)방법으로써 '''[[베리파이어블 프루닝]]'''(Verifiable Pruning) 기술이 개발, 채택되어 있다.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은 삭제된 과거의 데이터와 현재 가지고 있는 데이터간의 정합성을 암호학적인 방법으로 검증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이를 통해 현재의 트랜잭션을 합의하는 데 당장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스토리지에서 삭제할 있고, 이 상태에서도 과거 데이터와의 정합성 검증과 해쉬값 참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이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기술을 응용하여, 새로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가 비교적 소량의 최근 데이터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짧은 시간 안에 곧바로 네트워크에 기여가 가능한 구조가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장치 등 제한된 저장 용량만을 갖는 디바이스에서도 로커스체인의 완전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고성능''' : 텐더민트 코어는 1초 단위로 블록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초당 최대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 할 ​​있다.
 
* '''즉결성''' : 텐더민트 합의 알고리즘의 속성은 즉각적인 최종성이다. 검증자의 1/3 이상이 정직한(byzantine) 이상, 포크는 결코 만들어지지 않는다. , 사용자는 블록이 생성되자마자 트랜잭션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PoW 블록체인에서는 그렇지 않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
+
위와 같은 로커스체인의 특징은, IoT상의 디바이스 등 아주 적은 성능의 장치들이 제약없이 노드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머신투머신]](M2M) 거래, 소매점 단말기,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자동차]] 등의 미래산업에 블록체인이 바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로커스체인의 개발자들은 초당 수십억 건의 이벤트를 처리해야 하는 게임 엔진 개발 경험을 살려 데이터 원장구조에서부터 합의알고리즘,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까지 로커스체인 프로젝트에 모두 담으려 하고 있다.
텐더민트는 [[비트코인]]의 [[작업증명]](PoW) 합의 알고리즘이 지닌 속도, 확장성, 과다한 전기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에 탄생했다.<ref>안성주지몬, [http://potensj.tistory.com/15 (백서 정리)코스모스 백서 정리(Cosmos Whitepaper)-1]〉, 《티스토리》, 2018-07-31</ref> 1988년 [[MIT]]에서 개발한 [[BFT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지분증명]](PoS) 알고리즘의 Nothing-at-stake 문제를 해결한 최초의 프로젝트다. 즉, 코스모스는 [[텐더민트 BFT 합의 알고리즘]]에 기반한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오늘날, 사실상 모든 비트코인 모바일 지갑은 신뢰할 수 있는 서버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검증을 제공한다. 이것은 작업 증명의 트랜잭션이 확정된 것으로 간주되기 전에 많은 확인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코인베이스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이미 이중 지출 공격이 나타나기도 했다. 다른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과 달리, 텐더민트는 즉각적이고 안전한 모바일-클라이언트 지불 검증을 제공한다. 텐더민트는 절대 포크를 하지 않도록 설계돼 있어 모바일 지갑은 즉각적으로 거래 확인을 받을 수 있어 스마트 폰에서 신뢰가 필요없는 결제를 실현할 수 있다.  
+
== 역사 ==
 +
[[파일 : BloomTechnology_logo.png|썸네일|250픽셀|오른쪽|'''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개발을 맡고 있는 '''블룸테크놀로지'''(Bloom Technology) 로고]]
 +
'실용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을 목표로 로커스체인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https://www.bloomtechnology.co.kr 블룸테크놀로지]는 한국게임산업의 1세대 개척자였던 이상윤 대표가 1994년 판타그램(Phantagram Limited)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회사이다. 판타그램은 파트너 회사인 [http://www.blueside.co.kr 블루사이드(Blueside Inc.)]와 함께 유명 게임 시리즈 '킹덤 언더 파이어(Kingdom Under Fire)', '나인티 나인 나이츠(Ninety Nine Nights)' 등을 만든 게임 엔진 개발회사이다. 20년 동안 판타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사와 4개 이상의 콘솔 게임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출시했고 유수의 PC 게임 타이틀을 발표했다. 그중 '킹덤 언더 파이어: 크루세이더(Kingdom Under Fire: Crusaders)'는 2004년 대한민국게임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킹덤 언더 파이어2는 약 1000억의 투자를 받았지만 10년이상 출시를 못하였고, 출시 후에도 흥행부진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있다. 게임 엔진 기술은 수십만 유저가 참여하여 실시간 초당 수십억개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로 블록체인과 같은 P2P 기술과 관련성이 높다. 판타그램은 3D 그래픽 최적화, 데이터 분산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7년 블록체인 개발 사업을 시작하고 2018년 법인명을 '블룸테크놀로지'로 변경했다. 블룸테크놀로지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인 로커스체인의 개발을 맡았고 자회사인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Locus Chain Foundation Pte. Ltd.)'은 사업전반을 맡고 있다.
  
코스모스의 검증자들은 비트코인의 채굴자들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대신 암호서명을 사용해 투표를 한다. , 검증자는 다음 블록에 대해 합의하기 위해 암호서명 투표를 전달하여 합의 프로토콜에 참여한다. 검증자의 투표 권한은 투표권이 담보로 묶인 토큰의 양(PoS)에 따라 결정된다. 이 합의 알고리즘은 고정된 알려진 검증자들을 필요로 하며, 각각의 검증자는 공개키로 식별된다. 검증자는 한 번에 한 블록씩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 한 블록에 대한 합의를 위한 투표는 각 라운드에서 진행된다. 각 라운드에는 라운드 리더 또는 블록을 제안하는 제안자가 있다. 그런 다음 검증자들은 제안된 블록을 수락할지 아니면 다음 라운드로 넘어갈지에 대해 단계적으로 투표한다. 라운드 제안자는 검증자들의 투표권에 비례하여 순서화된 검증자 목록에 의해 선택된다.
+
== 주요인물 ==
 +
* '''[[이상윤]]''':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 대표 및 블룸테크놀로지 대표를 맡고 있다. 이상윤 대표는 10대였던 1987년 처음으로 8-bit PC상에서 상용 게임을 만들어 이를 한국과 일본에 판매했으며, 판타그램 및 블루사이드를 통해 "킹덤 언더 파이어" 게임시리즈를 비롯하여 [Forgotten Saga (PC)], [Kingdom Under Fire Crusaders (Xbox)], [Ninety Nine Nights (Xbox360)] 등을 디렉팅 및 프로듀싱하였다.
  
검증자가 아닌 노드들은 ‘[[아톰]]’이라고 부르는 그들의 지분 토큰을 임의의 검증자에게 위임하여 블록 수수료와 아톰 보상을 얻을 수는 있으나, 위임된 검증자가 해킹당하거나 [[프로토콜]]을 위반할 경우, 처벌을 받게 될 수도 있다.<ref name="황치규기자">황치규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36 (심층분석)인터블록체인 플랫폼 코스모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 《더비체인》, 2018-12-05</ref>
+
* '''[[김세정]]''' : 로커스체인의 공동창업자이다. 게임 개발사 [[블루사이드]]의 대표이기도 하다. 2007년에는 문화관광부 표창장을 받기도 했다.
  
====검증자====
+
* '''[[주영현]]''': 1998년 판타그램에 합류한 이후 드래곤플라이, 엔플레버, 블루사이드 등을 거치면서 게임 엔진 게임 기술 개발 디렉터를 역임했다. 블룸테크놀로지의 테크니컬 디렉터로서 로커스체인의 기술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텐더민트는 검증자 수가 많아질수록 통신의 복잡도가 증가하여 속도가 느려진다.<ref name="김가현기자">김가현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9423 “3세대 코스모스, 무엇이 다른가”...첫 코스모스 아카데미 서울서 열려]〉, 《블록체인프레스》, 2018-10-03</ref> 반면 충분한 검증자들을 통해 블록체인의 전 세계 분산화 및 매우 빠른 이체확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ref name="블록인프레스">블록인프레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919 코스모스의 가치에 대한 이해]〉, 《블록인프레스》, 2018-04-26</ref> 또한 대역폭이나 저장공간 병렬 컴퓨팅 용량이 증가하면서 더 많은 검증자들을 지원할 수 있다.<ref name="김민석"></ref> 텐더민트는 처음 최대 검증자 수가 100명이 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10년동안 매년 13%비율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총 300명의 검증인을 가질 것이다.<ref name="kim066"></ref> 허용된 검증자 수보다 많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누구든지 검증자이 될 수 있다. 만약 검증자 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가장 적은 아톰을 보유한 검증자보다 더 높은 아톰을 담보로 제공해야 하며, 이런 경우 새로운 검증자가 기존 검증자를 대체할 수 있다. 검증자 관련 인센티브는 아래와 같다.
 
  
* '''검증자 처벌''' : 동일한 높이 또는 라운드에서 이중 서명 혹은 텐더민트 합의 프로토콜을 위반한 행위는 즉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검증자는 해당 지위를 상실하고 예치된 보증금과 지분을 상당히 잃을 수 있다.<ref name="Peter Yoon"></ref> 때때로 지역 네트워크 단절, 전원 장애나 그 밖의 이유로 검증자는 단절될 수 있다. 그 경우 과거의 투표가 이루어지지 않은 횟수를 고려하여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검증인을 비활성화하고 지분의 일정 부분을 잃게 한다. 특정 악의적 행위는 블록체인 내 명확한 증거가 남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압도적 다수의 합의가 있다면, 검증자들은 외부에서 합의하여 악의적 검증자를 제외 시킬 수 있다.<ref name="김가현기자"></ref> 투표권의 1/3 이상이 악의적으로 연합하여 코스모스를 중단시키거나 이들이 악의적 행동의 증거가 블록체인으로 들어오지 않게 검열하여 삭제하는 경우, 허브는 하드포크를 통한 블록 재조정 프로포잘로 복구되어야 한다.<ref name="krexchange"></ref>
+
* '''[[이길호]]''': 1987년부터 게임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1994년 판타그램의 설립자 하나로 개발 책임 및 매니지먼트를 맡았다. 로커스체인에 합류해서는 암호 기술 및 매니지먼트를 돕고 있다.
* '''인센티브''' : 코스모스 검증자들은 아톰뿐만 아니라 어떤 유형의 토큰이라도 이체 수수료로 받을 수 있다.<ref name="블록인프레스"></ref> 각 검증자는 교환비율과 이체방식을 주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징수된 수수료는 세금을 제외하고 본딩된 아톰에 비례하여 주주들에게 재분배된다.<ref name="publicworker"></ref> 투표권을 다른 검증자에게 위임하는 아톰 보유자는 일정 수준의 수수료를 위임받은 검증자에게 지급한다.<ref name="kim066"></ref>
 
* '''세금''' : 이체된 수수료 지금준비금 세금은 ‘지급준비금 풀’에 충당이 되며 이는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보안과 가치를 높이는 데 이용된다.<ref name="김민석"></ref>
 
* '''해커에 대한 인센티브''' : 코스모스 허브 보안의 핵심은 검증자인데, 이들이 해킹당할 경우 네트워크 전체의 보안이 위험해질 수 있다.<ref name="krexchange"></ref> 따라서 코스모스 허브는 해커들이 특정 검증자에게 해킹당한 사실을 알린다면, 해킹이 확인된 즉시 해당 검증자와 위임자들은 비활성화되고, 검증자과 위임자들의 아톰이 감소하며 해커는 그만큼 보상을 받는다(약 5%).
 
  
===코스모스 SDK===
+
* '''[[장순목]]''' : 30년 이상 개발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와이디온라인 CTO , 디지타워 엔터테인먼트 CEO, 나인버드게임즈 CEO 등을 역임했다. 게임을 비롯해 보안시스템, 비전센서, 시뮬레이터,  AI, IOT 등의 개발 및 운용 경험이 있고 스크린야구와 관련된 특허 10여종의 발명자다.
텐더민트 코어는 블록체인의 개발 시간을 몇 년에서 몇 주 단위로 단축하지만, 처음부터 안전한 ABCI-app을 구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작업이다. 이것이 코스모스 SDK가 존재하는 이유다. 코스모스 SDK는 텐더민트 코어 위에 안전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과정을 간소화하는 일반화된 프레임워크다. 그것은 다음의 두 가지 주요 원칙에 기반한다.
 
  
* '''모듈성''' : 코스모스 SDK는 모든 코스모스 도구와 마찬가지로 모듈형으로 설계되었다. 코스모스 SDK의 목표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의 각 기능을 처음부터 코딩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별 블록체인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모듈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누구나 코스모스 SDK 용 모듈을 만들 수 있으며, 블록체인에서 준비된 모듈을 사용하는 것은 모듈을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져오는 것만큼 간단하다. 예로, 텐더민트 팀은 코스모스 허브에 필요한 기본적인 모듈 세트를 만들고 있다. 이 모듈들은 개발자가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는 새로운 모듈을 만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가 발전함에 따라 SDK 모듈 생태계가 확장되어 복잡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점점 쉬워질 것이다.
+
* '''[[오구라 타케유키]]''': 20년 넘게 IT 업계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으며 개발 프로젝트의 최고 책임자를 역임했다. GPGPU 프로그램과 프로토타입 등에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Dena, 그리고 기타 유수의 세계적인 IT 업체에서 수석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 '''기능 기반의 보안성''' : 기능은 모듈 간의 보안 경계를 제한하므로 개발자는 모듈의 구성 가능성에 대해 더 많이 추론하고 악의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의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다.  
 
  
또한, 코스모스 SDK는 CLI(command line interfaces), REST 서버 및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유틸리티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한 유용한 개발 도구를 함께 제공한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
* '''[[문영배]]''' : IMF 및 국제기구등에 블록체인 기반의 CBDC, 국내 기업들의 블록체인 기반 다양한 프로젝트에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블록체인협회 부회장을 역임중이다.
  
==== 이더민트 ====
+
* '''[[스티브 오]]''' : 미국 스탠퍼드 로스쿨 법학 박사이고, 삼성전자 기업변호사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법무팀 대표 변호사 등 국내외 수많은 유수 기업의 법률 고문 역할을 했다.  
코스모스 SDK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듈화를 통해 개발자가 이미 [[Go언어]]로 만든 블록체인 코드베이스를 그 위에 포팅<ref>각기 다른 환경을 가지는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이식하려면 하드웨어에 맞추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포팅이라고 한다.</ref>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더민트는 EVM을 SDK 모듈로 포팅하는 프로젝트로, 텐더민트 위에 이더리움을 구현한 것이다. 이더민트는 이더리움과 똑같이 작동하지만 텐더민트 코어의 모든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또, 기존 이더리움 도구 (Truffle, Metamask 등)는 이더민트와 호환되므로 추가 작업없이 스마트 계약을 포팅할 수 있다. 그래서 Rust, Go, Haskell 등 특정 언어로 쓰인 현재의 이더리움 코드베이스를 가져와서 텐더민트의 컨센서스 엔진을 사용하여 ABCI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수 있다.
 
코스모스와 함께 이더민트를 출시하여 개발자들이 두 생태계의 장점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을 통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함과 동시에 텐더민트 컨센서스 엔진이 제공하는 최고의 성능을 누린다. 이더민트는 Web3 호환성, 매우 높은 처리량, 병렬 확장서, 트랜잭션 완결성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Web3 완벽한 호환성''' : 이더민트는 이더리움의 web3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RPC엔드 포인트를 통해 이더리움 클라이어트 관련 도구들과 완벽하게 호환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 멋진 지갑 UI를 개발한 개발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식(port)하고 이더민트에서 실행하는데 아주 적은 시간이 걸린다. 코드 값 하나만 변경하면 된다. 바로 사용자가 가리키는 URL값 하나이다.
 
* 매우 높은 처리량  : 텐더민트의 [[PoS]] 엔진에서 실행되는 만큼 이더리움을 사용하는 것보다 이더민트를 사용하면 빠른 속도을 가진다. 처리량이 높은 컨센서스 엔진 위에서 실행된 스마트 계약은 사용자끼리 경쟁을 하지 않아 수수료가 저렴하다. 텐더민트는 EVM보다 트랜잭션 수를 최대 20배까지 더 많이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마비되거나 트랜잭션 수수료가 폭등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이더민트에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함으로써 수수료를 20배에서 최대 50배까지 절약할 수 있다.
 
* '''무한한 병렬 확장성''' : 이더리움(Ethereum)의 가장 큰 문제는 확장성이다. 이더리움은 최대 12.5 TPS만 처리할 수 있다. 반면 이더민트는 200 TPS까지 처리할 수 있지만 이것 또한 충분하지 않다. 이것을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무한한 병렬 확장성(Unlimited Horizontal Scalability)이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 허브가 론칭되었고 이더민트가 최대 처리량인 200 TPS에 도달했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는 코스모스의 모듈 기반 디자인으로 탄생한 허브(hub)와 존(zone) 덕분에 두 번째 이더민트 존(zone)을 만들어서 IBC 프로토콜을 통해 허브(hub)에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 바로 400 TPS까지 처리를 할 수 있다. 이것으로도 부족하면 이더민트 존을 두 개 더 붙여 800 TPS를 달성하는 식으로 병렬적으로 확장성을 달성할 수 있다.
 
* '''즉각적인 거래 완결성'''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작업증명(PoW)은 최종적인 결정을 하지는 않는다. 이론적으로는 51%의 공격에 의해 이미 생성된 블록도 뒤집힐 수 있다. 블록이 완결성을 가진다는 뜻은 블록이 뒤집힐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합의 프로토콜은 이러한 100% 완결성을 보장해주지 않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서 컨센서스가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이더리움의 작업증명 역시 확률적으로 완결성을 가진 것뿐이지 100% 완결성을 갖지는 못한다. 반면 이더민트는 100% 완결성을 보장하는 블록이 평균적으로 1초 이내에 생성이 된다.<ref>코스모스 코리아,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9D%B4%EB%8D%94%EB%AF%BC%ED%8A%B8-ethermint-%EB%A5%BC-%EC%86%8C%EA%B0%9C%ED%95%A9%EB%8B%88%EB%8B%A4-cc30f91b7d8a 이더민트(Ethermint)를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7-10</ref>
 
  
===IBC 프로토콜===
 
블록체인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IBC(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진다. IBC를 번역하면 '블록체인 간 커뮤니케이션'으로. 텐더민트 합의 알고리즘의 즉결성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블록체인들이 서로 가치(토큰)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과 같은 절차와 기능에 의해 가능하다.
 
  
* '''다른 층''' : 여러 종류의 블록체인은 서로 다른 층을 가진다. 즉, 네트워킹 , 합의 및 애플리케이션 층을 구현하는 방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 IBC와 호환되기 위해서 블록체인은 몇 가지 요구 사항만 따르면 된다. 주요 요구 사항은 합의 층이 빠른 최종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과 같은 작업증명 체인은 확률론적 최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
== 특징 ==
* '''권한''' : 모든 블록체인은 다음 블록에 합의하는 역할을 하는 검증자에 의해 유지된다. Proof-of-Work에서는 이러한 검증자를 채굴자라고 한다. 코스모스가 제공하는 블록체인은 자체 권한과 자체 검증자를 갖는 블록체인이다. 많은 경우 검증자들이 궁극적으로 상태를 수정할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모든 권한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반면 이더리움에서 디앱은 모두 공통된 검증자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각 디앱에게는 제한된 권한만 주어진다.
+
=== DAG-AWTC 원장구조 ===
 +
[[파일 : DAG_AWTC.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선형체인구조와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DAG-AWTC''' 비교]]
 +
'''고속 대량 처리를 위한 원장 구조''': AWTC원장 구조는 로커스체인의 고속 처리 및 분산 처리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요소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많은 블록체인이 선형 체인구조를 갖고 있는 반면 로커스체인은 DAG(Directed Acyclic Graph) 기반의 비선형 원장구조인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를 사용한다. 이 구조는 이름 그대로 어카운트 단위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병렬형 구조이며 [[나노코인]]의 [[블록격자]](block lattice)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선형 체인구조는 이전 블록에 다음 블록이 연결될 수 있는 곳이 한곳밖에 없고, 여러 노드가 같은 연결지점에 동시에 블록을 추가하려 하는 병목이 발생한다. 반면 로커스체인의 DAG-AWTC를 비롯한 블록 격자 구조는 트랜잭션을 추가하는 지점이 어카운트 수만큼 존재하고, 그 지점에 대해서는 소유 어카운트만이 독점적으로 기록이 가능하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트랜잭션을 추가한 어카운트가 자명하므로 어카운트 소유자 본인이 악의적인 사용자가 아니라면 트랜잭션은 추가 즉시 거의 확정된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로커스체인의 원장구조는 기존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던 거래처리 지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IBC를 사용하면 여러 종류의 블록체인이 토큰과 데이터를 서로 전송할 있도록 허용한다. ,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검증자가 있는 블록체인들이 상호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역시 토큰을 서로 전송할 수 있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
=== Locus BFT 합의알고리즘 ===
 +
[[파일 : 로커스체인합의알고리즘.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합의알고리즘]]
 +
'''확정 완결적 합의''': DAG-AWTC 구조는 기본적으로 어카운트간 충돌이 없고 이후에도 결과가 뒤집힐 확률이 거의 없어 소매처리시간(초) 이내에 거래가 확정된다. 대부분의 경우 트랜잭션은 정상적으로 추가되고 확정되지만, 만약 어카운트 소유자가 악의적이라면 더블스펜딩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로커스체인에서는 수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BFT합의를 실시, 이 기간 동안 문제가 없었다는 사실을 확정하거나, 만약 문제가 생겼을 경우 이를 해결한다.
  
====IBC 작동 원리====
+
AWTC구조에서 더블 스펜딩은 한 어카운트의 트랜잭션 체인에 동일한 일련번호를 갖는 트랜잭션이 동시에 둘 이상 발생하는 경우로 명확하게 정의된다. 동시에 발생한 서로 다른 트랜잭션이 네트워크를 거쳐 전파되는 과정에서 통과한 각 노드상에서, 노드가 갖는 지분(PoS)에 따른 선택(pseudo-vote)이 발생하면서, 더 많은 지지를 받은 트랜잭션이 1차적으로 결정된다(비확정합의). 그 다음, 확률적지분증명(Stochastic PoS)을 통해 선출된 BFT참여 노드가 주기적(2분 정도 간격)으로 원장 상태를 확정해 거래의 완결성을 최종 확보한다(확정합의).
IBC의 작동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체인 A의 계정에서 10개의 아톰을 체인 B로 보내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 '''추적''' : 계속해서 체인 B는 체인 A의 헤더를 받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하면 체인이 다른 체인의 검증자를 추적 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각 체인은 다른 체인의 라이트 클라이언트(light-client)를 실행한다.
+
DAG는 병렬형 구조이기 때문에 노드가 병렬적으로 원장을 갱신한다. 따라서 현재 리얼타임의 절대적인 원장 상태를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로커스체인은 샤드 내에서 데이터가 충분히 전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하여, 이 시간만큼 약간의 과거 시점에 대한 합의를 시도함으로써 DAG 상에서 BFT 확정합의를 최초로 구현했다고 2019년 2월 언론에 [https://www.locuschain.com/ko/socialView?blogSeq=77&blogLanguage=ko&blogCategory=press 발표]하였다. 로커스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은 실행 중에도 새로운 트랜잭션의 발생을 막지 않아 DAG의 고속처리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stop-and-go방식이었던 BFT의 성능적 단점을 개선하였다.
* '''동결''' : IBC 전송이 시작되면, 아톰은 체인 A에 묶이게 된다.  
 
* '''증거 전달''' : 그런 다음, 10개의 아톰이 묶였다는 증거가 체인 A에서 체인 B로 전달된다.  
 
* '''확인''' : 이 증명은 체인 A의 헤더에 대해 체인 B에서 검증되고, 이것이 유효하다면 체인 B에 10개의 아톰 상품권이 생성된다.  
 
  
체인 B에서 생성된 아톰은 실제 아톰이 아니다. 아톰은 체인 A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이 아톰들이 체인 A에서 동결되었다는 증거와 함께 체인 A에서 나온 아톰의 B에 대한 표현이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
기술적으로 DAG와 BFT를 동시 구현하는 것이 유의미한 이유는, 이것이 이후 스토리지 문제와 네트워크 부하 문제를 해결할 프루닝 및 샤딩 기술의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블룸테크놀로지는 BFT 확정합의 방식의 DAG-AWTC 원장 시스템에 대한 특허 출원을 신청한 상태로 알려져 있다.
  
===코스모스 생태계===
+
=== Stochastic PoS 기반 공정한 커미티 선출 ===
[[파일:코스모스 블록체인.jpg|썸네일|400픽셀|허브와 존]]
+
'''완전한 탈중앙화''': 로커스체인은 [[알고랜드]]의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방식과 유사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로커스체인은 [[ 확률적지분증명 ]] (Stochastic PoS: 지분이 많을수록 커미티로 선출될 확률이 높아지는 방식)을 기반으로 무작위검증가능함수(VRF: Verifiable Random Function)에 의해 매 라운드마다 합의 알고리즘에 참여하는 새로운 프로포저 커미티를 선출한다. 누가 프로포저로 선출될지 미리 알 없기 때문에 해킹, 담합 등 악의적인 공격이 어렵다. 또한 최근 투표 참여 횟수 및 네트워크 참여도(온라인 시간 등)에 기반해 매 라운드마다 새로운 밸리데이터 커미티를 선출, 프로포저가 제안한 라운드 상태에 대해 PBFT 방식에 따라 2회의 투표를 거쳐 결과를 확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합의에 참여할 노드(프로포저, 밸리데이터)를 특정하거나 미리 예측할 없기 때문에 악의적 공격에 의한 조작이 어려워져 합의결과의 공정성과 네트워크의 안정성(security)이 확보된다고 로커스체인은 주장한다.
IBC는 두 개의 다른 블록체인이 토큰을 서로 전송할 있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그렇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어떻게 만들어 나가는 것일까. 첫 째는, 직접 IBC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의 각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 접근법의 문제는 네트워크의 연결 수가 블록체인의 수와 함께 2차식으로(quadratically) 증가한다는 것이다. 만약 네트워크에 100 개의 블록체인이 있고 각각의 블록체인이 서로 다른 IBC 연결을 유지해야하는 경우, 그것은 4,950개의 연결이 되어 금방 감당할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스모스는 허브와 존(Hubs and Zones)이라는 두 종류의 블록체인을 가진 모듈형 구조를 만들었다. 존은 서로 다른 각각의 블록체인이며 허브는 존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블록체인이다. 기본적으로 코스모스 허브는 ‘[[존]](zone)’이라고 부르는 여러 독립된 블록체인들을 관리한다. 존이 허브와 IBC 연결을 생성하면, 연결된 다른 모든 존에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존은 제한된 허브 세트와 제한된 수의 연결만 설정하면 된다. 존들은 최근의 [[블록]] 커밋들을 끊임없이 허브로 전송하며, [[허브]]는 이를 통해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각 존도 허브의 상태를 제공받는다. 존들은 정보의 송신과 수신의 증거를 포스팅함으로 정보의 패킷들을 교환한다. 허브는 또한 존의 이중 지출을 방지한다. 즉, 존이 허브로부터 토큰을 받을 때, 이 토큰의 존과 허브만 신뢰하면 된다.
+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
[[파일:배리파이어블프루닝.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허브''' : 멀티자산 분산 원장을 관리하는 블록체인으로, 전체 시스템을 위한 토큰의 ‘중앙 원장’역할을 하므로 보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ref name="크립토위키">〈[https://cryptokiwi.kr/currency?id=atom COSMOS ATOM]〉, 《크립토위키》</ref>
+
'''노드 저장 부하감소''': 로커스체인은 일정 기간(하루) 이전의 과거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로컬환경에서 삭제(프루닝)하여 로컬 데이터의 양을 줄이면서도, 블록체인의 데이터 검증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Verifiable Pruning)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9년 7월초 [https://www.locuschain.com/ko/socialView?blogSeq=187&blogLanguage=ko&blogCategory=tech 발표]하였다.
* '''존''' : 존은 허브와 IBC(Inter Blockchain Communication) 메시지를 교환하는 독립 블록체인으로, 허브의 관점에서 존은 IBC 패킷을 이용하여 토큰을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자산 동적 구성원 멀티 시그니쳐 계정’이다.<ref name="크립토위키"></ref>
 
* '''블록체인 간 커뮤니케이션'''(IBC, 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 [[토큰]]은 개인 사용자나 존 자체가 보유할 수 있으며, 이 토큰들을 ‘코인패킷’이라 부르는 특수 IBC 패킷을 통해 하나의 존에서 다른 존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 name="Peter Yoon">Peter Yoon,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B%B8%94%EB%A1%9D%EC%B2%B4%EC%9D%B8-1-ibc-deccd4a1dd3e 코스모스 블록체인 #1 – IBC(1)]〉, 《미디엄》, 2018-11-09</ref>
 
  
코스모스 네트워크에서 출시하는 첫 번째 허브는 코스모스 허브가 될 것이다. 코스모스 허브는 PoS 알고리즘의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이 블록체인에서 사용하는 토큰은 아톰이라고 하며, 거래 수수료는 여러 토큰으로 지불된다.
+
늘어나는 원장 사이즈 문제<ref>현재의 저속이 아닌 비자 카드의 최대 처리량이라고 하는 4k TPS(Transaction Per Second)에 이르는 실용적인 성능을 내는 블록체인을 가정하고, 트랜잭션을 한 번 전송하는 데 드는 용량이 0.5kB 정도라고 가정했을 때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원장 사이즈는 매일 약 172GB 정도씩 늘어난다. (계산법: 0.5kB/Tx * 4kTx/sec * 3.6ksec/hour * 24hour/day = 172.8GB/day)</ref>를 해결하기 위해 오래된 데이터를 단순 삭제하여 원장의 크기를 줄이는 일반적인 프루닝과 달리, 로커스체인의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은 '''스큐드머클트리(Skewed Merkle Tree)''' <ref>스큐드머클트리는 이진 머클트리와 링크드리스트의 복합체로서 머클트리의 데이터 검증 능력을 링크드리스트에 적용시킨 구조이다.</ref> 구조를 사용하여 과거 대부분의 데이터가 로컬 환경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 네트워크 구성 요소 ===
+
로커스체인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전부 보유하지 않아도 필요한 부분의 해시값만으로 정당성 검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컬 노드의 데이터 저장량이 대폭 줄어든다. 시중의 SD카드정도의 저장량으로 노드 운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부담 없이 로커스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이는 높은 탈중앙화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 풀 노드 ====
 
풀 노드(Full Node)는 블록체인의 전체 기록을 모두 보관하고 있는 머신이다.  
 
  
==== 검증자 ====
+
여기에 추가로 로커스체인은 초당 수천 트랜잭션이 수년 이상 쌓인 상황에서도 먼 과거에 발생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필요한 계산 정보량을 지수함수적으로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인 '''계층적 스큐드머클트리(Hierarchical Skewed Merkle Tree)'''를 도입했다고 한다. 이로써 노드의 스토리지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고속 검증이 가능한 블록체인을 구현하였다고 한다.
검증자(Validator)는 새로운 블록을 제안하거나 제안된 블록에 동의 또는 거절을 할 수 있는 풀 노드이다. 코스모스 허브의 론칭에는 총 100개의 검증자 노드가 존재한다. 10년 동안 순차적으로 300개까지 늘어난다. 검증인들은 보안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만약 검증자 노드에 문제가 생기면 슬래싱(slashing)을 통해 처벌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검증자 노드는 퍼블릭 인터넷 환경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 안된다.
 
  
==== 센트리 노드 ====
+
반면에, 일부 노드 상에만 데이터가 보존되는 경우 주목도가 낮은 데이터는 아무도 저장하지 않고 사라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에 대해, 로커스체인에서는 우선 각 어카운트의 과거 이력(history)은 기본적으로 어카운트 자신 또는 자신이 위임한 노드가 저장하므로, 소유자 본인은 언제나 자신의 과거 이력의 열람 및 백업이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없다고 한다. 이것으로 불충분하다면 로커스체인 외부의 과거 데이터의 저장에 특화된 별도 기구에 저장을 맡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백테라바이트의 저장공간을 가진 디렉토리 서비스 운영 사업자가 코인을 대가로 과거 트랜잭션 데이터의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전개를 생각할 수 있다. 로커스체인 외부에서 읽은 과거의 데이터도 모든 로커스체인 노드에서 검증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저장과 검증 기능을 각각 잘하는 쪽에 일임함으로써 굳이 로커스체인 위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도 블록체인의 모든 이점을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검증인 노드는 퍼블릭 인터넷 환경에 직접 연결되면 안 되기 때문에 센트리 노드가 존재한다. 센트리 노드(Sentry Node)는 검증인 노드 대신 퍼브릭 인터넷에 연결되어 메시지를 받은 다음 이를 전달하는 일종의 방화벽 같은 존재이다. 센트리 노드도 그 용도에 따라 퍼블릭 센트리 노드와 프라이빗 센트리 노드로 구분할 수 있다. 프라비잇 센트리 노드는 내부 또는 검증인-대-검증인 커뮤니케이션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 애플리케이션 노드 ====
+
블룸테크놀로지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에 대한 특허 출원을 신청한 상태로 알려져 있다.
애플리케이션 노드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풀 노드에 연결되어 전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을 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노드 독자적으로 전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풀 노드를 운영한다.
+
{{인용문|"'''로커스체인'''은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을 통해 이미 원장에서 지워진 데이터라고 해도 나중에 참ㆍ거짓의 증명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극단적인 원장 사이즈 축소가 가능해졌으며, ​일자형체인 구조가 아닌 '''DAG-AWTC''' 원장구조를 사용해 수초 내 거의 모든 요청을 처리할 있게 됐다"<ref>여용준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8677 로커스체인, 플랫폼 기술 집약한 엔터프라이즈 메인넷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9-07-04</ref><br>
 +
&nbsp; - 주영현 테크니컬 디렉터}}
  
==== 씨드 노드 ====
+
=== 다이내믹 샤딩 ===
씨드 노드(Seed Node)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다른 노드에게 지속적으로 문의(query)를 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있는 노드들의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씨드노드들의 리스트(List)를 작성해서 노드들의 상태를 정리한 다음 네트워크에 새롭게 참여하는 노드들에 정보를 제공한다.  
+
[[파일: 다이내믹샤딩.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다이내믹샤딩''']]
 +
'''계산량 증가 및 노드부하감소''': 로커스체인은 노드가 부담하는 네트워크 사용량<ref>고속 블록체인의 초당 처리량을 4K TPS로 가정했을 때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네트워크 통신량은 초당 2MB(=0.5kB/Tx * 4kTx/sec )정도이다. 이는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대역폭이 100Mbit/s라고 할 때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것은 언뜻 작은 수치로 보일 수 있지만 P2P 가십 프로토콜에서 통신을 주고받는 리피트(repeat)를 고려하면 초당 20MB 정도로 일반인이 가정집 PC로 노드에 참여하기에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ref>을 낮추고 네트워크 전체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다이내믹 샤딩을 도입한다고 한다.
  
==== 라이트웨이트 노드 ====
+
[[샤딩]]이란 네트워크 혹은 원장 상태를 샤드(shard) 단위로 작게 쪼개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샤딩은 통신 비율이 샤드 수에 비례해 증가하고 샤드 간 데이터 참조 및 검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샤드마다 트랜잭션의 빈도, 노드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날 경우 네트워크 안정성에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로커스체인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적절한 샤드 수를 조절하는 한편 알고리즘으로 샤드간 균형을 유지하는 다이내믹 샤딩(Dynamic Sharding: 동적 샤딩)을 적용해 성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로커스체인은 원장 구조가 어카운트 별(AWTC)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샤드간 불균형이 일어났을 경우 계정 단위로 샤드를 재배치하여 샤드의 수와 사이즈, 밸리데이터 비율 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 보인다. 다이내믹 샤딩을 적용하면 한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네트워크 사용량은 샤드 수를 N 으로 할 때 2/N 으로 줄어들고 동일 노드의 네트워크 사용량 대비 네트워크 전체 TPS는 그만큼 증가하게 되는데, 여기에 추가적으로 원장을 쪼개는 스테이트 샤딩을 더해 스토리지 사용량 역시 샤드 수만큼 추가적으로 나눌 계획.  2020년 3월 개발 완료하였다
라이트웨이트 노드(Lightweight Node)는 블록체인의 전체가 아니라 최근 블록들만 저장하는 머신이다. <ref>* 코스모스 코리아,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B%84%A4%ED%8A%B8%EC%9B%8C%ED%81%AC-%EC%95%84%ED%82%A4%ED%85%8D%EC%B2%98%EC%97%90-%EB%8C%80%ED%95%9C-%EC%9D%B4%ED%95%B4-73754c41d55e 코스모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 《미디엄》, 2018-08-06</ref>
+
7월 초순경 다이나믹샤딩까지 적용된 퍼블릭블록체인 공개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비 텐더민트(non-Tendermint) 체인 연결 방법===
+
([http://m.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2580&fbclid=IwAR30zqNTAGkNR_qaLY4bevg5gs5E1aVbYzV22Hn0L2MAwa9ElcEue60EG1g#_enliple 기사]가 올라왔다.
[[파일:페그존.jpg|썸네일|400픽셀|페그존(Peg-Zone)]]
 
지금까지 제시한 코스모스의 구조는 텐더민트 기반의 체인이 어떻게 상호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었다. 그러나 코스모스는 텐더민트 체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종류의 블록체인이 코스모스와 연결될 수 있다.  
 
  
* '''즉결성 체인''' : 즉결성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은 IBC를 적용하여 코스모스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이 캐스퍼 FFG (Friendly Finality Gadget)로 전환하는 경우, IBC를 캐스퍼와 함께 사용하여 이더리움을 코스모스 생태계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
=== 양자내성 암호서명 ===
 +
'''암호학적 미래대비성''':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큰 위협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양자컴퓨터의 등장이다. 양자컴퓨터 시대가 도래하면 현재 주류로 사용되고 있는 많은 서명 알고리즘이 무효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전 세계 많은 암호학자들이 양자컴퓨터에 대비한 양자내성암호(PQC)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발표된 양자내성암호는 현재의 비 양자내성 암호(non-PQC)에 비해 계산량과 데이터량이 막대하여, 개인용 PC나 모바일기기에서 처리하기에는 성능 부담이 있다. 그리고 양자내성암호는 아직 표준이 정착되지 않아 실제 사용했을 때 안전한가에 대한 수학적, 기술적 검증이 부족한 점이 있다.
  
* '''확률론적 완결성 체인''' : PoW 체인과 같이 즉결성을 갖지 않는 블록체인의 경우 상황은 좀 더 복잡해진다. 이 체인의 경우, 페그존(Peg-Zone)이라는 특수한 종류의 프록시 체인을 사용한다. 페그존은 다른 블록체인의 상태를 추적하는 블록체인이다. 페그존 자체는 즉결성을 가지고 있어 IBC와 호환된다. 그 역할은 즉결성을 갖지 않는 블록체인의 연결을 위한 최종성을 만드는 것이다.
+
로커스체인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서명 체계를 마스터 서명과 노멀 서명으로 이원화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에서는 현재의 암호체계를 적용한 노멀 서명과 이를 위한 키(페어)를 사용하고, 노멀키를 분실하거나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는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 마스터 서명을 사용해 노멀키를 교체하는 방식이다. 마스터 서명은 꼭 필요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내성암호의 데이터량 및 계산량 부담이 적다. 그리고 노멀 서명은 키 이외에 알고리즘 자체를 플러그인 방식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향후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거나 개인용PC로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처리 가능한 시대가 오면 로커스체인은 노멀 서명 자체를 양자내성 알고리즘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페그존은 그들이 연결하고자 하는 특정 체인에 맞게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더리움 페그존을 구축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 왜냐하면 이더리움은 계정을 기반으로 하고 스마트 계약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트코인 페그존을 만드는 것은 좀 더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확장성 문제 해결===
+
그리고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안전성 자체도 아직 증명되지 않았으므로 마스터 서명은 당분간 양자내성암호와 기존의 암호시스템을 병렬로 사용한 하이브리드 체계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양자내성암호서명 알고리즘에 취약점이 발견되어도 현용 암호서명 알고리즘으로 커버가 가능하며, 나아가 문제가 없는 마스터 서명 알고리즘으로 넘어갈 수 있는 migration방식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코스모스는 블록체인을 쉽게 만들고 모든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확장성 문제이다. 이를 위해 코스모스는 두 가지 유형의 확장성을 활용하고자 한다.
+
=== 데이터 위변조 검증 API ===
 +
로커스체인 개발팀은,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한 포인트는 데이터의 보관보다 제출된 데이터의 위변조와 정당성을 오픈된 환경에서 누구나 검증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기존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대신 블록체인 원장에 직접 데이터를 담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로커스체인 개발팀의 주장은 블록체인 플랫폼이 기존 DBMS의 대량의 데이터 저장과 완전 무결한 트랜잭션 처리 기능을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신, 로커스체인은 다른 DBMS등의 방법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정당성과 위변조 여부를 먼 미래 시점에서도 효율적으로 검증 가능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 '''수직적 확장성''' : 이 방법은 블록체인 자체를 확장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작업 증명에서 벗어나 그것의 구성 요소를 최적화함으로써 텐더민트 코어는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에 도달 할 있다. 병목 요소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이다. 예를 들어, EVM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트랜잭션 유형과 상태 전이 기능이 직접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예: 코스모스 SDK 애플리케이션) 보다 트랜잭션 처리량에 훨씬 더 낮은 제한을 부과한다. 이것이 애플리케이션 별 블록체인이 의미가 있는 이유이다.  
+
이러한 입장에서 로커스체인은, 사용 단체가 개별적으로 독자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로커스체인의 위변조 검증API를 통해 데이터의 위변조를 검증할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고 2019년 7월 [https://www.locuschain.com/ko/socialView?blogSeq=196&blogLanguage=ko&blogCategory=press 발표] 하였다.
* '''수평적 확장성''' : 컨센서스 엔진과 애플리케이션이 고도로 최적화되어 있더라도, 어느 시점에서 단일 체인의 거래 처리량은 불가피하게 그것을 넘을 수 없는 벽에 부딪친다. 이것이 수직적 확장성의 한계이다. 이를 넘어설 해결책은 다중 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같은 검증자에 의해 작동되는 여러 개의 병렬 체인이 이론적으로 무한히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이다. 코스모스는 메인넷 론칭 시 우수한 수직적 확장성을 제공 할 것이며, 나중에 IBC 모듈 완성 후 수평적 확장성 솔루션도 구현할 것이다.<ref name= "공식 홈페이지"></ref>
 
  
===거버넌스===
+
== 전망 ==
코스모스 허브의 검증인과 위임자는 코스모스 허브의 정책들을 위한 ‘코드가 아니라 평이한 언어로 된 규칙’을 표결에 부쳐 수정할 뿐 아니라 ‘블록 가스 한계’ 같은 시스템의 사전에 설정된 제한들을 업그레이드를 통해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안도 표결에 붙일 수 있다.<ref>레스코, 〈[https://blog.naver.com/khdrogba/221323087130 코스모스 암호경제학적 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07-20</ref> 규칙은 이더리움의 The DAO 사건 같은 절도 및 [[버그]] 관련 문제들의 이해관계자들이 응집할 수 있도록 도우며, 보다 신속하고 깔끔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도록 한다.<ref name="kim066"> kim066, 〈[https://steemit.com/kr/@kim066/5sbagu 사토시가 답변한다 길을비켜라(코스모스/아톰코인]]〉, 《스팀잇》</ref> 각 존 역시 자체적인 규칙과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 허브가 변경 배제 규칙을 적용한 경우라면, 각 존은 절도와 버그를 위한 롤백 관련 자체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는 상이한 정책의 존들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함으로 사용자들에게 궁극적 자유와 실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토큰 발행==
+
사람 사이의 직접 거래뿐만이 아니라 사람-디바이스, 디바이스-디바이스 간의 거래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미래에는 탈중앙화의 중요성이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다. 미국 IT 시장조사 기업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앞으로 연결될 IoT 디바이스의 수가 2025년까지 416억개이며 모든 디바이스가 만들어내고 소비하는 데이터 양이 79.4제타바이트(ZB)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톰===
+
<ref> Michael Shirer, [The Growth in Connected IoT Devices Is Expected to Generate 79.4ZB of Data in 2025, According to a New IDC Forecast], IDC, 18 Jun 2019</ref> 머신끼리 서로 수없이 주고받는 통신과 여기에서 파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해킹, 담합, 조작 등 범죄에 악용되거나 단일장애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현재의 중앙화된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은 사용하기 어려워 보인다.
코스모스 허브는 다중 자산 분장원장으로써 내부 토큰인 [[아톰]]을 가진다.<ref name="김민석">Matthew Minseok Kim,  〈[https://medium.com/@matthewminseokkim/%EC%BD%94%EC%8A%A4%EB%AA%A8%EC%8A%A4%EC%97%90-%EB%8C%80%ED%95%B4%EC%84%9C-%EC%95%8C%EC%95%84%EB%B3%B4%EC%9E%90-a4549b541658 코스모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디엄》, 2018-01-26</ref> 아톰은 코스모스 허브의 유일한 지분 토큰으로, 아톰의 보유자가 투표, 검증 또는 다른 검증자들에게 위임하기 위해 필요하다.<ref name="krexchange">krexchange, 〈[https://steemit.com/token-lab/@krexchange/6nztvw (Cosmos – ATOM)코스모스 알아보기]〉, 《스팀잇》</ref> [[이더리움]]과 유사하게 Denial-of-Service Attack을 예방하기 위해 거래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아톰이 사용될 수 있다.<ref name="publicworker">publicworker, 〈[https://steemit.com/kr/@publicworker/1 코스모스는 무엇인가? 1]〉</ref> 2019년 2월 19일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원]](Coinone)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코스모스체인의 [[아톰]](ATOM)을 상장했다. 코인원은 아톰의 거래를 3월 중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포톤===
 
코스모스는 아톰에 이은 두 번째 토큰인 '''포톤'''(PHOTON)을 발행한다. '''포톤'''은 현재 코드명으로 추후에 바뀔 수 있다. 이 코드명은 가시광선을 빠른 속도로 전달하는 에너지의 이산형 패킷(discrete packet) 기본 입자인 ‘포톤’에서 가져왔다. 포톤은 '''코스모스 허브'''의 두 번째 고유 토큰이자 수수료 지불을 위해 사용되는 수수료 토큰이다. 아톰보다는 더 높은 통화유통속도(money velocity)와 유동성을 가진 토큰이 될 것이다. 포튼은 이더리움 계정 상태(account state)의 [[하드스푼]](hard-spoon)을 통해 분배될 것이며 [[이더민트 존]](Ethermint Zone)의 고유 토큰이다. '''포톤'''의 블록보상은 시간당 500 포톤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점진적으로 인플레이션율은 0에 수렴할 것이다. 코스모스 허브 거버넌스를 통해 이더(ETH) 보유자들에게 1:1 비율로 포톤토큰을 하드스푼하는 것을 제안한다. <ref>코스모스 코리아, [https://blog.naver.com/lunagram/221403951120 코스모스 수수료 토큰 제안 — 코드명 포톤], 《네이버 블로그》, 2018-11-22</ref>
 
  
==테스트넷==
+
로커스체인의 주장대로 저용량 기기에서도 블록체인이 충분히 동작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된다면, 블록체인 기술의 실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스모스는 2018년 한 해에만 무려 20개의 테스트넷을 가동했다. 각 테스트넷에서는 새로운 기능, 개선 사항, 버그 픽스 등을 실제 구동하는 역할을 했다. 코스모스 팀은 린스타트업의 [[애자일]]([[Agile]]) 개발 방식을 도입해 작지만 많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대형 문제가 발생할 확률을 최소화하였다. 코스모스 테스트넷의 명칭은 [[가이아]](Gaia)이다. 명칭 간 충돌을 방지하고자 코스모스 프로젝트를 ‘코스모스 허브’ 라 부르고, [[텐더민트]] [[BFT 합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 특화 블록체인을 부를 때 ‘가이아’라고 한다. <ref name = "코스모스 2018">코스모스 코리아, 〈[https://blog.naver.com/lunagram/221449162431 2018년을 되돌아보며: 코스모스 테스트넷 Top5]〉, 《네이버 블로그》, 2019-01-23</ref>
+
특히, 국가화폐의 경우 대량의 거래를 감당할 수 있는 고성능의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Gaia-6001 : 최초의 탈중앙화 테스트 넷 시작===
 
2018년 6월에 가동한 6000-시리즈 테스트넷이다. 처음으로 비동기화(asynchronous) 환경에서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테스트넷을 시작했다. 커뮤니티가 블록체인을 시작하는 ‘genesis.json’ 파일을 가지고 자체적으로 노드를 구동해 pre-vote와 pre-commit([[텐더민트]] 합의 메시지)을 해 본인들이 온라인 상태임을 네트워크에 표시하는 것이다. 보팅 파워의 2/3가 온라인일 때 Gaia-6001은 블록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작업증명]]을 지지하는 자들은 지분증명이 검열 저항성을 보유한 블록체인 보안 모델 차원에서 너무 중앙화되었음을 비판한다. [[지분증명]]은 [[작업증명]]보다 검증인(채굴자)간에 상당한 소통과 협업이 필요하며 대부분 단테 채팅방을 통해 이루어진다.  Gaia-6001은 코스모스 팀의 지원 없이 시작된 테스트넷 블록체인으로 시작하였다. 코스모스 검증인은 상당한 실력을 발휘하며 코스모스/텐더민트 팀의 지원이 일절 없었던 ‘genki’ 테스트 넷을 자체적으로 시작하기도 했다. <ref name = "코스모스 2018"></ref>
 
===Gaia-8002 : 인터넷 최대 BFT 네트워크===
 
Gaia-8002는 오픈 인터넷상 가장 큰 [[BFT]] 네트워크였다. 2014년 텐더민트가 등장하며 기존 [[BFT]] 네트워크의 틀을 깨고 수백 개의 노들로 이루어진 광역통신망 환경의 BFT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게임 오브 스테이크(GOS) 계획이 공개되면서 신규 검증인들의 관심을 받았다. GOS 발표 이후 시작된 Gaia-8002는 최대 200명 검증인들이 테스트넷 기간 동안 참여하는 성과를 냈다. <ref name = "코스모스 2018"></ref>
 
  
===Gaia-9001 : 버그바운티 프로그램===
+
==평가==
2018년 11월 12일, ‘Kauchy’라는 닉네임의 화이트 해커 개발자가 Gaia-9001 테스트 넷에서 코스모스 SDK 프라임워크 내의 치명적인 버그를 공개했다. 버그가 공개가 공개된 이후 테스트넷에서 테스트 토큰이 합의 없이 추가로 발행되면서 네트워크가 멈추게 되었다. 해당 버그느 [[해커원]]([[HackerOne]])시스템을 이용한 건전한 버그 신고 절차로 보기 어렵지만, 커뮤니티의 활발한 활동으로 수많은 버그와 허점들이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을 통해 발견된다는 점을 주목하여야한다. IT업계의 버그 대처 평균 기간이 약 90일인데 코스모스 커뮤니티는 일주일 만에 해결하였다. <ref name = "코스모스 2018"></ref>
 
===Gaia-9002 : 최초의 기능완성 테스트넷===
 
Gaia-9002는 최초로 코스모스 허브 메인넷에 이용될 모든 기능이 포함돼있는 코스모스 [[SDK]] '''v0.27.0'''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가동되었다. SDK v0.27.0에는 스테이킹, 슬래싱, 보상 지급, 거버넌스 등의 로직이 구현돼있는 소프트웨이다. 코스모스는 이러한 지분증명 시스템을 [[예치 지분증명]]([[BPoS]];Bonded Proof-of-Stake)으로 명명했다. BPoS 시스템은 기존 PoS 시스템과 달리 검증인이 네트워크에서 악의적인 행동을 할 경우 검증인과 위임자 모두 지분을 삭감당하는 시스템으로 위임자와 검증인 모두에게 책임을 부여한다. 코스모스 팀은 책임감을 부여해 지분증명 시스템의 Nothing-at-Stake 문제를 해결해 더욱 안전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생각한다. <ref name = "코스모스 2018"></ref>
 
===Gaia-8001 : 100만 블록 테스트넷===
 
2018년 11월 초, Gaia-8001은 100만 번째 블록을 생성했다. Gaia-8001은 테스트 넷 중 가장 오래 운영되었으며 3개월 동안 단 한 번의 중단 없이 운영되었다. 주요 [[이더리움]] 콘퍼런스인 [[Devcon4]]가 끝날 무렵 100만 번째 블록을 생성했다. 모든 [[지분증명]] 연구자들은 안전성과 생존 가능성을 동시에 가진 [[비잔틴 감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텐더민트]]는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체인은 멈추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운영자(검증인)에게 블록체인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책임을 부여하고, 그에 따른 금전적인 보상을 제공한다.<ref name = "코스모스 2018"></ref>
 
  
==메인넷==
+
로커스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블록체인에서 사용하는 일자형 블록구조가 아닌 DAG원장구조에서 PoS+BFT합의를 취하고 있다.  
2019년 1월, 코스모스의 소프트웨어가 기능 완성(feature complete)단계에 도달했다. [[코스모스 허브]]의 론칭을 앞두고 [[아톰]]([[ATOM]])보유자는 메인넷에서 본인의 아톰을 검증인에게 위임하고 거버넌스 제안에 투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위임자들의 선택이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론칭 초기 [[아톰]] 송금 기능은 프로토콜 레벨에서 비활성화될 것이며, 추후 [[하드포크]]를 통해 활성화될 것이다. 아톰을 위임하는 것은 큰 리스크가 존재함을 인지해야 한다. 한번 검증자에게 위임된 아톰은 일정기간 동안 묶이게 되며, [[스테이킹]] 기간 동안 검증자의 실수로 [[슬래싱]](아톰 삭감)이 발생하는 경우 위임자의 아톰도 함께 삭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임자들은 검증자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위임을 진행해야 한다. <ref>Cosmos Hub to Launch Mainnet
+
이로인해 탈중앙화 기반의 확장성과 고성능이 담보되고 있다. 이외에도 네트워크 부하를 줄여주는 다이나믹 샤딩과 원장의 크기를 줄여주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기술은 한차원 높은 고난이도의 기술로 보인다. 현재 테스트넷이 오픈되어 운영중이다.
Pre-launch Dependencies & How to Safely Claim Your Atoms</ref>
 
  
==제휴==
 
===루나민트===
 
[[파일:루나민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루나민트]]'''(Lunamint)]]
 
  
[[루나민트]]는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이 운영하는 [[코스모스 아카데미]]의 로컬 파트너이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블록체인 검증인(Validator) 운영과 [[디앱]]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코스모스/텐더민트 팀 소속이 아니라 독립적인 블록체인 기업이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테스트넷 초기부터 검증인을 운영해오며, 국내에 코스모스 자료 들을 전달하고 있다. 현재 코스모스 모바일 지갑인 [[루나그램]](Lunagram)을 개발하고 있다. [[루나그램]]은 [[텔레그램]] 오픈소스 클라이언트를 기반으로 한 메신저-지갑이며 코스모스의 상호호환성 프로토콜 [[IBC]](Interblockchain Protocol)을 통한 인터체인 호환성을 적용할 계획이다.
+
== 관련영상 ==
 +
 
 +
<youtube width="450">GvsA-zDOFQI</youtube>
 +
<youtube width="450">bLvFh5GAQac</youtube>
 +
<youtube width="450">-Zjev82LSzU</youtube>
 +
<youtube width="450">bzTEj-4p594</youtube>
 +
<youtube width="450">lUCMHkGoTg4</youtube>
 +
<youtube width="450">K2iXljBPTxc</youtube>
 +
<youtube width="450">cUnIacGXC4I</youtube>
 +
<youtube width="450">ARPc51UrKqg</youtube>
  
==로드맵==
 
* SDK 검사 결과 발표
 
* 스테이킹 종료
 
* 메인넷 오픈
 
* 250,000개의 블록 생성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코스모스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cosmos.network/
+
 
* 강석오 기자,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567 보스코인·코스모스, ‘블록체인 인터넷’ 구축 협력]〉, 《데이터넷》, 2017-05-10
+
* 로커스체인 공식 홈페이지: https://www.locuschain.com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130130529& "수천개 블록체인 연결, 오픈생태계 구축"]〉, 《지디넷코리아》, 2018-11-30
+
* 로커스체인 백서: https://www.locuschain.com/en/whitepaper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4151801 한국계 천재 개발자가 만든 블록체인 코스모스, 왜 주목받나]〉, 《지디넷코리아》, 2018-12-24
+
* 로커스인사이트: https://www.locuschain.com/en/social
*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36 (심층분석) 인터블록체인 플랫폼 코스모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 《더비체인》, 2018-12-05
+
* 블룸테크놀로지 공식홈페이지: https://www.bloomtechnology.co.kr
* 블록인프레스, 〈[https://blockinpress.com/archives/4919 코스모스의 가치에 대한 이해]〉, 《블록인프레스》, 2018-04-26
+
* [https://youtu.be/bLvFh5GAQac 로커스체인 소개 영상]
* 강희영 기자, 〈[http://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674 코인원, 전 세계 최초 ‘코스모스 블록체인’ 아톰(ATOM) 상장]〉, 《CBC뉴스》, 2019-02-19
+
* [https://youtu.be/-Zjev82LSzU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기술 소개 영상]
* 코스모스 코리아, 〈[https://blog.naver.com/lunagram/221449162431 2018년을 되돌아보며: 코스모스 테스트넷 Top5]〉, 《네이버 블로그》, 2019-01-23
+
* [https://youtu.be/bzTEj-4p594 AWTC 원장 구조 및 확장성 관련 영상]
* 코스모스 코리아, 〈[https://blog.naver.com/lunagram/221403951120 코스모스 수수료 토큰 제안 — 코드명 포톤]〉, 《네이버 블로그》, 2018-11-22
+
* [https://www.youtube.com/watch?v=cUnIacGXC4I&t=1207s 실용 가능한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로커스 체인' 소개 (1부)]
* Interchain Foundation, 〈[https://blog.cosmos.network/cosmos-hub-to-launch-mainnet-a453d2247a34 Cosmos Hub to Launch Mainnet Pre-launch Dependencies & How to Safely Claim Your Atoms]〉, 《Medium》, 2019-02-09
+
* [https://www.youtube.com/watch?v=ARPc51UrKqg&t=7s 실용 가능한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로커스 체인' 소개 (2부)]
* 코스모스 코리아,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BD%94%EC%8A%A4%EB%AA%A8%EC%8A%A4-%EB%84%A4%ED%8A%B8%EC%9B%8C%ED%81%AC-%EC%95%84%ED%82%A4%ED%85%8D%EC%B2%98%EC%97%90-%EB%8C%80%ED%95%9C-%EC%9D%B4%ED%95%B4-73754c41d55e 코스모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 《미디엄》, 2018-08-06
+
* [https://www.locuschain.com/ko/socialView?blogSeq=186&blogLanguage=ko&blogCategory=movie 로커스체인기술밋업 하이라이트 영상]
* 코스모스 코리아, [https://medium.com/lunamint-atlas/%EC%9D%B4%EB%8D%94%EB%AF%BC%ED%8A%B8-ethermint-%EB%A5%BC-%EC%86%8C%EA%B0%9C%ED%95%A9%EB%8B%88%EB%8B%A4-cc30f91b7d8a 이더민트(Ethermint)를 소개합니다!], 《미디엄》, 2018-07-10
+
* [https://www.locuschain.com/ko/socialView?blogSeq=185&blogLanguage=ko&blogCategory=movie 로커스체인 기술밋업 개발현황 소개 영상]
 +
* 임영택 기자, 〈[https://www.mk.co.kr/news/it/view/2018/02/136480/ 블록체인 연구개발 전문업체 '블룸테크놀로지' 출범]〉, 《매일경제》, 2018-02-28
 +
* 김은지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7492 인터뷰-'킹덤언더파이어 신화' 이상윤 "로커스체인, 이더리움 잇는 기술혁신 할 것"]〉, 《이뉴스투데이》, 2018-04-10
 +
* 김다운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092893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 2018 런칭쇼', 두바이서 성황리 종료]〉, 《아이뉴스24》, 2018-05-04
 +
* 〈[https://cointelegraph.com/press-releases/fast-light-and-flexible-the-next-generation-blockchain-platform-locus-chain-has-emerged Fast, Light and flexible, the Next-Generation Blockchain Platform 'Locus Chain' Has Emerged ... !!]〉, 《Cointelegraph》, 2018-06-25
 +
* 홍하나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70420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 IES 선정 '2018 우수 글로벌 리더십 어워드' 수상]〉, 《디지털데일리》, 2018-07-06
 +
* 방은주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0905220620 로커스체인, 싱가포르서 '역대 최대 월드 서밋' 개최]〉, 《지디넷코리아》, 2018-09-05
 +
* 서진욱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92009513040421 '블록체인 서울' 성황리 폐막…'블록체인 3.0' 화두 던졌다]〉, 《머니투데이》, 2018-09-20
 +
* 여용준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3849 로커스체인, 세계 최초 'DAG-BFT 확정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 기술 구현 성공]〉, 《이뉴스투데이》, 2019-02-21
 +
* 정두용 기자,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95048 로커스체인-리드텍 '전략적 제휴 계약'…블록체인 기술로 웨어러블 시장 확대 추진]〉, 《녹색경제신문》, 2019-02-26
 +
* 노진우 기자,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50945 로커스체인, 국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선도적인 블록체인 기술 기업' 선정돼]〉, 《위키리크스 한국》, 2019-03-22
 +
* 류순열 기자, 〈[http://www.upi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99151224065 세계무대서 자신감 드러낸 '로커스체인']〉, 《UPI뉴스》, 2019-04-05
 +
* 이상일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80666 블룸테크놀로지, 로커스체인 밋업행사 성료]〉, 《디지털데일리》, 2019-04-26
 +
* 여용준 기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8677 로커스체인, 플랫폼 기술 집약한 엔터프라이즈 메인넷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9-07-04
 +
* 류순열 기자, 〈[http://www.upi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96656344043 소리 없는 혁명…블록체인과 '소셜벤처'의 만남]〉, 《UPI뉴스》, 2019-07-18
 +
* 〈[https://cointelegraph.com/press-releases/locus-chain-harbinger-of-the-credit-revolution Locus Chain, Harbinger of the Credit Revolution]〉, 《Cointelegraph》, 2019-07-25
 +
* 유경석 기자, <[http://m.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2580&fbclid=IwAR30zqNTAGkNR_qaLY4bevg5gs5E1aVbYzV22Hn0L2MAwa9ElcEue60EG1g#_enliple 로커스체인, 다이나믹 샤딩 구현…사용량 따라 저장]> , 《일간투데이》, 2020-03-06
 +
* 장순관 기자, <[http://www.pops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25 블룸테크놀로지 '로커스체인' 블록체인 기술의 날개 달다]>, 《파퓰러사이언스》, 2020-03-17
 +
* 안재후 기자,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34 포스트 코로나 시대..언택트 경제, 블록체인 주목..블룸테크놀로지 로커스체인]>, <<포춘코리아>> , 2020-05-18
 +
* 임민철 기자, <[http://www.upinews.kr/newsView/upi202006160079 "세계 최고 블록체인" 로커스체인, 이달말 공개 테스트]>, <<UPI뉴스>> , 2020-06-16
 +
* 박동선 기자, <[https://www.etnews.com/20200617000143 블룸테크놀로지, 이달말 '로커스체인' 공개테스트 예정…'탈중앙-확장' 양립 특성]>, <<전자신문>>, 2020-06-17
 +
* 장순관 기자,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38 블룸테크놀로지, 초고성능의 퍼블릭 블록체인 ‘로커스체인’ 테스트넷 글로벌 오픈]>, <<포춘코리아>>, 2020-07-1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재 권]]
 
* [[인터체인]]
 
* [[텐더민트]]
 
*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
 
* [[루나민트]]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 [[블룸테크놀로지]]
 +
* [[이상윤]]
 +
* [[김세정]]
 +
* [[확률적지분증명]]
 +
* [[DAG]]
 +
* [[BFT]]
 +
* [[다이내믹 샤딩]]
 +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
{{블록체인 플랫폼}}
 +
{{암호화폐 역사}}

2020년 7월 15일 (수) 20:26 판

로커스체인(Locus Chain)
로커스체인(Locus Chain)
블룸테크놀로지(Bloom Technology)
이상윤 대표이사
김세정 공동창업자

로커스체인(Locus Chain)은 PC 및 휴대폰 등 널리 보급된 일반적인 디바이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초당 수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성능을 목표로 개발 중인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로커스체인의 슬로건은 "실제 사용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로커스체인의 창시자는 블룸테크놀로지 회사의 이상윤이다.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적인 문제점은 네트워크 전송량과 트랜잭션 계산량이다. 로커스체인에서는 네트워크 전송량과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샤딩을 통한 서브네트워크 구성 및 분산처리를 채택하고 있다. 샤드합의 알고리즘비잔틴 장애 허용(BFT) 계열을 응용하여 트랜잭션 확정까지의 시간을 단축한다. 원장 구조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계열 데이터 구조를 채택하여 리얼타임 동적 샤딩 및 프루닝을 구현하고 있다.

로커스체인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인 로커스(LOCUS)를 발행했으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레이드, 라토큰에 상장되었고 추후 메인넷이 발표되면 로커스 코인으로 아토믹스왑(atomic swap)을 지원할 예정이다.

개요

로커스체인(Locus Chain)은 탈중앙화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성능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먼저 로커스체인은 탈중앙화의 중요한 요소로서 누구나 쉽고 공정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일반적인 PC와 휴대폰 및 IoT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성능, 저장 공간, CPU속도 및 계산량의 한계를 이해하고, 이 위에서 무리 없이 동작하는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를 개발하여 이를 로커스체인 전체 시스템으로서 구현해 나가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먼저, 원장 구조로서 처리 성능을 담보하기 어려운 선형구조 대신 비선형구조인 DAG(Directed Acyclic Graph)를 채용하였다. 로커스체인의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구조는 어카운트/유저를 중심으로 트랜잭션 그래프를 구성하여 각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DAG구조이다. 각 트랜잭션의 전후 관계와 다른 트랜잭션들과의 관계가 그래프상에 직접 배치됨으로 고속 참조가 가능하면서도, 어카운트 단위로 정보를 총합 관리함으로써 샤드간 이동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다음, 로커스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은 PoS(Proof-of-Stake)를 기반으로 하는 BFT합의를 채택하고 있다. PoW(Proof-of-Work)와 Nakamoto합의가 가지는 비효율적인 CPU계산량 소모와 불확정성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다. BFT합의의 고속화를 위해, 로커스체인은 전체 네트워크 노드 중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를 공정한 방법으로 랜덤하게 샘플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랜덤 선출에는 각 노드의 로커스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여러 가지 기여도가 반영된다. PoS를 통해 코인의 지분 소유량이 반영될 수 있고, 노드의 온라인 시간 등 코인량 이외의 내용도 반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다이내믹 샤딩(Dynamic Sharding)이 도입되어 있다.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BFT합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하나의 어카운트는 한번에 단 하나의 샤드에서만 처리된다. 따라서 로커스체인에서는 노드 숫자가 늘어나면 이에 비례하여 트랜잭션 처리량이 늘어난다.

또한, 각 노드가 꼭 저장하여아만 하는 원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프루닝(pruning)방법으로써 베리파이어블 프루닝(Verifiable Pruning) 기술이 개발, 채택되어 있다.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은 삭제된 과거의 데이터와 현재 가지고 있는 데이터간의 정합성을 암호학적인 방법으로 검증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이를 통해 현재의 트랜잭션을 합의하는 데 당장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스토리지에서 삭제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도 과거 데이터와의 정합성 검증과 해쉬값 참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이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기술을 응용하여, 새로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가 비교적 소량의 최근 데이터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짧은 시간 안에 곧바로 네트워크에 기여가 가능한 구조가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장치 등 제한된 저장 용량만을 갖는 디바이스에서도 로커스체인의 완전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로커스체인의 특징은, IoT상의 디바이스 등 아주 적은 성능의 장치들이 제약없이 노드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머신투머신(M2M) 거래, 소매점 단말기,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자동차 등의 미래산업에 블록체인이 바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로커스체인의 개발자들은 초당 수십억 건의 이벤트를 처리해야 하는 게임 엔진 개발 경험을 살려 데이터 원장구조에서부터 합의알고리즘,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까지 로커스체인 프로젝트에 모두 담으려 하고 있다.

역사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개발을 맡고 있는 블룸테크놀로지(Bloom Technology) 로고

'실용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을 목표로 로커스체인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블룸테크놀로지는 한국게임산업의 1세대 개척자였던 이상윤 대표가 1994년 판타그램(Phantagram Limited)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회사이다. 판타그램은 파트너 회사인 블루사이드(Blueside Inc.)와 함께 유명 게임 시리즈 '킹덤 언더 파이어(Kingdom Under Fire)', '나인티 나인 나이츠(Ninety Nine Nights)' 등을 만든 게임 엔진 개발회사이다. 20년 동안 판타그램은 마이크로소프트 사와 4개 이상의 콘솔 게임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출시했고 유수의 PC 게임 타이틀을 발표했다. 그중 '킹덤 언더 파이어: 크루세이더(Kingdom Under Fire: Crusaders)'는 2004년 대한민국게임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킹덤 언더 파이어2는 약 1000억의 투자를 받았지만 10년이상 출시를 못하였고, 출시 후에도 흥행부진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있다. 게임 엔진 기술은 수십만 유저가 참여하여 실시간 초당 수십억개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로 블록체인과 같은 P2P 기술과 관련성이 높다. 판타그램은 3D 그래픽 최적화, 데이터 분산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7년 블록체인 개발 사업을 시작하고 2018년 법인명을 '블룸테크놀로지'로 변경했다. 블룸테크놀로지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인 로커스체인의 개발을 맡았고 자회사인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Locus Chain Foundation Pte. Ltd.)'은 사업전반을 맡고 있다.

주요인물

  • 이상윤: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 대표 및 블룸테크놀로지 대표를 맡고 있다. 이상윤 대표는 10대였던 1987년 처음으로 8-bit PC상에서 상용 게임을 만들어 이를 한국과 일본에 판매했으며, 판타그램 및 블루사이드를 통해 "킹덤 언더 파이어" 게임시리즈를 비롯하여 [Forgotten Saga (PC)], [Kingdom Under Fire Crusaders (Xbox)], [Ninety Nine Nights (Xbox360)] 등을 디렉팅 및 프로듀싱하였다.
  • 김세정 : 로커스체인의 공동창업자이다. 게임 개발사 블루사이드의 대표이기도 하다. 2007년에는 문화관광부 표창장을 받기도 했다.
  • 주영현: 1998년 판타그램에 합류한 이후 드래곤플라이, 엔플레버, 블루사이드 등을 거치면서 게임 엔진 및 게임 기술 개발 디렉터를 역임했다. 블룸테크놀로지의 테크니컬 디렉터로서 로커스체인의 기술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 이길호: 1987년부터 게임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1994년 판타그램의 설립자 중 하나로 개발 책임 및 매니지먼트를 맡았다. 로커스체인에 합류해서는 암호 기술 및 매니지먼트를 돕고 있다.
  • 장순목 : 30년 이상 개발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와이디온라인 CTO , 디지타워 엔터테인먼트 CEO, 나인버드게임즈 CEO 등을 역임했다. 게임을 비롯해 보안시스템, 비전센서, 시뮬레이터, AI, IOT 등의 개발 및 운용 경험이 있고 스크린야구와 관련된 특허 10여종의 발명자다.
  • 오구라 타케유키: 20년 넘게 IT 업계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으며 개발 프로젝트의 최고 책임자를 역임했다. GPGPU 프로그램과 프로토타입 등에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Dena, 그리고 기타 유수의 세계적인 IT 업체에서 수석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 문영배 : IMF 및 국제기구등에 블록체인 기반의 CBDC, 국내 기업들의 블록체인 기반 다양한 프로젝트에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블록체인협회 부회장을 역임중이다.
  • 스티브 오 : 미국 스탠퍼드 로스쿨 법학 박사이고, 삼성전자 기업변호사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법무팀 대표 변호사 등 국내외 수많은 유수 기업의 법률 고문 역할을 했다.


특징

DAG-AWTC 원장구조

선형체인구조와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DAG-AWTC 비교

고속 대량 처리를 위한 원장 구조: AWTC원장 구조는 로커스체인의 고속 처리 및 분산 처리에 있어 중요한 기술적 요소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많은 블록체인이 선형 체인구조를 갖고 있는 반면 로커스체인은 DAG(Directed Acyclic Graph) 기반의 비선형 원장구조인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를 사용한다. 이 구조는 이름 그대로 어카운트 단위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병렬형 구조이며 나노코인블록격자(block lattice)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선형 체인구조는 이전 블록에 다음 블록이 연결될 수 있는 곳이 한곳밖에 없고, 여러 노드가 같은 연결지점에 동시에 블록을 추가하려 하는 병목이 발생한다. 반면 로커스체인의 DAG-AWTC를 비롯한 블록 격자 구조는 트랜잭션을 추가하는 지점이 어카운트 수만큼 존재하고, 그 지점에 대해서는 소유 어카운트만이 독점적으로 기록이 가능하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트랜잭션을 추가한 어카운트가 자명하므로 어카운트 소유자 본인이 악의적인 사용자가 아니라면 트랜잭션은 추가 즉시 거의 확정된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로커스체인의 원장구조는 기존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던 거래처리 지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Locus BFT 합의알고리즘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합의알고리즘

확정 완결적 합의: DAG-AWTC 구조는 기본적으로 어카운트간 충돌이 없고 이후에도 결과가 뒤집힐 확률이 거의 없어 소매처리시간(수 초) 이내에 거래가 확정된다. 대부분의 경우 트랜잭션은 정상적으로 추가되고 확정되지만, 만약 어카운트 소유자가 악의적이라면 더블스펜딩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로커스체인에서는 수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BFT합의를 실시, 이 기간 동안 문제가 없었다는 사실을 확정하거나, 만약 문제가 생겼을 경우 이를 해결한다.

AWTC구조에서 더블 스펜딩은 한 어카운트의 트랜잭션 체인에 동일한 일련번호를 갖는 트랜잭션이 동시에 둘 이상 발생하는 경우로 명확하게 정의된다. 동시에 발생한 서로 다른 트랜잭션이 네트워크를 거쳐 전파되는 과정에서 통과한 각 노드상에서, 노드가 갖는 지분(PoS)에 따른 선택(pseudo-vote)이 발생하면서, 더 많은 지지를 받은 트랜잭션이 1차적으로 결정된다(비확정합의). 그 다음, 확률적지분증명(Stochastic PoS)을 통해 선출된 BFT참여 노드가 주기적(2분 정도 간격)으로 원장 상태를 확정해 거래의 완결성을 최종 확보한다(확정합의).

DAG는 병렬형 구조이기 때문에 각 노드가 병렬적으로 원장을 갱신한다. 따라서 현재 리얼타임의 절대적인 원장 상태를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로커스체인은 샤드 내에서 데이터가 충분히 전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하여, 이 시간만큼 약간의 과거 시점에 대한 합의를 시도함으로써 DAG 상에서 BFT 확정합의를 최초로 구현했다고 2019년 2월 언론에 발표하였다. 로커스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은 실행 중에도 새로운 트랜잭션의 발생을 막지 않아 DAG의 고속처리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stop-and-go방식이었던 BFT의 성능적 단점을 개선하였다.

기술적으로 DAG와 BFT를 동시 구현하는 것이 유의미한 이유는, 이것이 이후 스토리지 문제와 네트워크 부하 문제를 해결할 프루닝 및 샤딩 기술의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블룸테크놀로지는 BFT 확정합의 방식의 DAG-AWTC 원장 시스템에 대한 특허 출원을 신청한 상태로 알려져 있다.

Stochastic PoS 기반 공정한 커미티 선출

완전한 탈중앙화: 로커스체인은 알고랜드의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방식과 유사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로커스체인은 확률적지분증명 (Stochastic PoS: 지분이 많을수록 커미티로 선출될 확률이 높아지는 방식)을 기반으로 무작위검증가능함수(VRF: Verifiable Random Function)에 의해 매 라운드마다 합의 알고리즘에 참여하는 새로운 프로포저 커미티를 선출한다. 누가 프로포저로 선출될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해킹, 담합 등 악의적인 공격이 어렵다. 또한 최근 투표 참여 횟수 및 네트워크 참여도(온라인 시간 등)에 기반해 매 라운드마다 새로운 밸리데이터 커미티를 선출, 프로포저가 제안한 라운드 상태에 대해 PBFT 방식에 따라 2회의 투표를 거쳐 결과를 확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합의에 참여할 노드(프로포저, 밸리데이터)를 특정하거나 미리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악의적 공격에 의한 조작이 어려워져 합의결과의 공정성과 네트워크의 안정성(security)이 확보된다고 로커스체인은 주장한다.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노드 저장 부하감소: 로커스체인은 일정 기간(하루) 이전의 과거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로컬환경에서 삭제(프루닝)하여 로컬 데이터의 양을 줄이면서도, 블록체인의 데이터 검증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Verifiable Pruning)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9년 7월초 발표하였다.

늘어나는 원장 사이즈 문제[1]를 해결하기 위해 오래된 데이터를 단순 삭제하여 원장의 크기를 줄이는 일반적인 프루닝과 달리, 로커스체인의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은 스큐드머클트리(Skewed Merkle Tree) [2] 구조를 사용하여 과거 대부분의 데이터가 로컬 환경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로커스체인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전부 보유하지 않아도 필요한 부분의 해시값만으로 정당성 검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컬 노드의 데이터 저장량이 대폭 줄어든다. 시중의 SD카드정도의 저장량으로 노드 운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부담 없이 로커스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이는 높은 탈중앙화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여기에 추가로 로커스체인은 초당 수천 트랜잭션이 수년 이상 쌓인 상황에서도 먼 과거에 발생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필요한 계산 정보량을 지수함수적으로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인 계층적 스큐드머클트리(Hierarchical Skewed Merkle Tree)를 도입했다고 한다. 이로써 노드의 스토리지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고속 검증이 가능한 블록체인을 구현하였다고 한다.

반면에, 일부 노드 상에만 데이터가 보존되는 경우 주목도가 낮은 데이터는 아무도 저장하지 않고 사라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에 대해, 로커스체인에서는 우선 각 어카운트의 과거 이력(history)은 기본적으로 어카운트 자신 또는 자신이 위임한 노드가 저장하므로, 소유자 본인은 언제나 자신의 과거 이력의 열람 및 백업이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없다고 한다. 이것으로 불충분하다면 로커스체인 외부의 과거 데이터의 저장에 특화된 별도 기구에 저장을 맡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백테라바이트의 저장공간을 가진 디렉토리 서비스 운영 사업자가 코인을 대가로 과거 트랜잭션 데이터의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전개를 생각할 수 있다. 로커스체인 외부에서 읽은 과거의 데이터도 모든 로커스체인 노드에서 검증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저장과 검증 기능을 각각 잘하는 쪽에 일임함으로써 굳이 로커스체인 위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도 블록체인의 모든 이점을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블룸테크놀로지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에 대한 특허 출원을 신청한 상태로 알려져 있다.

"로커스체인베리파이어블 프루닝을 통해 이미 원장에서 지워진 데이터라고 해도 나중에 참ㆍ거짓의 증명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극단적인 원장 사이즈 축소가 가능해졌으며, ​일자형체인 구조가 아닌 DAG-AWTC 원장구조를 사용해 수초 내 거의 모든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됐다"[3]
  - 주영현 테크니컬 디렉터

다이내믹 샤딩

로커스체인(Locus Chain)의 다이내믹샤딩

계산량 증가 및 노드부하감소: 로커스체인은 노드가 부담하는 네트워크 사용량[4]을 낮추고 네트워크 전체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다이내믹 샤딩을 도입한다고 한다.

샤딩이란 네트워크 혹은 원장 상태를 샤드(shard) 단위로 작게 쪼개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샤딩은 통신 비율이 샤드 수에 비례해 증가하고 샤드 간 데이터 참조 및 검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샤드마다 트랜잭션의 빈도, 노드의 수 등에서 차이가 날 경우 네트워크 안정성에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로커스체인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라 적절한 샤드 수를 조절하는 한편 알고리즘으로 샤드간 균형을 유지하는 다이내믹 샤딩(Dynamic Sharding: 동적 샤딩)을 적용해 성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로커스체인은 원장 구조가 어카운트 별(AWTC)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샤드간 불균형이 일어났을 경우 계정 단위로 샤드를 재배치하여 샤드의 수와 사이즈, 밸리데이터 비율 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 보인다. 다이내믹 샤딩을 적용하면 한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네트워크 사용량은 샤드 수를 N 으로 할 때 2/N 으로 줄어들고 동일 노드의 네트워크 사용량 대비 네트워크 전체 TPS는 그만큼 증가하게 되는데, 여기에 추가적으로 원장을 쪼개는 스테이트 샤딩을 더해 스토리지 사용량 역시 샤드 수만큼 추가적으로 나눌 계획. 2020년 3월 개발 완료하였다 7월 초순경 다이나믹샤딩까지 적용된 퍼블릭블록체인 공개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기사가 올라왔다.

양자내성 암호서명

암호학적 미래대비성: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큰 위협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양자컴퓨터의 등장이다. 양자컴퓨터 시대가 도래하면 현재 주류로 사용되고 있는 많은 서명 알고리즘이 무효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전 세계 많은 암호학자들이 양자컴퓨터에 대비한 양자내성암호(PQC)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발표된 양자내성암호는 현재의 비 양자내성 암호(non-PQC)에 비해 계산량과 데이터량이 막대하여, 개인용 PC나 모바일기기에서 처리하기에는 성능 부담이 있다. 그리고 양자내성암호는 아직 표준이 정착되지 않아 실제 사용했을 때 안전한가에 대한 수학적, 기술적 검증이 부족한 점이 있다.

로커스체인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서명 체계를 마스터 서명과 노멀 서명으로 이원화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에서는 현재의 암호체계를 적용한 노멀 서명과 이를 위한 키(페어)를 사용하고, 노멀키를 분실하거나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는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 마스터 서명을 사용해 노멀키를 교체하는 방식이다. 마스터 서명은 꼭 필요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내성암호의 데이터량 및 계산량 부담이 적다. 그리고 노멀 서명은 키 이외에 알고리즘 자체를 플러그인 방식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향후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거나 개인용PC로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처리 가능한 시대가 오면 로커스체인은 노멀 서명 자체를 양자내성 알고리즘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안전성 자체도 아직 증명되지 않았으므로 마스터 서명은 당분간 양자내성암호와 기존의 암호시스템을 병렬로 사용한 하이브리드 체계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양자내성암호서명 알고리즘에 취약점이 발견되어도 현용 암호서명 알고리즘으로 커버가 가능하며, 나아가 문제가 없는 마스터 서명 알고리즘으로 넘어갈 수 있는 migration방식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데이터 위변조 검증 API

로커스체인 개발팀은,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한 포인트는 데이터의 보관보다 제출된 데이터의 위변조와 정당성을 오픈된 환경에서 누구나 검증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고 주장한다.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기존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대신 블록체인 원장에 직접 데이터를 담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로커스체인 개발팀의 주장은 블록체인 플랫폼이 기존 DBMS의 대량의 데이터 저장과 완전 무결한 트랜잭션 처리 기능을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신, 로커스체인은 다른 DBMS등의 방법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정당성과 위변조 여부를 먼 미래 시점에서도 효율적으로 검증 가능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로커스체인은, 사용 단체가 개별적으로 독자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로커스체인의 위변조 검증API를 통해 데이터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고 2019년 7월 발표 하였다.

전망

사람 사이의 직접 거래뿐만이 아니라 사람-디바이스, 디바이스-디바이스 간의 거래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미래에는 탈중앙화의 중요성이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다. 미국 IT 시장조사 기업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앞으로 연결될 IoT 디바이스의 수가 2025년까지 416억개이며 모든 디바이스가 만들어내고 소비하는 데이터 양이 79.4제타바이트(ZB)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5] 머신끼리 서로 수없이 주고받는 통신과 여기에서 파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해킹, 담합, 조작 등 범죄에 악용되거나 단일장애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현재의 중앙화된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은 사용하기 어려워 보인다.

로커스체인의 주장대로 저용량 기기에서도 블록체인이 충분히 동작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된다면, 블록체인 기술의 실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가화폐의 경우 대량의 거래를 감당할 수 있는 고성능의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평가

로커스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블록체인에서 사용하는 일자형 블록구조가 아닌 DAG원장구조에서 PoS+BFT합의를 취하고 있다. 이로인해 탈중앙화 기반의 확장성과 고성능이 담보되고 있다. 이외에도 네트워크 부하를 줄여주는 다이나믹 샤딩과 원장의 크기를 줄여주는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기술은 한차원 높은 고난이도의 기술로 보인다. 현재 테스트넷이 오픈되어 운영중이다.


관련영상


각주

  1. 현재의 저속이 아닌 비자 카드의 최대 처리량이라고 하는 4k TPS(Transaction Per Second)에 이르는 실용적인 성능을 내는 블록체인을 가정하고, 트랜잭션을 한 번 전송하는 데 드는 용량이 0.5kB 정도라고 가정했을 때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원장 사이즈는 매일 약 172GB 정도씩 늘어난다. (계산법: 0.5kB/Tx * 4kTx/sec * 3.6ksec/hour * 24hour/day = 172.8GB/day)
  2. 스큐드머클트리는 이진 머클트리와 링크드리스트의 복합체로서 머클트리의 데이터 검증 능력을 링크드리스트에 적용시킨 구조이다.
  3. 여용준 기자, <로커스체인, 플랫폼 기술 집약한 엔터프라이즈 메인넷 개발>, 《이뉴스투데이》, 2019-07-04
  4. 고속 블록체인의 초당 처리량을 4K TPS로 가정했을 때 노드가 감당해야 하는 네트워크 통신량은 초당 2MB(=0.5kB/Tx * 4kTx/sec )정도이다. 이는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대역폭이 100Mbit/s라고 할 때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것은 언뜻 작은 수치로 보일 수 있지만 P2P 가십 프로토콜에서 통신을 주고받는 리피트(repeat)를 고려하면 초당 20MB 정도로 일반인이 가정집 PC로 노드에 참여하기에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5. Michael Shirer, [The Growth in Connected IoT Devices Is Expected to Generate 79.4ZB of Data in 2025, According to a New IDC Forecast], IDC, 18 Jun 2019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