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와이브로

위키원
bae3631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6일 (금) 11:59 판 (새 문서: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로, 무선 통신 기술이다. 무선 휴대 인터넷으로, 이동 중에도 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로, 무선 통신 기술이다. 무선 휴대 인터넷으로, 이동 중에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라고 불린다.[1]

개요

와이브로는 2.3기가헤르츠(GigaHertz) 주파수를 사용하는 초고속 무선 광대역 인터넷이다. 핸드셋, 노트북,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 인터넷 단말을 이용하여 정지 및 보행 또는 시속 60 킬로미터(kilometer)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언제 어디서나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2] 기존 무선랜(wireless LAN)은 이동 중이거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서 떨어지면 사용하기 힘들었던 반면, 이 인터넷은 기존과 비슷하지만 서비스 반경이 열 배나 넓고, 초당 25메가비트(Megabit)의 속도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어 속도도 빠르다. 와이브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을 사용하여, 광대역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고, 높은 대역 효율성과 단순한 (Network)구조를 통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1]

역사

와이브로의 역사는 국내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이 개발한 무선 광대역 인터넷 기술이다. 국내에서 통용되는 국제 표준 IEEE 802.16e에 대한 이름이고, 처음에는 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을 가리키는 용어로 창안된 것이지만, 통신업체에서 기술명을 서비스명으로 이용하면서 기술 이름보다 서비스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3]

상용화

상용화 하기 시작한 건 2006년 6월 30일에 한국 내 최초 사업자로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과 케이티㈜(KT Corporation)가 시작했다. 12년간 운영하였으나, 4세대 이동통신(4G) 표준기술의 우위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어, 2018년 12월 31일로 서비스가 종료됐다. 에스케이텔레콤㈜의 와이브로는 T로그인 와이브로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서울 및 수도권과 일부 지방에서 사용할 수 있었고, 케이티㈜의 와이브로는 쇼와이브라는 이름으로, 상용화 초기 당시 한 채널에 8.75메가헤르츠(megahertz)의 대역너비를 가졌으나 점차 채널을 10메가헤르츠 대역으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였다. 케이티는 수도권 지역에서만 시행하던 와이브로 서비스를 수도권을 포함해 5대 광역시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과 경부, 중부, 호남, 영동 고속도로까지 늘리면서 전국으로 확대했다. 2011년 3월까지 전국 82개 시까지 확대해, 당시 국내 국민의 85%가 와이브로를 사용하도록 제공했다. 반면 에스케이텔레콤도 전국 82개 시까지 확대했지만, 케이티와는 다르게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데 빠르지 못해



케이티와는 다르게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데 빠르지 못했

또한, 2011년 3월까지 전국 82개 시까지 확대해, 우리나라 국민의 85%가 와이브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했다. 반면 SK텔레콤은 KT와 비교해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데 빠르지 못했다. 같은 기간 SK텔레콤도 전국 82개 시까지 확대했지만, 와이브로 커버리지 지역은 KT 85%보다 적은 72.8%에 불과했다.

2011년 3월 2일 기준으로, 서울과 수도권, 5대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82개 도시와 경부·중부·서해안 등 7개 주요 고속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었지만, LTE의 등장과 가입자 수요 감소의 여파로, 2018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다.


특징

활용

서비스 종료

각주

  1. 1.0 1.1 와이브로〉, 《네이버 지식백과》
  2.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티스토리》, 2010-11-02
  3. 와이브로〉, 《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와이브로 문서는 하드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