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네트워크 장비

해시넷
thdu9466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26일 (수) 10:18 판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
이동: 둘러보기, 검색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network device)란 전송자와 수신자가 데이터를 전달하여 단말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를 말한다. 네트워크 장비는 크게 스위치, 전송장비, 액세스 장비로 구성된다.[1]

개요

네트워크(network)의 어원은 '그물'을 뜻하는 네트(net)와 '일'을 뜻하는 워크(work)의 합성어이다. 즉, 네트워크란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범위가 확장된 단어이다. 즉, 네트워크란 데이터 통신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장치들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구조를 말한다.

종류

  • 스위치/라우터 장비
라우터란 라우팅을 하는 장비이다.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라우터는 IP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여 네트워크 계층에 속해 있다.
스위치란 스위칭을 하는 장비이다. 스위치는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전달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목적지로 출발한 데이터가 스위치를 거치게 되면 스위치는 데이터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적합한 경로로 스위칭 해준다.[2]
  • 허브=브릿지

허브란 패킷을 모든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광전송 장비

광전송 방식은 정보를 전기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파 전반과는 달리 광영역 전자파를 반송파를 이용해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장거리 대용량 전송 및 단거리 광대역 전송로로써 유망하다. 기본구성은 광송신부와 광전송로, 광수신부로 구성되며 방식은 광전솔로의 종류에 따라 광공간전송방식과 광섬유 전송방식이 있다.

  • 이동통신 장비

이동통신이란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와중에도 계속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통신 시스템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이동통신장비는 기술에 따라 분류하면 CDMA, GSM, WCDMA 등으로 구분된다.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

  • OSI :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른 시스템끼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 7 계층 응용계층 :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 (프로토콜 : DHCP, DNS, FTP, HTTP)
  • 6 계층 표현계층 :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한다. (프로토콜 : SSL, FTP, IMAP, SSH)
  • 5 계층 세션계층 : 모든 통신장비를 연결하고 관리하며 종료한다. (프로토콜 : VARIOUS AP'I'S, SOCKETS)
  • 4 계층 전송계층 : 에러검출, 흐름제어 사용자 간에 연결을 확립하고 유지한다. (프로토콜 : TCP, UDP, ECN, SCTP, DCCP)
  • 3 계층 네트워크계층 : 논리적 주소를 참조하여 최적의 라우팅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로토콜 : IP, IPSec, ICMP, IGMP)
  • 2 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물리적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프로토콜 : Ethernet, SLIP, PPP, FDDI)
  • 1 계층 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토콜 : Coax, Fiber, Wireless)

각주

  1. 네트워크 장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스위치와 라우터〉, 《그래퍼 스토리》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네트워크 장비 문서는 하드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